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주변 원룸형 다가구주택의 실내소음수준 실태
Present Condition of Indoor Noise Level in One-Room Type Multi-Family Housings around Campus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14 no.3 = no.50, 2005년, pp.191 - 198  

최윤정 (충북대학교 주거환경소비자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is a preliminary research improving the dwelling quality of one-room type multi-family housings around the university campu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sent condition of Indoor noise level using · residents' responses and field measurements. The responden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일반적으로 차음성 향상을 궁극적 목표로 하는 소음 수준의 측정·평가는 소음 레벨의 즉정과 주파수 분석을 통해 가능하며, 이 경우 주파수대에 따른 소음 레벨이 정확히 분석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거주자가 생활하는 실제 주택에서 생활 소음을 포함한 소음 레벨의 수준과 종류를 파악하려는 목적에서, 주파수 분석을 제외하고 소음레 벨의 측정과 동시에 소음의 종류를 자세히 기록하는 방법을 시도하였다.
  • 대학 주변 원룸형 다가구주택에서 생활 소음을 포함한 실내소 음의 수준과 종류에 대한 실태 파악을 통해 소음저감을 위한 기초자료 제시를 목적으로, 거주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사례주택에서 소음 레벨을 현장 측정한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 주변 원룸형 다가구주택에서 생활소 음을 포함한 실내소음의 수준과 종류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여, 소음 측면에서의 실내계획요소 도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2) 변인 선정 : 본 연구는 '대학생이라는 생활패턴을 가진 거주자가 생활하는 중북 청주시 C 대학교 주변의 원룸형 다가 구 주택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연구의 목적과 연구대상 자체에 주택이 위치한 지역과 주거유형, 거주자 특성이 제한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들 변인에 따른 소음 레벨의 차이 분석을 목적으로 하지 않고, 연구대상의 전반적 실태 파악을 목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학생들이 거주하는 원룸주택의 생활 소음을 포함한 실내소음의 수준과 종류에 대한 실태 파악을 목적으로 하여, 생활 소음을 수용한 상태에서 소음을 측정하였다. 따라서 소음평가지표 중 소음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고 시간에 따라 변동 이 심한 경우 소음 에너지를 시간적으로 평균하여 대수 변환한 지표인 등가소음레 벨을 채 택하였으며 , 측정 방법은 ISO 기준을 따랐다.
  • 설문지는 선행연구와 사전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다. 사전조 사는 연구자가 대학 주변 원룸형 다가구주택이 위치하고 있는 지역과 주택 내부를 현장 답사하여 문제를 발견하고 조사내용을 구성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 주거 내. 외부의 소음 레벨을 측정하고 평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정광용·이태강·김선우(1998)의 주거환경 소음의 심리적 영향요인에 관한 기초적 연구는 소음에 대한 한국어 표현 어휘를 조사하여 소음 평가에 적합한 어휘표를 작성하고, 주거 환경 소음에 대한 심리실험을 실시함으로써 주거환경 소음에 대한 심리적 영향요인을 분류하고자 하였다. 주거환경 소음에 대한 인간의 심리적 반응에 관계되는 요인구조를 분석한 결과, '날카로움'의 요인, '혼란스러움'의 요인 등 5가지로 분류되었고, 그 중 '날카로움'이 가장 주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심영섭, 지방대학 대학촌의 학생주거 실태조사 연구 - 호서대학교 세출리 대학촌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4권 3호, 1998 

  2. 유호천 . 이영아 . 심기용 . 이시욱, 울산시 주요 도로변 공동주택의 교통소음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7권 11호, 2001 

  3. 윤정숙, 주거환경학, 문운당, 1995 

  4. 윤효진 . 조진균 . 김윤덕 . 김병선, 도로교통소음에 따른 거주자의 주관적 반응 평가,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 20권 1호, 2000 

  5. 이언구 . 박진철 . 신인중 . 권영철, 건축환경측정 및 실습, 세화, 2000 

  6. 이혜정 . 홍영애 . 김성화 . 권소현 . 최무혁. 대학주변 원룸형 다가구주택의 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지, 10권 2호, 1999 

  7. 정광용 . 이태강 . 김선우, 주거환경소음의 심리적 영향요인에 관한 기초적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4권 11호, 1998 

  8. 吉田拓正, 道路交通?音と住民の自覺症狀の關係, 日本建築學會大會學術講演梗?集 D環境工學, 1991 

  9. 吉野 泰子 . ?口 克明, 集合住宅の居住後評價法に關する失態調査 - 音.光.空氣.?熱環境について-, 日本建築學會大會學術講演梗?集 D環境工學, 1994 

  10. 古屋 浩 . 藤本一壽 . 春田千秋, 都市環境?音に關する調査?究(1)-(2), 日本建築學會大會學術講演梗?集 D環境工學, 1994 

  11. 室?環境フォラム 編輯. オフィスの室?環境評價法 POEM-O普及版. 1994 

  12. http://www.me.go.kr (환경부) 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 별표 1, 환경기준 제2조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