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K-POP 아이돌 그룹 신한복 스타일에 대한 글로벌 반응: 블랙핑크 패션 사례
The global response to K-POP idol group's New Hanbok: The case of Black Pink Fash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12, 2020년, pp.533 - 541  

최영현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  천탠이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  이규혜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휴먼테크융합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K-POP 가수의 신한복 스타일에 대한 국내·외 소비자들의 반응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블랙핑크 한복'을 키워드로 포함하는 유튜브 영상과 사용자 댓글을 수집했으며, 소셜 네트워크 분석감성분석을 적용했다. 첫째, 블랙핑크의 신한복 스타일은 안무하기 편하도록 미니드레스 형태로 제작되었으며, 전통적 요소를 더해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블랙핑크의 신한복 패션에 대해 국내 반응에서는 노출에 대한 이슈가 논란이 된 키워드로 등장한 반면, 해외 반응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감성분석 결과 국내보다 해외 반응에서 신한복 스타일에 대해 더 긍정적인 평가를 보였다. 본 연구는 광범위한 소비자들의 반응을 알아보고 신한복에 대한 긍부정 요소를 파악하여, 신한복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for investigating the consumers' reaction to the New Hanbok Style of K-pop idol groups. We collected YouTube videos and user comments that include 'Black Pink New Hanbok' as a keyword, applying social network analysis and sentiment analysis. First, the New Hanbok of Black Pink was de...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K-POPe 최근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으며, 이에 따라 K-POP 가수들이 착용한 신한복 스타일더불어 주목받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러한 사회적 현상을 반영하여 K-POP 걸그룹 블랙핑크의 신한복 무대의상에 대한 국내·외 반응을 알아보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했다.
  • 본 연구에서는 K-POP 스타의 신한복 스타일에 대한 국내‧외 소비자들의 반응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슈가 된 블랙핑크의 ‘How You Like That’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신한복 스타일을 분석 사례로 선정했으며, 국내·외 유튜브 사용자 댓글을 바탕으로 감성분석과 네트워크 분석을 진행했다.
  • 본 연구에서는 먼저, 블랙핑크의 신한복 무대의상의 디자인 특을 알아보았다. 철릭, 봉황문과 같이 전통적 요소를 가미했으며 안무하기 편하도록 미니드레스 형태로 표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패션스타일에서 나타난 디자인 특성을 밝히고, 네트워크 분석과 감성분석을 진행하여 소비자들의 반응을 분석하고자 한다.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이슈가 된 블랙핑크의 ‘How You Like That’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신한복 스타일을 분석 사례로 선정했으며, 국내·외 유튜브 사용자 댓글을 바탕으로 감성분석과 네트워크 분석을 진행했다. 소비자 인식과 긍정적, 부정적 반응을 살펴봄으로써 글로벌 레벨에서 한복인식의 현황과 영향력에 대하여 고찰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수집된 대부분의 댓글이 영문 댓글이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영문 댓글은 해외 반응, 국문 댓글은 국내 반응으로 가정했다. 특수문자, 이모티콘, 링크로 구성된 댓글은 분석에서 제외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J. S. Kim. (2020, July 1), 'Hanbam' Black Pink wore Hanbok for the comeback stage.."Foreign fans are so interested that they are flooded with purchase inquiries". SBS fun. https://entertain.v.daum.net/v/20200701212101370 

  2. E. Y. Kim. (2020, July 25). The reason why people are so excited about the black pink belly button hanbok, which was accused of unknown nationality. Chosun Biz.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7/25/2020072500252.html 

  3. M. J. Jo. (2019, July 18). Park Sul-Nyeo criticizes Miss Korea's 'corset hanbok'. MBC News. https://imnews.imbc.com/replay/2019/nwtoday/article/5411099_28983.html 

  4. Y. S. Lim. (2019). Considering Youtube video network centrality indic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1(6), 3169-3178. 

  5. S. Y. Heo. S. J. Cha & M. S. An. (2020).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design preference of New Hanbok's skirt. Journal of the Korean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22(2), 137-149. doi: 10.30751/kfcda.2020.22.2.137 

  6. S. E. Jung & S. Y. Lee. (2017). A study on the activation method of wearing Hanbok.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9(4), 139-155. 

  7. Y. I. Jung & E. J. Kim. (2019). A costume reproduction on the "Bok-yo(服妖)" in the Joseon Dynasty: Focusing on the excavated costume from Mrs. Jung(1565-1614)"s.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22(4), 181-193. doi: 10.16885/jktc.2019.12.22.4.181 

  8. Y. D. Yun. J. C. Jo. Y. A. Hur & H. S. Lim. (2017). A comparative anaylsis of cognitive change about big data using social media data analysis.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6(7), 371-378. doi:10.3745/KTSDE.2017.6.7.371 

  9. S. W. Lee. C. W. Choi. D. S. Kim. W. Y. Yeo & J. W. Kim. (2018). Multi-category sentiment analysis for social opinion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on social media.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24(4), 51-66. doi: 10.13088/jiss.2018.24.4.051 

  10. P. S. Shin. (2020). Emotional analysis system for social media using sentiment dictionary with newly-created word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25(4), 133-140. doi: 10.9708/jksci.2020.25.04.133 

  11. D. S. Kim & J. W. Kim. (2014). Research trend analysis using bibliographic information and citations of cloud computing articles: Application of social network analysis.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20(1), 195-211. doi: 10.13088/jiis.2014.20.1.195 

  12. Y. S. Lim. (2019). Considering Youtube video network centrality indic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1(6), 3169-3178. 

  13. J. Hyun. S. Ryu & S. Y. T. Lee. (2019). How to improve the accuracy of recommendation systems: Combining ratings and review texts sentiment scores.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25(1), 219-239. doi: 10.13088/jiis.2019.25.1.219 

  14. S. J. Lee & S. B. Lee. (2018). Diffusion strategies for K-beauty Hallyu conents on YouTube. GRI Review, 20(3), 231-259. 

  15. M. Lee & J. H. Hong. (2020). A study of spreading global fashion through social media: Analysis of tweets related to BTS. The Journal of Image and Cultural Contents, 19, 7-32. doi: 10.24174/jicc.2020.02.19.7 

  16. Y. H. Choi & K. H. Lee. (2020). Informatics analysis of consumer review for Frozen 2 fashion collaboration products: Semantic networks and sentiment analysi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8(2), 265-284. doi: 12.29049/rjcc.2020.28.2.265 

  17. J. Y. Lee & H. J. Jung. (2020). Exploring consumers' perceptions of bags using the SNS big data. A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18(1),55-77. doi: 10.18852/bdak.2020.18.1.55 

  18. Y. Jin. J. S. Kim & J. W. Kim. (2014). Product community analysis using opinion mining and network analysis: Movie performance prediction case.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20(1), 49-65. doi: 10.13088/jiis.2014.20.1.049 

  19. I. S. Choi, M. S. Lee & E, J. Kim. (2017). A study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Hanbok in SNS proof shot: Focused on the womens Hanbo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7(3), 15-30. doi: 10.7233/jksc.2017.67.3.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