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교육비 부담과 가계의 소비지출
The Burden of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and Consumption Expenditure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3 no.3 = no.75, 2005년, pp.63 - 76  

이성림 (성균관대학교 가족경영 소비자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sing the data from the Family Income & Expenditure Survey, this study investigated (1)the factors determining the level of burden of the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in households; (2) the influences of the level of the burden of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on the other household expenditu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사교육비 부담과 사교육비 부담이 소비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가족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있다. 사교육비 부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학교급과 학 생수를 모두 통제하며 사교육비 부담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변 수의 영향을 설명하려고 시도하였지만 실제로 사교육비 부담과 보다 더 관련이 있는 요인은 학생의 학습성과를 중심으로한 학 업 능력일 것이다.
  • 본 연구에서 사교육비 부담이 소비지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가계의 사교육비 부담 수준에 따른 소비지출 비목별 지출 비중과 지출 금액 차이를 분석하여 보고자 한다. 선행연구 결과를 참고하여 사교육비 지출 부담은 총소비 지출 중 사교육비 지출 비중으로 측정한 객관적인 척도를 적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2002년 통계청 도시가계 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유치원, 초, 중, 고등학생 자녀가 있는 가계를 대상으로 첫째, 사교육비 부담 정도를 알아보고, 둘째, 사교육비 부담과 관련된 변인이 무엇인지 살펴보며, 셋째, 가계의 사교육비 부담이 다른 소비지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하여 보고자 하였다.
  • 사교육비가 가계에 부담이 된다는 여러 선행연구와 조사 결과에도 불구하고 구체적으로 가계경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소비생활에 타격이 주는지 상세히 분석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가계의 사교육비 문제를 사교육비 지출 차이에 따른 교육 불평등 문제로서가 아니라 가계의 경제 문제로서 접근하여보고자 한다. 사교육비 지출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학생의 수와 학교급의 영향을 세부적으로 분석하고 거주 환경적인 영향을 고려함으로써 사교육비 문제를 학생이 존재하는 가계의 보편적 문제이고 우리 사회의 구조적인 문제임을 밝히고, 사교육비 부담이 가계의 소비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함으로써 사교육비 부담으로 인하여 가계의 소비생활에 어떠한 변화를 초래하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가계의 사교육비 문제를 사교육비 지출 차이에 따른 교육 불평등 문제로서가 아니라 가계의 경제 문제로서 접근하여보고자 한다. 사교육비 지출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학생의 수와 학교급의 영향을 세부적으로 분석하고 거주 환경적인 영향을 고려함으로써 사교육비 문제를 학생이 존재하는 가계의 보편적 문제이고 우리 사회의 구조적인 문제임을 밝히고, 사교육비 부담이 가계의 소비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함으로써 사교육비 부담으로 인하여 가계의 소비생활에 어떠한 변화를 초래하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실증적인 자료 분석 결과를 통하여 사교육 문제를 개별 가계의 사적인 문제가 아니라 우리 사회의 보편적이고 구조적 문제임을 뒷받침하는 증거를 제시함으로써 사교육 문제와 사교육 시장에 대한 보다 적극적이고 적절한 공적인 개입의 타당성과 필요성을 지지하고자 한다.
  • 사교육비를 제외한 소비지출은 다른 교육비 지출(공교육비와 문구비 및 교재구입비 포함하나 공교육비가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므로 이하부터는 공교육비로 지칭하고자 함)과 다른 모든 소비지출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공교육비는 2분위에서 9.
  • 사교육의 문제점은 교육적 측면이나 균형적인 인간발달 면에서뿐 아니라 분배적 정의, 계층이동, 사회통합, 경제적인 인적, 물적 자원 낭비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사교육으로 인한 가계의 경제적 부담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 사교육비 지출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학생의 수와 학교급의 영향을 세부적으로 분석하고 거주 환경적인 영향을 고려함으로써 사교육비 문제를 학생이 존재하는 가계의 보편적 문제이고 우리 사회의 구조적인 문제임을 밝히고, 사교육비 부담이 가계의 소비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함으로써 사교육비 부담으로 인하여 가계의 소비생활에 어떠한 변화를 초래하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실증적인 자료 분석 결과를 통하여 사교육 문제를 개별 가계의 사적인 문제가 아니라 우리 사회의 보편적이고 구조적 문제임을 뒷받침하는 증거를 제시함으로써 사교육 문제와 사교육 시장에 대한 보다 적극적이고 적절한 공적인 개입의 타당성과 필요성을 지지하고자 한다. 사교육비 부담으로 인한 가계의 생활 수준이 얼마나 저하되 는 지 분석한 결과는 사교육비 부담을 경감시키는 조치가 성공한다면 평균적으로 어느 정도 가계 경제를 개선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지 추정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교육비 부담 정 도에 따라 가계소득과 소비지출, 사교육비 지출 부담은 어느 정도인가? 둘째, 가계의 사교육 부담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무엇인가? 학교급별 학생 수, 거주지 특성, 관련 사회인구학적 특성의 영향을 검토함으로써 우리나라 사교육비 문제의 특성을 고찰한다. 셋째, 사교육비 부담 정도는 가계의 다른 소비 지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가설 설정

