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양파 열수추출물의 항산화능 및 인공소화후의 항돌연변이 효과
Antioxidant and Antimutagenic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 from White and Yellow Onions after Simulated Gastric Digestion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14 no.6 = no.67, 2004년, pp.925 - 930  

김연희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농업생명과학연구소) ,  손미예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농업생명과학연구소) ,  성낙주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농업생명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양파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능 및 인공소화 전과후의 항돌연변이 효과를 BHT와 ascorbic acid와 비교하여 조사하였다. 총 페놀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노란색 양파 추출물이 횐색 양파 추출물보다 많았으며, 양파 추출물의 과산화수소 소거능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beta-carotene-linoleate\;system$에서 항산화능과 reducing power는 증가되었으나, BHT와 ascorbic acid보다는 낮았다. 양파열수 추출물의 인공소화 후에 IQ와 MNNG로 처리된 Salmonella typhimurium TA80과 TA100에 대하여 항돌연변이 효과가 나타났으며, 노란색 양파가 횐색 양파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양파 추출물을 소화시키면 항산화 및 항돌연변이의 효과는 양파의 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성분 변화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mutagenic activities with and without simulated gastric digestion of hot water extracts from white and yellow onions were investigated as compared to BHT and ascorbic acid as control Contents of total phenol and flavonoid in hot water extract of yellow onion were higher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양파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능 및 인공소화 전과후의 항돌연변이 효과를 BHT와 ascorbic acid와 비교하여 조사하였다.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노란색 양파 추출물이 흰색 양파 추출물보다 많았으며, 양파 추출물의 과산화수소 소거능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 그러나 국내에서는 양파의 연구가 미흡하므로 흰색과 노란색 양파를 이용하여 열수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총 flavonoid와 총 페놀의 함량을 조사하였고, a, a-diphenyl-P -picrylhydrazyl (DPPH)와 hydrogen peroxide (HQ2)소거효과, P-carotene-linoleate system을 이용한 항산화 효과와 금속이온을 환원시키는 환원력을 측정하여 항산화력과 자유라디칼 소거작용을 평가하고, 또한 양파 추출물을 인공적으로 제조한 위액과 소장액으로 각각 소화시킨 후 항돌연변이에 미치는 영향들을 조사하였다.
  • 분쇄한 시료는 -20℃ 냉동고에 보관하면서 시료로 사용하였다. 양파(100g)에 증류수(500ml, 3회)를 가하여 6(TC에서 8시간 3회 추출한 후, 여과하였으며, 이것을 회전증발기에서 농축한 다음 농축물을 다시 동결건조한 후 포장하여 -20℃에 보관하면서 시료로 사용하였다. 이후의 분석결과는 각 시료 당 3회 반복 실시하여 그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 01 g에 증류수 60 ml를 가한 후 90℃에서 30분간 추출하였으며, 여과하여 100 ml로 정용하였다. 여과액을 일정량 취하여 시험관에 옮긴 후 90% diethylene glycol 10ml과 IN NaOH 0.75 ml를 혼합하여 420 nM에서 홉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표준곡선은 quercetin (Sigma Co., USA)의 농도를 0-0.5 m흥범위가 되도록 제조하였으며, 검량 선으로부터 양파 추출물 중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계산하였다.
  • 4로 녹임) 600 ul를 혼합하였다. 이 반응물에 넣어 spectrophotometer (CE2021, CECIL, England)< 이용하여 230 nM에서 10분 간격으로 40분간 측정하였다.
  • 여러가지 양파추출물의 항산화력을 p-carotene-linoleate model system으로 측정하였다[4]. Chloroform 10 M에 p -carotene 2mg용액 에 linoleic acid 0.
  • 잔류 emulsion에 3차 증류수 750 ml를 첨가하여 강하게 진탕 한 다음 용기에 넣어둔다. 시험관에 emulsion용액 2.5 ml에 추출물 0.3 ml가하여 동일한 것을 두 개 만들어 하나는 그대로 측정하며, 다른 하나는 55C에서 105분 동안 암실에서 incubation시 킨 다음 492 nM 에서 spectrophotometer (CE2021, CECIL, England)를 사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대조구는 양파 추출물 대신에 butylated hydroxytoluene (BHT)와 L-ascorbic acid를 사용하였다.
  • 양파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시험은 S. typhimurium TA98과 TAI00을 이용하여 Ames test를 개량한 preincubation법으로 실시하였다[13] S9 mix 0.5 ml, 12시간 배양된 균주 0.1 ml, mutagen과 시료 각각 50 ml씩을 ice bath에 담긴 cap tube에 첨가하여 강하게 혼합하고 37℃ 30분간 전배양하였다. 4749 ℃의 top agar 2 ml씩을 각 tube에 넣고 3초간 혼합하여 minimal glucose agar plate에 도말하고, 37℃에서 48시간 배양한 후 revertant 숫자를 계수하였다.
  • 5 ml를 cap tube에 넣고 잘 혼합한 후 37℃에서 30분 전배양하였다. 그리고 10% histidine/biotin이 첨가된 top agar를 2 rrd씩 가하여 잘 혼합한 후 minimal glucose agar plate상에 도말하여 37℃, 150 rpm에서 48시간 배양하여 생긴 복귀 돌연변이수를 측정하였다.
  • 모든 실험은 triplicate로 시행되었고 그 일관성을 확인하였다. 각 실험에는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은 positive control이 포함되었고 IQ와 MNNG를 함유하지 않은 spontaneous control을 동시에 수행해 revertant colony수를 보정하였다.
  • 모든 실험은 triplicate로 시행되었고 그 일관성을 확인하였다. 각 실험에는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은 positive control이 포함되었고 IQ와 MNNG를 함유하지 않은 spontaneous control을 동시에 수행해 revertant colony수를 보정하였다. revertant colony의 수는 세 개 시료의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대상 데이터

