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체성감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시공간적 보행요소 및 균형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omatosensory Training on the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and Balance in Patients with Stroke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5 no.4, 2010년, pp.587 - 596  

채정병 (마산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이문환 (한국국제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matosensory training on the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and balance in patients with stroke patients. Methods : 24 stroke survivors were allocated in this study, and randomly divided into experimental(n=12) and control group(n=1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자들은 이상과 같이 뇌졸중 환자들의 보행과 균형을 증진시키는 다양한 치료적인 중재법들 중에서 뇌졸중 환자들에게 체성감각 훈련을 적용했을 때 보행과 균형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이번 연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유사 실험 설계(quasi-experimental design)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 test-post test design)에 기초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선정을 위해 면접 조사를 실시하여, 사전 조사로서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MMAS, MAS의 등급 수준, 발목의 수의적 움직임 정도, 균형지수, 보행요소를 측정(사전 조사)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자들은 첫 번째 단계인 정적단계에서는 단단한 바닥과 흔들림 판(rocker board)을 이용하여 선 자세에서 체중심의 이동을 유도하였다. 첫 번째 단계의 목표는 다열근, 복횡근 및 횡격막의 수축을 통해 골반의 안정화를 얻고자 하였다. 이것은 원위부의 운동성을 위한 근위부의 안정성의 원리이며, 이때 적절한 발의 위치, 골반 및 목의 고유수용기들의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으며, 체중심의 이동과 흔들림은 자동 자세조절 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다.

가설 설정

  • 7) Modified Ashworth scale(MAS) 등급이 1~2등급인 환자.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이란? 뇌의 혈액공급(circulation)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가장 흔한 질환인 뇌졸중(stroke)은 악성종양(malignant tumor) 및 심장질환(heart attack)과 더불어 인류의 3대 사망원인 중 하나이며(Michael 등, 2005), 대한민국에서는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사망원인 중 악성종양 다음으로 2번째를 차지한다(통계청, 2009).
뇌졸중환자은 어떤 증상이 나타나는가? 뇌졸중환자는 근육의 역학적 특성 변화, 운동과 감각 신경로의 손상 등과 같은 신경학적 결함과 의식수준의 변화, 인지 및 지각능력의 손상, 언어장애 등이 나타나며, 운동기능의 상실로 인해 근력약화, 비정상적인 근 긴장, 편마비로 인한 비대칭적인 움직임 패턴 등과 같은 운동조절 장애를 초래하며, 자세 안정성과 체중이동 능력, 그리고 비대칭적인 체중 분배 등으로 인해 보행 및 균형 장애가 발생한다(Susan과 Thomas, 2001).
뇌졸중환자가 겪게되는 균형능력의 감소와 비대칭적인 자세는 무엇을 초래하는가? 뇌졸중 환자들의 비대칭적 체중부하로 인한 균형문제는 정상측 하지를 통해 보상하기 때문에 비대칭성이 더욱 악화되어 신체의 전체적인 움직임에 큰 영향을 주게 되고, 보행 주기 동안 두발 지지기(double limb support) 때 마비측에 체중지지를 할 수 있는 능력이 감소하여 정상인 보다 보행속도가 느리고, 보행요소의 비대칭적인 특징을 보인다(Perry, 1992). 이와 같은 균형능력의 감소와 비대칭적인 자세는 정상적인 운동패턴을 방해하고, 기능적인 활동과 일상생활동작을 제한할 뿐만 아니라, 낙상의 위험을 증가시킨다(Winstein 등, 198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김병조. 노력성 호흡운동이 편마비 환자의 보행 특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 논문. 2003. 

  2. 김성학. 체중 현수 트레드밀 훈련이 만성 뇌졸중 노인의 보행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 논문. 2004. 

  3. 김종만, 이충희, 구애련. 시각 및 청각 되먹임을 통한 하지체중이동훈련이 편마비환자 보행특성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995;2(2):9-23. 

  4. 김종순. 상호억제기법에 의한 뇌졸중 환자의 경직 및 보행 특성 변화.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 논문. 2004. 

  5. 통계청. 2009. 

  6. 황병용. 고유수용성 운동조절 프로그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 논문. 2002. 

