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체감각 자극이 뇌손상 후 체성감각경로의 통합성 회복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omatosensory Stimulation on Recovery of the Integrity of the Somatosensory Pathway after Brain Damage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4 no.7, 2004년, pp.1255 - 1264  

김대란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생리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a 3-week somatosensory stimulation program on the integrity of the somatosensory pathway of patients with brain damage. Method: The sample consisted of two groups of patients with brain damage matched by Glasgow Coma Scale (GCS) sco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의의로는 임상에서 행해지고 있는 간호 중재의 이론적 근거를 탐색하여 이를 통제된 연구 틀로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선행연구에서 논의되어 온 뇌 손상 후 재구성이 급속히 일어나는 중요한 시점 (critical period)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임상실험 연구를 통해 검증함으로써 경험에 근거한 간호지식체 구축에 일조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자는 임상 현장에서 뇌 손상 환자의 기능 회복을 촉진하는 것으로 관찰된 현상에 대해 과학적 연구 과정을 적용하여 근거에 바탕을 둔 지식 체를 도출하고 자 체계적인 체감각 자극 프로토콜을 개발한 후 대상자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 뇌 손상 환자를 위한 조기 재활의 유용성을 밝히며 조기 회복과 기능 향상을 촉진시키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마사지와 관절운동을 통한 체감 각자 극이 뇌 손상 환자의 뇌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뇌 손상 후 일어나는 자연적 회복의 효과를 통제할 수 있도록 Kater (1989)가 제안한 짝짓기 표출법을 이용한 대조군 반복 측정 설계(repeated measures matched-control group design)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실험설계를 도식화 하면<Figure 1>과
  • 본 연구는 외상성 및 자발성 뇌 손상으로 전반적인 뇌 기능이 저하된 초기 뇌 손상 환자에게 체감 각자 극이 체성감각 경로의 통합성 회복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 여기에 포함되는 체감각 수용체는 촉각, 압각, 진동 각 및 고유 수용 감각으로, 체감 감각자극에 의해 활성화된 수용체들은 감지한 자극을 뇌로 전달함으로써 손상되어 기능이 저하된 뇌를 활성화시킨다. 본 연구에서 체감각 수용체를 자극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촉각, 압각 및 고유 수용 감각을 자극할 수 있는 마사지와 관절운동을 선정하였다. 마사지는 그 방법에 따라 경피뿐만 아니라 심부 수용체나 섬유들, 그리고 관절 주위 여러 연골조직들을 활성화시킬 수 있고 (Ralston, Miller, & Kasahara, I960), 관절운동을 통해서는 관절과 주위 조직의 긴장과 위치 변화, 근육의 긴장도를 변화시킴으로써 관절낭, 관절 주위 조직에 분포되어 있는 고유 감각 수용체를 흥분시킬 수 있기(Ganadevia & McCloskey, 1976) 때문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마사지 기법과 관절운동을 이용한 체감각 자극이 의식이 저하된 뇌 손상 환자의 체성감각 경로의 통합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연구자는 체감각을 효과적으로 자극하기 위해 문헌 고찰과 실제적인 훈련 및 전문가 자문을 통해 약 4개월에 걸쳐 체감각자극 프로토콜을 개발하였다.
  • 본 연구의 의의로는 임상에서 행해지고 있는 간호 중재의 이론적 근거를 탐색하여 이를 통제된 연구 틀로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선행연구에서 논의되어 온 뇌 손상 후 재구성이 급속히 일어나는 중요한 시점 (critical period)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임상실험 연구를 통해 검증함으로써 경험에 근거한 간호지식체 구축에 일조하고자 하였다.
  • 신경외과학 교실 주임교수에게 본 연구의 목적과 연구계획을 설명하고 연구대상자 선정 시 협조를 구하고 뇌 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한 실험 중재의 적용을 허락받았다. 체성감각 유발 전위 검사 측정에 대해 재활의학과 전문의에게 연구의 목적과 연구계획을 설명하고 연구 진행과 체성감각유발 전위 측정에 대한 협조와 동의를 구하였다. 또한 동 병원의 간호부에서 연구 진행 및 자료 수집에 대한 허락을 받았으며 연구 대상자가 입원하고 있는 병실의 과장과 수간호사에게 연구의 목적과 진행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병실 출입과 대상자 선정, 자료수집에 협조를 구하였다.

가설 설정

  • " 체감 각자 극을 제공받은 실험군이 제공받지 못한 대조군보다 체성감각유발전위 파형 점수가 높을 것이다&rdquo;.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Cho, Y, S., Kwon, H, K., Ahn, M, K, (1998), Clinical aspects and rehabilitation outcome in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J of Korean Acad of Rehab Med, 22(1), 1-8 

  2. Cope, D, N., & Hall, K (1982), Head injury rehabilitation: benefit of early intervention, Arch Phys Med Rehabil, 63, 433-437 

  3. Craik, R. L. (1982), Clinical correlates of neural plasticity, Physical Therapy, 62(10), 1452-1462 

  4. Duncan, P. W., Goldstein, L. B., Matchar, D., Divine, G. W., & Feussner, J. (1992). Measurement of motor recovery after stroke: outcome assessment and sample requirements. Stroke. 23(8), 1084-1089.225 

