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도서관 공간 영역 및 실내 환경 요소의 구성 현황과 사서 교사 인식 분석
Analysis of Current Status and Teacher Librarians' Perception about Space Composition and Interior Environment of School Libraries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31 no.1, 2020년, pp.67 - 87  

송기호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문헌정보교육과) ,  강봉숙 (대구 다사고등학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 공간 영역 구성과 실내 환경 구성에 대한 현황과 사서 교사 인식을 분석하고, 학교도서관이 미래 교육 기본 시설로 자리매김하는 데 필요한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설문에 참여한 126명의 사서 교사가 가장 많이 확보한 공간은 자유 독서 영역이고, 가장 낮은 확보 정도를 보인 공간은 매체 제작·집단 프로젝트 영역이다. 공간 영역 중 사서 교사가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있는 영역은 교수 영역과 자유 독서 영역이고, 매체 제작·집단 프로젝트 영역에 대한 중요성 인식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실내 환경 평가 요소 중 안전성과 쾌적성은 가장 중요하게, 다양성과 융통성에 대한 중요성 인식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분석 결과, 학습공유공간과 창작 공간을 강조하고 있는 교육계와 도서관계의 흐름에 비해 사서교사는 여전히 전통적 도서관 공간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사서 교사 양성 및 재교육 과정에 창작공간 및 학습공유공간 구축과 운영 방안을 포함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용자의 실내 환경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공간 구성과 실내 환경 구상에 교사와 학생 그리고 학부모 등 도서관 이용자의 참여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urrent status and teacher librarians' perceptions of school library space composition and indoor environment, and propose some methods for the school library to be a basic educational facility. The space most secured by the 126 teacher librarians who particip...

주제어

표/그림 (13)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서관 공간의 특징은? 따라서 학교를 경쟁이 아닌 협동을 배우는 장으로 생각하며, 좋은 시민을 길러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여기는 북유럽 학교에서는 학업 성취도는 물론 삶의 질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 학교 건축과 디자인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는다(김경인 2014, 43-44). 도서관 공간 역시 혼자서 또는 누군가와 함께 있을 수 있고, 의도적으로나 우연히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곳이다. 또한, 상념에 잠기거나 휴식을 취하거나 무엇인가에 대처할 수 있는 곳이다(Prentice 2011, 66).
『학교도서관 가이드라인』에서 정의하는 학교도서관이란? 그리고 이용자의 변하는 요구 충족에 맞추어 변경할 수 있는 유연한 공간 구성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학교도서관 가이드라인』(IFLA 2015)에서는 학교도서관을 ‘학생의 정보에서 지식으로의 여행과 개인적․사회적․문화적 성장에서 독서, 탐구, 조사, 사고, 상상, 창의성이 중심을 이루는 학교의 물리적․디지털 학습 공간’으로 정의함으로써 학교도서관 공간이 갖는 교육적 가치를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학교도서관이 갖추어야 할 공간을 ‘학습-연구 영역, 자유 독서 영역, 교수 영역, 매체 제작․집단 프로젝트 영역, 관리영역’과 같이 5개 유형으로 제시하고 있다.
학교도서관이 다양한 교수-학습 공간을 확보할 수 있었던 이유는? 학생의 학교생활에 영향을 끼치는 공간으로서의 학교도서관은 교육 정보화에 따른 학교도서관 미디어 센터화 및 학교도서관 활성화 사업을 통해 본격적으로 주목받게 되었다. 우선, 교육 정보화로 다양한 교수-학습자료를 활용한 학습자 중심의 교육 체계가 마련되면서, 학교 도서관도 도서 자료 열람과 자율학습 공간 중심에서 개별학습과 매체 제작 및 휴식 등을 위한 다양한 교수-학습 공간을 확보하게 되었다. 특히 2001년부터 2004년까지 교육부가 실시한 학교도서관 디지털 자료실 설치 사업을 통해서 DLS(Digital Library Service)를 기반으로 한 하이브리드형 도서관(Hybrid Libraries)이 등장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Ministry of Education. 2019. The 3rd Basic Plan for School Library Promotion.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2. Kim, Kyeong-In. 2014. Space Changes Kids. Seoul: Joongangbooks. 

  3. Kim, Kyung-Ho, Dae-Bong Yeom, and Jong-Seok Kim. 2006. "A Study on the Space Organization of the CDI in Lycee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13(2): 42-49. 

  4. Kim, Byong-Ju. 2003. "A Study on Redesigning of School Library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4(2): 141-158. 

  5. Kim, Jong-Sung. 2011. "A Study on the Fundamentals of Children's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with Special Reference to Service Guidelin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9(2): 469-492. 

  6. Kim, Po-Ok. 2009. Library Disaster Management and Security Handbook.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7. Nam, Young-Joon, Sung-Eun Choi, and Gyu-Hwan Kim. 2009. "A Case Study on the Users Satisfaction in School Library after Remodeling: on the Basis of a Middle School Library in Gyeonggi Provinc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0(4): 31-60. 

  8.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9. National Library Operation Evaluation Index(plan) in 2019. Sejong: Culture, Sports and Tourism. 

  9. Mun, Hyok, Gab-Geun Yoon, and Su-Mi Seo. "A Study on the Spatial Quality and the Environmental Condition of Interior of Elementary School Library." Journal of KICA Serial, (32): 5-12. 

  10.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online]. [cited 2019.11.1]. . 

  11. Yu, Jin-Ah and Yeon-Sook Hwang. 2009. "A Study on the Interior Environmental Condition in Elementary School Library."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Conference Proceedings, 11(1): 249-252. 

  12. Lee, Seung-Yon. 2019. Space is an Experience. Seoul: Bookstone. 

  13. Zhang, Rui, Jin-Woo Lee, and Kyung-Sook Nam. 2014.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Interior Environmental Design in the Reading Room of Public Children's Library: Focused on National Examples of Public Children's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3(5): 183-191. 

  14. Korean Library Association. 2013. Korean Library Standards. 2nd ed.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15. Hong, Kyeong-Sook et al. 2019. How Can We Change the School Space?. Seoul: Changbiedu. 

  16. AASL and AECT. 1998. Information Power: Building Partnerships for Learning. Chicago: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17. Erikson, Rolf and Carolyn Markuson. 2001. Designing a School Library Media Center for the Future. Chicago and London: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18. IFLA. 2015. The IFLA School Library Guidelines. 2nd. edition. [online]. [cited 2019.10.4]. . 

  19. Prentice, Ann E. 2011. Public Libraries in the 21st Century. California: Libraries Unlimited.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