  7. Bastille JV, Gill-Body KM. A yoga-based exercise program for people with chronic poststroke hemiparesis. Phys Ther. 2004;84(1):33-48. 

  8. Berg KO, Maki BE, Williams JI et al. Clinical and laboratory measures of postural balance in an elderly population. Arch Phys Med Rehabil. 1992;73:1073-80. 

  9. Bohannon RW, Larkin PA. Lower extremity weight bearing under various standing condition in inde- pendently ambulatory patients with hemiparesis. Phys Ther. 1985;65(9):1323-5. 

  10. Dean CM, Richards CL, Malouin F: Task-related circuit training improves performance of locomotor tasks in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trial. Arch Phys Med Rehabil. 2000;81(4): 409-17. 

  11. Duncan PW. Balance. Proceedings of the APTA Forum. 1989. 

  12. Geiger RA, Allen JB, O'Keefe J et al. Balance and mobility following stroke: Effects of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s with and without biofeedback/forceplate training. Phys Ther. 2001;81(4):995-1005. 

  13. Janda V, Va Vrova M. Sensory motor stimulation. In: Liebenson, C.(ed.), Rehabilitation of the Spine. Williams & Wilkins. Baltimore. 1996;319-28. 

  14. Jorgensen HS, Nakayama H, Raaschou HO, et al. Outcome and time course of recovery in stroke, part II: time course of recovery. The Copenhagen Study. Arch Phys Med Rehabil. 1995;76(5): 406-12. 

  15. Lewit K. Disturbed balance due to lesions of the cranio -cervical junction. J Orthop Med, 1988;3: 58-61. 

  16. Michael KM, Allen JK, Macko RF. Reduced ambulatory activity after stroke: The role of balance, gait, and cardiovascular fitness. Arch Phys Med Rehabil, 2005:86(8);1552-6. 

  17. Nashner, LM. Sensory, neuromuscular, and biome- chanical contributions to human balance. In: Duncan, P.M. editor. Balance. Proceedings of the American Physical Therapy Association forum. Alexandria : APTA Publications, 1990;853-933. 

  18. Perry J. Gait analysis. Normal and pathological function. New York. Slack Inc. 1992. 

  19. Podsiadlo D, Richardson S. The Timed UP &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trail elderly persons. J Am Geriatr Soc. 1991;39(2):142-8. 

  20. Pohl M, Mehrholz J, Rittschel C et al. Speed- dependent treadmill training in ambulatory hemiparetic stroke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roke, 2002;33(2):553-8. 

  21. Sackley CM, Baguley BI, Gent S et al. The use of balance performance monitor and weight-transference in the treatment of weight-bearing problems after stroke. Physiother, 1992;78(12):907-13. 

  22. Sackley CM, Baguly BI. Visual feedback after stroke with balance performance monitor: two single case studies. Clin Rehabil. 1993;7(3):189-95. 

  23. Shumway-Cook A, Woollacott M. Motor control: Theory and practical applications. 1st ed. Baltimore, Mayland : Williams & Wilkins. 1995. 

  24. Srivastava A, Taly AB, Gupta AG et al.: Post-stroke balance training: Role of force platform with visual feedback technique. J Neurol Sci, 2009;287(1-2): 89-93. 

  25. Susan BO, Thomas JS. Physical Rehabilitation: Assessment and Treatment. 4th ed, Philadelphia: F.A. Davis. 2001. 

  26. Teixeira-Salmela LF, Olney SJ, Nadeau S et al.: Muscle strengthening and physical conditioning to reduce impairment and disability in chronic stroke survivors. Arch Phys Med Rehabil, 1999;80(10): 1211-8. 

  27. Walker C, Brouwer BJ, Culham EG. Use of visual feedback in retraining balance following acute stroke. Phys Ther, 2000;80(9):886-95. 

  28. Weiss A, Suzuki T, Bean J et al. High intensity strength training improves strength and functional performance after stroke. Am J Phys Med Rehabil, 2000;79(4):369-76. 

  29. Winstein CJ, Gardner ER, McNeal DR. Standing balance training: Effect on balance and locomotion in hemiparetic adults. Arch Phys Med Rehabil, 1989;70(10):755-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