  • 본 실험에 사용된 양파(Allium cepa L.)는 진주 중앙시장에서 구입하여 실험실로 운반한 후, 수세, 탈피 및 탈수과정을 거쳐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였다. 분쇄한 시료는 -20℃ 냉동고에 보관하면서 시료로 사용하였다.
  • 실험에 사용한 quercetin, myricetin, P-carotene, dimethyl sulfoxide (DMSO), caffeic acid, pencreatin, pepsin, a, a -diphenyl-p-picrylhydrazyl (DPPH),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tween 40)potassium phosphate, potassium ferricyanide는 Sigma사 (USA), sodium phosphate, L-ascorobic acid 는 Sinyo (Japan) 사>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MNNG), IQ (2-amino-3-methlimidazo [4z5-f] quinoline)는 Wako사(Japan), Salmonella typhimurium TA98과 TA100은 한국생명 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 (KCTC) 로부터 구입하였으며, 용매 및 기타 시약은 특급 또는 1급을 사용하였다.
  • 5로 맞춘 후 증류수로 1,000 ml로 정용하였다. 인공위액과 인공 소 장액에 사용된 pepsine hog stomach (Fluka 77163), pancreatin은 porcine pancrease (Sigma P-1500)를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양파(100g)에 증류수(500ml, 3회)를 가하여 6(TC에서 8시간 3회 추출한 후, 여과하였으며, 이것을 회전증발기에서 농축한 다음 농축물을 다시 동결건조한 후 포장하여 -20℃에 보관하면서 시료로 사용하였다. 이후의 분석결과는 각 시료 당 3회 반복 실시하여 그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 각 실험에는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은 positive control이 포함되었고 IQ와 MNNG를 함유하지 않은 spontaneous control을 동시에 수행해 revertant colony수를 보정하였다. revertant colony의 수는 세 개 시료의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 총 페놀의 함량 분석은 Folin-Denis방법[6]에 따라 시험관에 양파 추출물 0.01 g에 Folin-Denis 시약 5 ml를 넣어 혼합한 후, 증류수로 100 ml 정용한 다음 실온에서 30분 방치하여 760 nM에서 홉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표준곡선은 caffeic acid를 이용하여 작성하였으며, caffeic acid의 농도는 1~5 mg/100 ml였다.
  • Davis 변법[8]을 이용하여 각각 저장중인 양파 추출물 0.01 g에 증류수 60 ml를 가한 후 90℃에서 30분간 추출하였으며, 여과하여 100 ml로 정용하였다. 여과액을 일정량 취하여 시험관에 옮긴 후 90% diethylene glycol 10ml과 IN NaOH 0.
  • 과산화수소 소거작용의 측정은 Ruch 등[21]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0.
  • 양파 추출물의 환원력의 측정은 Oyaizu [15]의 방법에 따랐다. 시험관에 다양한 농도의 양파 추출물에 02 M sodium phosphate buffer (pH 6.
  • 인공위액은 United States Phamacopeia [25]에서 제안한 방법에 따라 NaCl 2.0 g과 pepsin 3.2 g을 증류수 500 ml에 녹인 후, 7.0 ml의 HCl (30%)을 가한 다음 증류수로서 1000ml로 만들어 IN HCl 로 pH를 1.2로 조절하였다. 인공소 장액은 증류수 250 ml에 KH2PO4 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Jay, M. 1994. C-Glycosylflavonoids. In J. B. Harborne, The flavonoids: advances in research (p. 57-87). London: Chapman and Hall 

