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도서관 교구·설비기준 개선 방안
Improvement of Standards for School Libraries Instructional Media and Equipments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39 no.2, 2005년, pp.57 - 84  

송기호 (영신고등학교,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교구$\cdot$ 설비기준은 학교 교육과정을 위한 기본 요소를 의미한다. 지식기반사회에서 학교도서관은 교육과정을 지원하고 정보활용과 독서지도를 위한 기본적인 교육환경이다. 따라서 학교도서관 교구 설비기준은 학교도서관의 사명을 담아야 하며, 교육적 역할에 적합한 구성요소를 포함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행 기준은 양적 질적 측면에서 불충분하다. 따라서 학교교구·설비기준 개정 시, 학교도서관 교구 ·설비기준은 특히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하여야 한다. 1. 시설 지침; 2. 기본 설비 방안; 3. 교육적 역할에 적합한 교구 기준; 4. 기본 공간별 설비 종목; 5. 보다 상세한 정보기기 종목; 6. 특수학교도서관 기준 개선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andards for instructional media and equipments imply an essential element for curriculum. In knowledge-based society, school libraries are an educational environment to assist curriculum, offer information literacy and reading services. Therefore the standards for school libraries instructiona...

주제어

참고문헌 (55)

  1. 경기도교육청. 중등교육과. [on-line]. [cited].[http://www.ken.go.kr/division/09/09-index.htm 2005. 05. 11.] 

  2. 고등학교이하각급학교설립?운영규정. 대통령령 제17397호 

  3. 교육인적자원부. 2002. 좋은 학교도서관 만들기 :學校圖書館 活性化 綜合方案 

  4. 교육인적자원부 교육시설담당관실. 2002. 학교시설 설비 계획 및 모형(안) 

  5. 교육인적자원부, 서울특별시교육청. 2003. 학교도서관운영편람 

  6. 김기남. 1998. '열린교육의 확산을 위한 학교시설?설비기준의 변화'. '교육시설', 5(3): 21-24 

  7. 김태완. '교육 시설 및 설비의 문제와 전망'. 한국 교육 문제론(서울: 교육과학사, 1999), 204-205 

  8. 김효정. 1997. '학교도서관 기준 설정을 위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1): 71- 104 

  9. 도서관및독서진흥법. 법률 제06906호 

  10. 도서관및독서진흥법시행령. 대통령령 제18144호 

  11. 박재윤. 1994. '미래학교의 시설계획에 관한 연구 : 초?중등학교를 중심으로'. '교육시설', 1(2): 85-87 

  12. 서울대학교교육연구소. 2004. 교육학용어사전. 전정판. 서울: 하우동설 

  13. 송기호. 2005. 학교도서관운영의 실제. 개정판. 서울 : 한국도서관협회 

  14. 유호섭, 신일용. 2000. '학교 시설 복합화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 학교(한국, 일본)의 평면 분석을 중심으로'. '학교교육시설학회지', 7(3): 15-22 

  15. 이병기. 2003. '학교도서관 시설 및 자료구축 방안'.'학교도서관의 효율적 구성?운영방안 세미나 자료집'. 서울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16. 이재림. '열린교육을 위한 초등학교 시설 계획'. '교육시설', 5(3): 17-20 

  17. 일본도서관협회 장애인서비스위원회. 2000. 장애인을 위한 도서관 서비스. 도서관운동회[옮김]. 서울: 사단법인한국시각장애인협회 

  18. 주삼환. 2002. '지식정보사회의 새로운 학교 모형'. '교육발전논총', 23(2): 1-23 

  19. 조광무. 1997. '열린교육을 위한 특수학교의 시설?설비'. '현장특수교육' 4(1): 38-47 

  20. 조평호, 김기태. 2004. 교육재정과 학교시설. 서울: 교육과학사 

  21. 초·중등교육법. 법률 제7120호 

  22. 특수학교시설?설비기준령. 대통령령 제17115호 

  23.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3. 학교도서관 평가 적용 및 교육적 효과 측정 연구 

  24. 한국도서관협회 도서관기준작성특별위원회. 2003. 한국도서관기준.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25. Michale Lonsdale. 2003. Impact of School Libraries on Student Achievement: a Review of the Research. Camberwell : ACER. [on-line]. [cited]. [http://asla.org.au/research/research.pdf] 

  26. IASL. 1993. IASL POLICY STATEMENT ON SCHOOL LIBRARIES. [on-line].[cited]. [http://www.iasl-slo.org/policysl.html 2005. 04. 01.] 

