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직성 양하지마비 아동의 자세조절과 운동성을 위한 물리치료의 중재 내용 분석: 단면연구
A Content Analysis of Physical Therapy for Postural Control and Mobility in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A Cross-sectional Study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13 no.2, 2018년, pp.75 - 87  

유성호 (대전웰니스병원) ,  오덕원 (청주대학교 보건의료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and analyze the components of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s to enhance postural control and mobility in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METHODS: Thirsty-eight physical therapists working in rehabilitation settings volunteered to record the compon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물리치료 중재에 대한 정확하고 상세한 기록은 임상에서 성공적인 중재의 적용을 가능하게 하고, 질 높은 연구의 기본적인 토대가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물리치료사들이 뇌성마비 중 강직성 양하지마비 아동을 치료할 때 어떤 종류의 중재를 적용하는지 기록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아 전문 물리치료사들이 강직성 양하지마비 아동들의 자세 조절과 운동성을 위해 치료사 중심의 중재를 주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치료시간 이외 환자가 일상생활에서 독립적 혹은 능동적 수행에 대해 장려하는 중재는 거의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설정

  •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신경계 환자들에 대한 물리치료 중재기록지를 이용하여 소아 전문 물리치료사들이 강직성 양하지마비 아동을 치료할 때 어떤 종류의 중재를 적용하는지 기록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가설은 물리치료사들의 치료 중재가 목표에 적합하게 이루어지리라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성마비 유병률은 어느정도인가? Oskoui 등(2013)의 메타분석 보고에 따르면, 뇌성마비 유병률은 1,000명 출생 당 2.11명으로 보고되었으며,이 중 만삭아는 1,000명 당 1명이며, 재태기간 32-36주의 중도 미숙아는 만삭아 보다 6-10배 뇌성마비가 더 발생하고, 32주 미만의 극도 미숙아는 중도 미숙아보다 10배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출생 시 체중 1kg 미만의 극도 저체중아는 생존율이 낮기 때문에 1-1.
뇌성마비란? 뇌성마비란 태아 혹은 영아의 뇌에 발생하는 비진행성 손상으로 운동 및 자세의 장애를 초래하여 활동의 제한이 발생하는 영구적인 장애이다(Rosenbaum 등,2007). 뇌성마비의 감각 및 운동 증상은 평생 관리하여야 하는 것으로, 학교 및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친다.
강직성 양하지마비 아동의 중재방법으로 어떤것들을 사용중인가? 강직성 양하지마비 아동들의 건강과 기능을 증진시키고 이차적인 문제를 예방하기 위하여 체력 훈련(fitness training), 보톡스, 전기자극치료 등이 임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아동들의 신체 발달과 기능증진을 위하여 신경발달치료와 함께 목표-지향적 훈련(goal-directed training)과 상황-초점 치료(context-focused therapy) 등이 효과적인 중재 방법으로 소개되고 있다(Novak 등, 2013; Novak, 2014). 그러나 적용되고 있는 물리치료 중재의 구체적인 내용과 절차의 기록에 대한 명확성과 세밀함이 결여되어 있어 중재와 관련된 다양한 측면의 효과성을 분석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Pomeroy와 Tallis,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rbeau H, Fung J. The role of rehabilitation in the recovery of walking in the neurological population. Curr Opin Neurol. 2001;14(6):735-40. 

  2. Butler C, Darrah J. Effects of neurodevelopmental treatment (NDT) for cerebral palsy: an AACPDM evidence report. Dev Med Child Neurol. 2001;43(11):778-90. 

  3. Carr JH, Shepherd RB. Neurological rehabilitation: Optimizing motor performance. Oxford. Butterworth-Heinemann. 2003. 

  4. Damiano D. Activity, activity, activity: Rethinking our physical therapy approach to cerebral palsy. Phys Ther. 2006; 86(11):1534-40. 

  5. Flores-Mateo G, Argimon JM. Evidence based practice in postgraduate healthcare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2007;7(1): 119. 

  6. Helders PJM, Engelbert RHH, Gulmans VAM, et al. Paediatric rehabilitation. Disabil Rehabil. 2001;23(11):497-500. 

  7. Lennon S, Ashburn A. The Bobath concept in stroke rehabilitation: A focus group study of the experienced physiotherapists’ perspective. Disabil Rehabil. 2000; 22(15):665-74. 

