$\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지하수의 비소 산출양상을 평가하기 위하여 환경부 지하수 수질측정망 자료를 활용하였다. 2001년-2006년의 기간동안 전체 측정망의 약 3.0%에서 $5.0{\sim}188{\mu}g/L$ 범위로 비소가 검출되었으며 지리적으로 산출빈도가 높은 3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어졌다: 인위적 기원으로 예상되는 서울 및 수도권지역, 지질기원으로 파악되는 충북지역 및 경남지역 자연적 비소산출은 옥천대 변성퇴적암과 백악기 화산암 지질분포 지역과 잘 일치하여 나타나며 이들 지역의 기존 연구자료를 평가한 결과, 광상구 및 열수변질 지역에서 주로 황화물산화반응에 의한 비소유출이 발생한다. 또한 옥천대 변성퇴적암 지역의 상대적으로 단순한 수질유형과 다소 높은 pH조건에서는 탈착반응도 기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ationwide occurrence of arsenic in groundwater of Korea was investigated with the data from the groundwater quality monitoring stations. During 2001-2006, As has been quantitatively detected in 3.0 % of the total wells $(5.0{\sim}188{\mu}g/L)$, and its geographical distribution sugges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수질측정망 비소자료의 공간적 분포상황을 통해 비소의 주요한 지질적 기원산출이 옥천대 변성퇴적암과 백악기 화산암 분포지역에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지역을 대상으로 실시된 기존 비소관련 수리지구화학적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국내 자연적 기원의 비소 산출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저농도 비소 정량분석의 난이성과 실제 현장에서의 수리학적 특성에 의해 비소의 공간적 산출 양상이 제약을 받는 요인 등으로 인해 국내 특정지역의 전반적인 비소 수리지구화학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지하수의 전반적인 비소 산출양상을 평가하기 위하여 환경부 지하수 수질측정망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비소오염 취약지역을 예측한다. 또한 기존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특히 자연적 기원의 비소오염 발생양상에 대해 논의한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지하수의 전반적인 비소 산출양상을 평가하기 위하여 환경부 지하수 수질측정망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비소오염 취약지역을 예측한다. 또한 기존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특히 자연적 기원의 비소오염 발생양상에 대해 논의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하수의 비소오염의 원인은? 지하수의 비소오염은 제초제, 살충제, 목재방부제, 인산염비료 등의 사용, 유리 및 염료 생산공정, 폐기물 투여 등 인위적 오염원도 작용할 수 있으나 기존에 세계적으로 보고된 오염사례는 대부분 지질 및 대수층 환경에 따른 자연적 기원이다. 특이한 것은 비소는 지각내 52번째 함량의 원소(Krauskopf, 1979)로서 모든 암석, 토양, 퇴적물 등에서 정량적으로 검출되는 양으로 존재하며 지하수 비소오염 발생지역에서도 대수층내 함량이 특별히 높지 않은 경우가 많다(Smedley and Kinniburgh, 2002).
환경부 지하수 수질측정망의 2001-2006년 자료를 검토하여 국내 지하수의 비소 산출현황을 평가한 결과는? 환경부 지하수 수질측정망의 2001-2006년 자료를 검토하여 국내 지하수의 비소 산출현황을 평가하였다. 전체적으로 불검출에서 최대 188 μg/L의 농도를 가지며 약 1.5%의 측정망에서 10 μg/L 이상의 비소가 검출되었다. 지리적으로는 인위적 오염양상으로 예상되는 서울 및 수도권 지역과 지질기원으로 파악되는 충북권 및 경남권이 주요한 비소산출 지역으로 나타났다. 특히 옥천대 변성퇴적암과 백악기 화산암이 지질기원 비소와 관련있는 주요한 지질요인으로 판단된다. 기존 비소관련 광물학적, 수리 지구화학적 연구를 종합하여 볼 때, 백악기 화산암 분포 지역의 광상구 및 열수변질 지역에서 황화물로 존재하는 비소가 주요한 비소기원광물로 나타나며 천부지하수에서 산화과정으로 비소가 유출되고 있는 것으로 예상한다. 반면 옥천대 변성퇴적암 지역에서는 정확한 비소유출 기작을 단언할 수 없으나 황화물상 비소의 산화과정 뿐만 아니라 약칼리성의 pH조건에서 이차광물에 흡착된 비소의 단순탈착 반응도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국내 지하수법에 의한 비소의 수질기준은 무엇인가? 국내 지하수법에 의한 비소의 수질기준은 생활용 및 농어업용의 경우 50 μg/L, 공업용은 100 μg/L으로 설정되어 있다. 지하수를 음용수로 이용할 경우 먹는물관리법 규정에 의한 먹는물 수질기준을 따르지만 역시 50 μg/L이다. 이는 특히 음용수의 경우 WHO, 미국, 일본, 유럽연합 등 많은 나라에서 채택하는10 μg/L 또는 5 μg/L 이하의 강력한 기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박맹언, 성규열, 고용권, 2000, 비금속광상의 황화광염대에 수반되는 산성광산배수의 형성과 지질환경의 오염: 동래납석광산 산성광산배수의 형성에 관한 반응경로 모델링, 자원환경지질, 33, 405-415 