  27. IFLA/UNESCO. 2000. School Library Manifesto. [on-line]. [cited][http://www.ifla.org/VII/s11/pubs/manifest.htm 2005. 04. 01] 

  28. IFLA/UNESCO. 2002. School Library Guidelines. [on-line]. [cited].[http://www.ifla.org/VII/s11/pubs/sguide02.pdf 2005. 04. 01.] 

  29. [시.도교육청별 학교교구.설비기준] 

  30. 서울특별시교육청. 2004. 학교교구.설비기준 : 유치원, 초등학교(서울특별시교육청고시 제2004-5호) 

  31. 서울특별시교육청. 2004. 학교교구.설비기준 : 중학교(서울특별시교육청고시 제2004- 6호) 

  32. 서울특별시교육청. 2004. 학교교구.설비기준 : 고등학교(서울특별시교육청고시 제2004- 7호) 

  33. 서울특별시교육청. 2004. 학교교구.설비기준 : 특수학교.특수학급(서울특별시교육청고시 제2004-8호) 

  34. 광주광역시교육청. 2004. 학교교구.설비기준: 유.초.중.고.특수학교용(광주광역시교육청고시 제2004-13호) 

  35. 대구광역시교육청. 2003. 학교교구.설비기준(대구광역시교육청고시 제2003-5호) 

  36. 대전광역시교육청. 2002. 대전광역시 유치원, 초등학교, 특수학교 교구.설비기준(대전광역시교육청고시 제2002-84호) 

  37. 대전광역시교육청. 2003. 중.고등학교교구.설비기준(대전광영시교육청고시 제2003- 3호) 

  38. 부산광역시교육청. 2003. 학교교구.설비기준(부산광역시교육청고시 제2003-53호) 

  39. 울산광역시교육청. 2003. 학교교구.설비기준(울산광역시교육청고시 제2003-26호) 

  40. 인천광역시교육청. 2002. 인천광역시초등학교교구.설비기준(인천광역시교육청고시 제2001-189호) 

  41. 인천광역시교육청. 2002. 인천광역시중학교교구.설비기준(인천광역시교육청고시 제2002-154호) 

  42. 인천광역시교육청. 2003. 인천광역시고등학교 및 특수학급교구.설비기준(인천광역시교육청고시 제2003-17호) 

  43. 강원도교육청. 2002. 강원도초등학교 학교교구.설비기준(강원도교육청고시 제2002-8호) 

  44. 강원도교육청. 2003. 중.고등학교교구.설비기준(강원도교육청고시 제2003-7호) 

  45. 경기도교육청. 2003. 학교교구.설비기준 : 초등학교.특수학교(급)(경기도교육청고시 제2003-24호) 

  46. 경상남도교육청. 2003. 학교교구.설비기준(경상남도교육청고시 제2003-3호) 

  47. 경상북도교육청. 2003. 고등학교이하각급학교교구.설비기준:유치원, 초.중.고.특수학교교구.설비기준(경상북도교육청고시 제2003-3호) 

  48. 전라남도교육청. 2002. 학교교구기준(전라남도교육청고시 제2001-30호) 

  49. 전라북도교육청. 2002. 초등학교교구.설비기준 

  50. 전라북도교육청. 2005. 중등학교교구.설비기준(전라북도교육청고시 제2005-5호) 

  51. 전라북도교육청. 2003. 특수학교(급)교구.설비기준(전라북도교육청고시 제2003-1호) 

  52. 제주도교육청. 2003. 제주도 각급학교 교구.설비기준(제주도교육청고시 제2003-4호) 

  53. 충청남도교육청. 2002. 충청남도각급학교 교구.설비기준(충청남도교육청고시 제2002-호) 

  54. 충청북도교육청. 2004.유치원.초등학교.특수학교 교구.설비기준(충청북도교육청고시 제2004-7호) 

  55. 충청북도교육청. 2004. 중학교.고등학교 교구.설비기준(충청북도교육청고시 제2004-6호)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