  5. Finger, S., & Stein, D. G. (1982). Brain damage and recovery. New York: Academic Press 

  6. Ganadevia, S. C., & McCloskey, D. I. (1976). Joint sense, muscle sense, and their combination as position sense, measured at the distal interphalangeal joint of the middle finger. J Physiol, 260, 387-407 

  7. Giles, G. M., & Clark-Wilson, J. (1993). Brain injury rehabilitation: A neurofunctional approach. London: Chapman & Hall 

  8. Guyton, A. C., & Hall, J. E. (2000). Medical physiology(10th eds.), Philadelphia: W.B. Saunders Company 

  9. Han, T. R. (1993). Measurement of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The J Korean Acad Rehab Med, 17(2), 151-156 

  10. Indredavik, B., Bakke, F., Slordadal, S. A., Rokseth, R., Hahein, L. L. (1999). Treatment in a combined acute and rehabilitation stroke unit - which aspects are most important? - Stroke, 30(5), May, 917-923 

  11. Johansson, B. B. (2000). Brain plasticity and stroke rehabilitation. Stroke, 31, 223-230 

  12. Judson, J. A., Cant, B. R., & Shaw, N. A. (1990). Early prediction of outcome from cerebral trauma by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Critical Care Medicine, 18, 363-368 

  13. Kalra, L. (1994). The influence of stroke unit rehabilitation on functional recovery from stroke. Stroke, 25(4), 821-825 

  14. Kaas, J. H. (1991). Plasticity of sensory and motor maps in adult and developing mammals. Annual Rev of Neurosci, 14, 137-167 

  15. Kim, J. K., Hah, J. S., & Byun, Y. J. (1992). A preliminary study on the functional recovery after acute stroke assessed by Barthel ADL index J Korean Neurosci, 10(3), 298-307 

  16. Kim, J. H., Han, T. R., & Lee, C. K. (1988). Median nerve SSEP: neurophysiologic considerations. J of Korean Acad of Rehab Med, 12(2), 248-257 

  17. Kater, K. M. (1989), Response of head-injured patients to sensory stimulation.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11(1), 20-33 

  18. Mackay, L. E., Bernstein, B. A., Chapman, P. E., Morgan, A. S., Milazzo, L. S. (1992). Early intervention in severe head injury: long-term benefits of a formalized program. Arch Phys Med Rehabil, 73, 635-641 

  19. Misra, U. K., Kalita, J., Roy, A. K., Mandal, S. K., Srivastava, M. (2000). Role of clinical, radiological, and neurophysiological changes in predicting the outcome of tuberculous meningitis: a multi variable analysis. J of Neurol, Neurosurg, Psychi, 68, 300-303 

  20. Namerow, N. S. (1987). Cognitive and behavioral aspects of brain-injury rehabilitation. Neurolo Clinics, 5(4), 569-581 

  21. Oh, H., & Seo, W. (2003). Sensory stimulation programme to improve recovery in comatose patients. J of Clinical Nursing, 12, 394-404 

  22. Parsons, L. C., & Wilson, M. M. (1984). Cerebrovascular status of severe closed head injured patients following passive position changes. Nursing Research, 33(2), 68-75 

  23. Peterson, N. N., Schroeder, C. E., & Arezzo, J. C. (1995). Neural generators of early cortical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in the awake monkey. Electroencephal and Clinical Neurophysiol, 96, 248-260 

  24. Pohlmann-Eden, B., Dingethal, K., Bender, H. J., Koelfen, W. (1997). How reliable is the predictive value of SEP patterns in severe brain damage with special regard to the bilateral loss of cortical responses? Intensive Care Med, 23, 301-308 

  25. Ralston, H. J., Miller, M. R., & Kasahara, M. (1960). Nerve endings human fascial, tendons, ligaments, periosteum, and joint synovial membrane. Anat Rev, 136, 137-148 

  26. Rapisarda, G., Bastings, E., Noordhout, A. M., Pennisi, G., & Delwaide, P. J. (1996). Can motor recovery in stroke patients be predicted by early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Stroke, 27(12), 2191-2196 

  27. Rising, C. J. (1993). The relationship of selected nursing activities to ICP. J of Neurosci Nursing, 25(5), 302-308 

  28. Shigemori, M., Yuge, T., Kawasaki, K., Tokutomi, T., Kawaba, T., Nakashima, H., Watanabe, M., & Kuramoto, S. (1987). Evaluation of brain dysfunction in hypertensive putaminal hemorrhage with multimodality evoked potentials. Stroke, 18(1), 72-76 

  29. Sisson, R. (1990). Effects of auditory stimuli on comatose patients with head injury. Heart & Lung, 19(4), 373-378 

  30. Slater, R., Reivich, M., Goldberg, H., Banka, E., Greenberg, J. (1977). Diaschisis with cerebral infarction. Stroke, 8, 684-690 

  31. Song, M. S. (1997). Effects of a neurological special nursing and early rehabilitation program on early recovery of patients with acute intracerebral hemorrhage and on satisfaction of patient's famil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32. Sosnowski, C, & Ustik, M. (1994). Early intervention: Coma stimulation in the lCU. J of Neurosci Nursing, 26(6), 336-341 

  33. Tatemichii, T. K., Desmond, D. W., Stern, Y., Paik, M., Sano, M., Bagiella, E. (1994). Cognitive impairment after stroke: frequency, patterns, and relationship to functional abilities. J of Neurol Neurosurg Psychiatry, 57(2), 202-2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