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도권 여성의 거주환경 및 의복 추구이미지와 홈패션 디자인 선호도 분석
Analysis of the Image Sought by Consumers for Living Atmosphere and Clothing and Home Fashion Preference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2 no.12 = no.202, 2004년, pp.253 - 264  

김칠순 (경희대학교 의류디자인전공) ,  박수연 (경희대학교 아트퓨전디자인 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research on consumers who seek to portray an image through their living atmosphere and clothing, and to survey the home fashion design preference of Korean women, aged in their 20s to 40s. We distributed questionnaires to 600 women. The reliable questionnai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 소비자들의 주거환경 추구이미지와 의복 추구이미지를 분석하고. 2) 거주 환경 추구이미지와 의복 추구이미지와의 상관관계 를 분석하며, 3) 거주환경이미지와 소비자들의 홈패 션 디자인 선호도와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 각 평형별로 의복 추구이미지에 대한 유의한 차 이가 있는지를 기 위한 통계분석 결과를에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홈패션 마케터와 디자이너에게 소비자 의 감성 이미지에 관한 포지셔닝을 통하여 각 브랜 드의 이미지를 점검하고 각 업체에서 전개하고자 하는 디자인 컨셉에 해당하는 디자인 유형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두었다.
  • 21). 본 연구에서는 거주환경을 주구하는 이미지가 홈패 션 디자인의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을 고려하여 거주환경이미지를 분석하였고 가주환경추구이미지 와 의복추구이미지와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향후 자 기이미지를 측정하여 홈패션, 의복과의 관계를 좀 더 규명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자기이미 지의 측정은 하지 않았으나 향후 연구에서는 자기 추구이미지 와 거주환경 이미지 와의 관계를 분석해 기 를 제언해본다. 본 연구에서는 홈패션의 분류 중에 서 가장 대별적인 아이템의 선호도와 추구이미지와 의 관계를 고찰하는 제한점을 가지나 각 항목의 좀 더 세세한 디자인 디테일에 관한 조사가 실시된다 면 스타일리스트뿐만 아니라 홈패션 제조업자들이 나 마케터에게 보다 소중한 정보원이 되리라고 생 각한다. 또한 홈패션 디자인이 어떠한 이미지를 주 는지에 관한 소비자가 받아들이는 감성을 측정한 후 디자인 선호도를 측정하고 디자인 선호도의 결 과와 추구이미지와의 일치하는 가에 관한 후속연구 를 제언해본다.
  • 소비자들은 제품과 서비스의 구매를 통하여 새로 운 자기 이미지를 창조하거나 현재 가지고 있는 자 기 이미지를 유지하거나 또는 자기 자신을 수정하거 나 변화시킴으로써 자기이미지를 확장하여 개성과 독특함을 표현하고자 한다. 소비자들이 웰빙을 추구 하면서 어패럴 시장이 홈패션 시장으로 도입되고 있 고 소비자들이 토탈 패션을 지향하는 시점에서 소비 자들은 이제 의복과 더불어 자기가 살고 있는 거주 환경의 장식에 있어서도 자기 이미지와 일치하는 이 미지를 추구할 것으로 본다.
  • 홈패션을 디자인하거나 브랜드 이미지 마케팅을 하기위해서는 소비자들이 주구하는 거주환경 이미지를 규명해보아야 하며, 주 구하는 거주환경 이미지에 따라서 홈패션 제품의 선 호도에 차이가 있는지에 관한 분석. 의복 추구이미 지와 거주환경 추구이미지 간에 차이가 있는지에 관 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어 본 연구를 착수하였 다. 주구하는 거주환경 이미지와 주구하는 의복이미 지와의 상관관계의 연구는 특히 홈패션과 어패럴을 병행하는 기업의 마케터들이 그들의 소비자들을 이 해하는데 좋은 정보원이 되리라고 생각한다.
  • 추구하는 거주환경의 각 이미지에서 선호하는 커 튼 유형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분산분 석 결과를에 제시하였다.
  • 소비자들이 웰빙을 추구 하면서 어패럴 시장이 홈패션 시장으로 도입되고 있 고 소비자들이 토탈 패션을 지향하는 시점에서 소비 자들은 이제 의복과 더불어 자기가 살고 있는 거주 환경의 장식에 있어서도 자기 이미지와 일치하는 이 미지를 추구할 것으로 본다. 홈패션을 디자인하거나 브랜드 이미지 마케팅을 하기위해서는 소비자들이 주구하는 거주환경 이미지를 규명해보아야 하며, 주 구하는 거주환경 이미지에 따라서 홈패션 제품의 선 호도에 차이가 있는지에 관한 분석. 의복 추구이미 지와 거주환경 추구이미지 간에 차이가 있는지에 관 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어 본 연구를 착수하였 다.
  • 향상시키며, 변화하려하거나. 확장하고자 시도를 한 다. 나영은(1992)은 자기 이미지와 의복스타일의 이 미지가 유사할수록 그 의복 스타일을 선호하며 심 리적인 편안함을 느끼고자 자기이미지와 일치하는 방향으로 행동한다고 보고하였고 장은영과 이선재 (19网)의 연구에서도 자기 이미지와 의류상품 이미 지가 일치할 때 상품선호도가 높다고 보고하여 이 를 뒷받침 해주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김현주, 김문숙, 유동근(1995). 의류점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패션 라이프 스타일, 자아이미지, 상황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9(5) 774-789 

  2. 나영은(1992). 의복스타일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남미우(1988). 여대생의 자아이미지와 선호상표이미지와의 일치도가 의복구매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문미아, 박혜선(2000). 남자 중 . 고등학생의 자기 이미지와 의복추구이미지에 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5), 748-759 

  5. 박은주(1992). 의복구매에 관련된 상황변수.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이명희, 김현주(1997). 의복스타일 이미지 선호와 자기이미지와의 관계연구. 복식, 33, 41-53 

  7. 장은영, 이선재(1994). 의류상품이미지에 의한 의복구매과정 모형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6(4),471-484 

  8. 정인희(2001). 여자대학생의 의복추구이미지와 소재 선호에 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9(4), 629-638 

  9. 파이낸셜뉴스(2002.07.16). 명품브랜드 홈쇼핑에서도 위력 

  10. 패션비즈(2004.04). Life Style Propose 

  11. Bums, L. D., & Bryant, N. O. (1997). The Business of Fashion. Fairchild Publication 

  12. Claiborne, C. B. & Joseph Sirgy (1990). Self Image Congruence As a Model of Consumer Attitude Formation and Behavior: Conceptual Review and Guide for Future Research. In Dunlap, B.J.(eds.), Developments in Marketing Science (13). Cullowhee, N. C.: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3. Landon, E. L. (1974). Self Concept, Ideal Self Concept, and Consumer Purchase Intention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2), 44-51 

  14. Yeager J. (1988). Textiles for Residential Commercial Interiors. N.Y: HarpersCollin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