  2. 박맹언, 성규열, 이민희, 이평구, 김민철, 2005, 비소로 오염된 달천광산 토양의 자연저감 능력에 대한 pH-Eh 영향, 자원환경지질, 38, 513-523 

  3. 이상렬, 최선규, 소칠섭, 유인창, 위수민, 허철호, 2003, 한국 경상분지 백악기 비철금속 광화작용과 그 성인적 의의: 함안-군북-고성(-창원) 및 의성광상구를 중심으로, 자원환경지질, 36, 257-268 

  4. 이현구, 이찬희, 1997, 덕평지역의 탄질 변성니질암에 관한 환경적 독성원소의 지구화학적 기원, 거동 및 부화, 자원환경지질, 30,553-566 

  5. 정기영, 이석훈, 2001, 옥천대 탄질 흑색 점판암내 몰리브덴의 존재 형태, 한국광물학회지, 14, 52-57 

  6. 환경부, 2001, 2000년 지하수 수질측정망 운영결과, 환경부 

  7. 환경부, 2002, 2001년 지하수 수질측정망 운영결과. 환경부 

  8. 환경부, 2007a,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령안 입법예고, 환경부 공고 제2007-257호 

  9. 환경부, 2007b, 2007년도 지하수 수질측정망 설치.운영계획 환경부고시 제2007-70호 

  10. 환경부, 2007c, 2006년 지하수 수질측정망 운영결과, 환경부 

  11. Ahmed, K.M., Bhattacharya, P., Hasan, M.A., Akhter, S.H., Alam, S.M.M., Bhuyian, M.A.H., Imam, M.B., Khan, A.A., and Sracek, O., 2004, Arsenic enrichment in groundwater of the alluvial aquifers in Bangledesh: an overview, Appl. Geochem., 19, 181-200 

  12. Ahn, J.S., Ko, K.S., Lee, J.S., and Kim, J.Y., 2005, Characteristics of natural arsenic contamination in groundwater and its occurrence, Econ. Environ. Geol., 38, 547-561 

  13. Bundschuh, J., Farias, B., Martin, R., Storniolo, A., Bhattacharya, P., Cortes, J., Bonorino, G., and Albouy, R., 2004, Groundwater arsenic in the Chaco-Pampean plain, Argentina: case study from Robles county, Santiago del Estero province, Appl. Geochem., 19, 231-243 

  14. Delemos, J.L., Bostick, B.C., Renshaw, C.E., Stutup, S., and Feng, X., 2006, Landfill-stimulated iron reduction and arsenic release at the Coakley Superfund site (NH), Environ. Sci. Technol., 40, 67-73 

  15. KIGAM, 1995, Geological map of Korea 1:1,000,000 

  16. KIGAM, 2005, Research report on counter plans for the impediment to groundwater development,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GW-2005 Groundwater Report, p. 524-527 

  17. Kim, H.K., and Lee, J.S., 1993, Petrochemical studies of the Cretaceous volcanic rocks from the Kyeongsang sedimentary basin, J. Geol. Soc. Korea, 29, 84-96 

  18. Kim, Y.T., Woo, N.C., Yoon, H.Y., and Yoon, C., 2006, Distribution of organic and inorganic arsenic species in groundwater and surface water around the Ulsan mine, Econ. Environ. Geol., 39, 689-697 

  19. Koh, S.M. and Chang, H.W., 1997, Comparative anatomy of the hydrothermal alteration of Chonnam and Kyongsang hydrothermal clay alteration areas in Korea, Econ. Environ. Geol., 30, 81-87 

  20. Kolker, A. and Nordstrom, D.K., 2001, Occurrence and microdistribution of arsenic in pyrite, In: US Geological Survey Workshop on Arsenic in the Environment, Denver, February, 2001 

  21. Krauskopf, K.B., 1979, Introduction to geochemistry 2nd ed., McGraw-Hill, New York, p. 617 

  22. Lee, J.S., Chon, H.T., and Kim, K.W., 1998, Migration and dispersion of trace elements in the sock-soil-plant system in areas underlain by black shales and slates of the Okchon zone, Korea, J. Geochem. Explor., 65, 61-78 

  23. Smedley, P.L., and Kinniburgh, D.G., 2002, A review of the source, behaviour and distribution of arsenic in natural waters, Appl. Geochem, 17, 517-568 

  24. Smedley, P.L., Knudsen, J., and Maiga, D., 2007, Arsenic in groundwater from mineralized Proterozoic basement rocks of Burkina Faso, Appl. Geochem., 22, 1074-1092 

  25. Welch, A.H., Westjohn, D.B., Helsel, D.R. and Wanty, R.B., 2000, Arsenic in ground water of the United States: occurrence and geochemistry, Ground Water, 38, 589-604 

  26. Yun, U., Cho, B.W., and Sung, K.Y., 2004, Occurrence and species of arsenic in the groundwater of Ulsan area, Econ. Environ. Geol., 37, 657-66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