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도서관 시설에 대한 요구조사 분석
An Analysis on the Needs Assessment of School Library Facilitie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0 no.3, 2016년, pp.93 - 112  

김성준 (전북 관촌중학교)

초록

이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제안한 학교도서관 시설에 대한 요구조사 도구를 사용하여 전국의 학생과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연구에 사용된 요구조사 도구는 한국도서관협회의 기준, IFLA의 학교도서관 가이드라인, AASL의 기준에서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10개의 시설특성과 세부요소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설문대상은 전국 18개 학교에 소속된 507명의 학생과 134명의 사서교사이며, 이들로부터 학교도서관 시설에 대한 중요도와 현재 수준을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학생과 사서교사는 모두 학교도서관의 시설특성의 중요도를 현재 수준보다 높게 평가하였다. 학생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시설특성은 자료 접근성, 편리성, 공간성 순서이며, 사서교사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특성은 쾌적한 환경, 확장성, 자료 접근성 순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n analysis on the needs assessment of school library facilities in Korea. After exploring KLA's Standards for Korean Libraries, IFLA's School Library Guidelines and AASL's Empowering Learners, the needs assessment tool of school library facilities was proposed in the previous study.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각 시설특성에 포함되는 세부요소의 평균을 단일 값으로 하여, 시설특성별로 학생과 사서교사의 중요와 현재 수준에 대한 분석결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후에 전체 47개 요소에서 중요도와 현재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난 일부요소와 가장 낮게 나타난 일부요소를 살펴보고자 한다.
  • 이 연구는 전국 다수의 학생과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학교도서관 시설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이 중에서 사서교사의 경우 연락처가 파악된 전국의 680명의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이 중에서 약 20%에 해당하는 134명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이기 때문에 학교도서관 시설에 대한 우리나라 사서교사의 전반적인 인식이 분석결과에 충분하게 반영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 시설에 대해 학생과 사서교사가 어떤 부분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 으며, 현재의 시설 수준을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를 통해 제안한 학교도서관 시설에 대한 요구조사 도구를 학생과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적용하여, 이들이 학교도서관 시설에서 어떤 부분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또 현재의 시설 수준을 어느 정도로 평가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18개 학교에 소속된 507명의 학생과 134명의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각 시설특성에 포함되는 세부요소의 평균을 단일 값으로 하여, 시설특성별로 학생과 사서교사의 중요와 현재 수준에 대한 분석결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후에 전체 47개 요소에서 중요도와 현재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난 일부요소와 가장 낮게 나타난 일부요소를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도: ① 매우 중요하지 않다. ② 중요하지 않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2년에 시작된 정부정책에 의한 학교도서관 설치 기준은 어떤 것이었는가? 주지하다시피 우리나라 대부분의 학교도서관은 지난 2002년에 시작된 정부정책의 성과로 만들어진 것이다. 이 정책은 교실 2칸 규모의 표준화된 모델을 바탕으로, 기존 교실의 리모델링을 통해 학교도서관 시설을 설치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였다.
국내외 전문단체의 기준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학교도서관의 시설특성은 어떤 것을 포함하는가? 이와 같은 학교도서관의 고유한 특성 때문에 IFLA(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 AASL(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s), 한국도서관협회와 같은 국내외의 전문단체는 학교도서관의 사명과 목적 실현을 위한 시설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이들 기준에 공통적으로 나타난 학교도서관의 시설특성에는 교육적 활용성, 시설 접근성, 자료 접근성, 쾌적한 환경, 심미성, 공간성, 편리성, 정보기술, 업무 효율성, 확장성 등이 포함된다(김성준 2015).
학교도서관 시설계획은 어떤 단계로 구분되는가? 이 기준에 나타난 학교도서관 시설계획의 단계는 사명의 진술, 요구조사, 핵심그룹 면담, 이용자의 행위 관찰, 요구평가, 도서관 시나리오 진술과 개념표현의 6단계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요구조사는 도서관의 주요 이용자인 학생, 교직원, 학부모 등이 도서관에 대해 무엇을 원하는지 정보를 얻는 과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김성준. 2015. 학교도서관 시설개선을 위한 요구조사 도구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4): 53-73. Kim, Sung-Jun. 2015.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Needs Assessment Tool for SchoolLibrary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9(4):53-73. 

  2. 변우열. 2004. 학교도서관 활성화사업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5(3): 139-173. Byun, Woo-Yeoul. 2004.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School Library Revitalization Project."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5(3): 139-173. 

  3. 송기호. 2005. 학교도서관 교구?설비기준 개선 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9(2): 57-84. Song, Gi-Ho. 2005. "Improvement of Standards for School Libraries Instructional Media andEquipm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9(2):57-84. 

  4. 이병기. 2002.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의 규모별 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4):49-67. Lee, Byeong-Ki. 2002. "A Study on the Model of School Digital Library Based DifferentiatedSchool's Siz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6(4):49-67. 

  5. 이병기. 2003. 학교도서관의 디지털자료실의 설치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4(1): 67-90. Lee, Byeong-Ki. 2003. "A Study on the Effect of Establishing School Digital Library ResourceRoom."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4(1): 67-90. 

  6. 이영모, 노영희. 2015. 학교도서관 위치에 대한 사서들의 인식조사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6(1): 51-76. Lee, Young-Mo and Noh, Younghee. 2015. "A Study on Librarians' Perception of SchoolLibrary Location."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6(1): 51-76. 

  7. 한국도서관협회. 2013. 한국도서관기준.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Korean Library Association. 2013. Standards for Korean Libraries. Seoul: Korean LibraryAssociation. 

  8. 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s. 2009. Empowering learners: Guidelines for School Library Programs. Chicago: 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s. 

  9. 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s. 2013. Library Spaces for 21st-Century Learners. Chicage: 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s. 

  10.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 2015. IFLA School Library Guidelines. Netherlands: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online] [cited 2016. 6. 29.]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