  2. Cha, J. Y. and Y. S. Cho. 2001. Biofunctional activities of Citrus flavonoid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4, 122-128 

  3. Chang, J. K. and J. Y. Han. 2002. The Antioxidant ability of grape seed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524-528 

  4. Dapkevicius A., T. A. Van Beek, J. P. H. Linssen and R. Venkutonis. 1998. Rapid spectroscopic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in sage, thyme and oregano isolates with the β-carotene-linoleic acid model system. In Natural Product Analysis : Schreier P., Herderich M., Humpf H. V., Schwabw, V., p. 235-237 

  5. Dorant, E., P. A. Van den Brandt and F. Sturmans. 1996. Consumption of onions and a reduced risk of stomach carcinoma. Gastroenterology 110, 12-17 

  6. Gutfinger, T. 1981. Polyphenols in olive oils. JAOCS, 58, 966-973 

  7. Hertog, M. G., E. J. Feskens, P. C. Hollman, M. B. Katan and D. Kromhout. 1993. Dietary antioxidant flavonoids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 the Zutphen Elderly Study. Lancet 342, 1007-1011 

  8. Kang Y. H., Y. K. Park and G. D. Lee. 1996.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Science Technol. 28, 232-239 

  9. Kim J. H. 1997. Antibacterial action of onion (Allium cepa L.) extract against oral pathogenic bacteria. Ph. D. Thesis, Japan University 

  10. Kwak, H. J., Y. J. Kwon, P. H. Jeong, J. H. Kwon and H. K. Kim. 2000. Physiological activity and antioxidative effect of methanol extract from onion (Allium cepa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349-355 

  11. Lee, C. J., H. D. Kim, E. H. Choung, J. K. Suh, C. W. Park and Y. L. Ha. 2000. Reduction effect of carcinogenesis by the extract of onion wast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525-530 

  12. Lee, Y. K. and H. S. Lee. 1990. Effect of onion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mackerel during frozen storage. J. Korean Food Sci. Nutr. 19, 321-329 

  13. Maron, D. M. and B. N. Ames. 1983. Revised methods for the salmonella mutagenicity test. Mutation Rec. 113, 173-215 

  14. Miean, K. H. and S. Mohamed. 2001. Flavonoid (myricetin, quercetin, kaempferol, luteolin, and apigenin) content of edible tropical plant. J. Agric. Food Chem. 49, 3106-3112 

  15.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s :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apanese J. Nutr. 44, 307-315 

  16. Park P. S., B. R. Lee and M. Y. Lee. 1991. Effects of onion diet on carbon tetrachloride toxicity of rats. J. Korean Soc. Food Nutr. 20, 121-125 

  17. Park Y. K. 1995. Source and processing technology of vegetable juices and the trend of study. Bull. Food Technol. 8, 59-68 

  18. Ra, K. S., S. H. Chung, H. J. Suh, J. Y. Son and H. K. Lee. 1998. Inhibitor of xanthine oxidase by flavonol from onion skin.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697-701 

  19. Rhim, J. S. 1993. Onion and health. International Culture Publish Co. USA 

  20. Rhodes, M. J. C. and K. R. Price. 1996. Analytical problems in the study of flavonoid compounds in onion. Food Chem. 57, 113-117 

  21. Ruch, R. J., S. J. Cheng and J. E. Klaunig. 1989. Prevention of cytotoxicity and inhibition of intercellular communication by antioxidant catechins isolated from chinese green tea. Carcinogenesis 10, 1003-1008 

  22. Sheela C. G., K. Kumud and K. T. Augusti. 1995. Antidiabetic effects of onion and garlic sulfoxide amino acids in rats. Planta Med. 61, 356-357 

  23. Sheo, H. J., H. S. Lim and D. L. Jung. 1993. Effects of onion juice on toxicity of lead in rat. J. Korean Soc. Food Nutr. 22, 138-143 

  24. Son J. Y., H. S. Son and W. D. Cho. 1998. Antioxidative effect of onion skin extract. Korean J. Soc. Food Sci. 14, 16-20 

  25. United States Pharmacopeia (USP23), The National Formulary (NF 18). 1995. United States Pharmacopeial Convention 

  26. Wettasinghe, M. and F. Shahdi. 1999. Antioxida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properties of ethanolic extracts of defatted borage (Borago officinalis L.) seeds. Food Chemistry 67, 399-414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