  •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교육비 부담 정 도에 따라 가계소득과 소비지출, 사교육비 지출 부담은 어느 정도인가? 둘째, 가계의 사교육 부담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무엇인가? 학교급별 학생 수, 거주지 특성, 관련 사회인구학적 특성의 영향을 검토함으로써 우리나라 사교육비 문제의 특성을 고찰한다. 셋째, 사교육비 부담 정도는 가계의 다른 소비 지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 둘째, 사교육비 부담이 차이 나는 가장. 주된 원인은 학교급 별 학생수이고, 이외에 거주 주거 형태, 거주지역, 거처사용 면적이 사교육비 부담 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교육인적자원부(2004). 공교육 정상화를 통한 사교육비 경감대책. www.moe.go.kr 

  2. 김시월 . 박배진(1999). 사교육비 부담의 대처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7(10), 67-79 

  3. 김인숙 . 여정성(1996). 가계의 사교육비 지축과 관련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1), 137-149 

  4. 김현진(2004). 사교육비 지출 결정 변인 구조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2(1), 27-45 

  5. 문숙재 . 김순미 . 김성희(1996). 자녀의 인적자본 형성을 위한 교육비 지츨의 결정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2), 171-184 

  6. 박기백(1998). 사교육비 결정요인의 실증분석. 재정논집, 13(1), 149-163 

  7. 박미희 . 여정성(2000). 개인과 가계의 사교육비 지출 유형분석. 대한가정학회지, 38(12), 189-206 

  8. 양승실(2001). 공교육과 사교육의 역할 기능 재정립. http://www.inc.or.kr/cica/column5.htm 

  9. 유형선 . 윤정혜(1999). 도시가계의 사교육비 지출 규모의 결정요인-일반계 고등학생의 과외사교육비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7(4). 159-171 

  10. 이승신(2002). 가계의 사교육비지출과 경제적 복지. 대한가정학회지, 40(7), 211-227 

  11. 이은우(2004). 사교육비 지출행위에 대한 경제분석. 경제연구, 22(2), 1-31 

  12. 정영숙(1996). 개인의 인적자본투자율과 경제적 복지. 소비자학연구, 17(4), 1-13 

  13. 정영숙(1999). 사교육비 지출이 소비패턴의 내재적 구조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학 연구, 20(4), 61-73 

  14. 통계청(2001). 2000 사회통계조사 

  15. 통계청(2005). 2004 사회통계조사 

  16. Becker, G. S. & Tomes, N. (1986). Human capital and the rise and fall of families. Journal of Labor Economics, 4 (3), s1-s47 

  17. OECD(2004). Education at Glance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