  8. Lennon S. Gait re-education based on the Bobath concept in two patients with hemiplegia following stroke. Phys Ther. 2001;81(3):924-35. 

  9. Leroux A, Pinet H, Nadeau S, et al. Task-oriented intervention in chronic stroke: Changes in clinical and laboratory measures of balance and mobility. Am J Phys Med Rehabil. 2006;85(10):820-30. 

  10. Ma HI, Trombly GA, Robinson-Podolski C, et al. The effect of context on skill acquisition and transfer. AJOT. 1999;53(2):138-44. 

  11. Marsden J, Greenwood R. Physiotherapy after stroke; define, divide and conquer.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2005;76(4):465-6 

  12. McMichael G, Bainbridge MN, Haan E, et al. Whole-exome sequencing points to considerable genetic heterogeneity of cerebral palsy. Mol Psychiatry. 2015;20(2):176-82 

  13. Novak I, Cusick A, Lannin N, et al. Occupational therapy home programs for cerebral palsy: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Pediatrics. 2009;124(4): 606-14. 

  14. Novak I, Mcintyre S, Morgan C,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state of the evidence. Dev Med Child Neurol. 2013; 55(10):885-910. 

  15. Novak I. Evidence-based diagnosis, health care, and rehabilitation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J Child Neurol. 2014;29(8):1141-56. 

  16. Oskoui M, Coutinho F, Dykeman J, et al. An update on the prevalence of cerebral pals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Dev Med Child Neurol. 2013; 55(6):509-19. 

  17. Peurala SH, Titianova EB, Mateev P, et al. Gait characteristics after gait-oriented rehabilitation in chronic stroke. Restor Neurol Neurosci. 2005;23(2):57-65. 

  18. Pina-Garza JE. Fenichel's clinical pediatric neurology: A signs and symptoms approach (7th ed). WB Saunders Co. 2013. 

  19. Polatajko HJ, Cantin N. Exploring the effectiveness of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s, other than the sensory integration approach, with children and adolescents experiencing difficulty processing and integrating sensory information. AJOT. 2010;64(3): 415-29. 

  20. Pomeroy V, Tallis R. Neurological rehabilitation: A science struggling to come of age. Physiother Res Int. 2002; 7(2):76-89. 

  21. Rodger S, Brown GT, Brown A, et al. Profile of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in Australia. Aust Occup Ther J. 2005;52(4):311-25. 

  22. Rosenbaum P, Paneth N, Leviton A, et al. A report: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cerebral palsy April 2006. Dev Med Child Neurol Suppl. 2007;109:8-14. 

  23. Saleh M, Korner-Bitensky N, Snider L, et al. Actual vs. best practices for young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survey of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ists and physical therapists in Quebec, Canada. Developmental Neurorehabilitation. 2008;11(1):60-80. 

  24. Schiariti V, Selb M, Cieza A, et al.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core sets for children and youth with cerebral palsy: A consensus meeting. Dev Med Child Neurol. 2015;57(2):149-58. 

  25. Schmidt RA, Lee TD. Motor control and learning: A behavioral emphasis (3rd ed). Champaign. Human Kinetics. 2005. 

  26. Shevell M, Majnemer A, Morin I, et al. Etiologic yield of cerebral palsy: A contemporary case series. Pediatr Neurol. 2003;28(5):352-9. 

  27. Smithers-Sheedy H, Mcintyre S, Gibson C, et al. A special supplement: findings from the Australian cerebral palsy resister, birth years 1993 to 2006. Dev Med Child Neurol. 2016;58(2):5-10. 

  28. Tyson S, Connell L, Lennon S, et al. What treatment packages do UK physiotherapists use to treat postural control and mobility problems after stroke? Disabil Rehabil. 2009;31(18):1494-500. 

  29. Tyson S, Selley A. A content analysis of physiotherapy for postural control in people with stroke: An observational study. Disabil Rehabil. 2006;28(13-14): 865-72. 

  30. Tyson S, Selley A. The development of the stroke physiotherapy intervention recording tool (SPIRIT). Disabil Rehabil. 2004;26(20):1184-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