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증진사업 시범여부에 따른 지역주민의 사업인식과 참여도, 건강행위 비교 연구
Health Behaviors between a Health Promotion Demonstration Health Center and a General Health Center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5 no.3, 2005년, pp.461 - 468  

이태화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정책연구소 연구원) ,  이정렬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정책연구소 연구원) ,  김희순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정책연구소 연구원) ,  함옥경 (경북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community residents' perceptions,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behavioral changes between a health promotion demonstration health center and general health center. Method: The design of the study was ex-post facto that compared community residen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의 제한점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두 대상 집단의 동질성문제와 전후 비교가 없었던 것이 건강증진사업의 영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데 제한적이었다. 둘째, 본 연구는 횡단적 연구로서 건강증진사업의 가장 중요한 효과인 대상자의 건강행위변화를 보기에 시간적으로 부적합한 연구설계 였다. 따라서, 추후연구에서는 종단적 연구를 통해 건강 행위변화 및 삶의 질, 건강위험요인의 감소등 다른 주요 변수들의 변화가 함께 측정되어 건강증진 효과가 좀 더 객관적이고 심도 있게 다루어지기를 제안한다.
  • '그러므로 많은 시행착오를 줄이고 전체 국민의 건강수준향상을 위한 전략으로서 건강증진 시범보건소 사업의 총괄적인 평가는 매우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범보건소 사업의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보건소에서의 건강증진사업을 보다 더 체계적으로 기획, 확산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각 프로그램별 만족도를 4점 척도로 측정한 후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을 때, 금연프로그램을 제외한 모든 프로그램(운동, 영양, 구강 및 고혈압예방관리)에서 시범보건소의 만족도 평균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Table 3]. 만족도와 함께 건강증진 프로그램에서 제공된 정보의 유용성 및 타인권유 의향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건강증진 프로그램에서 제공된 정보의 유용성에 대하여는 시범보건소 응답자의 78%가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고, 일반보건소 응답자의 67.
  • 본 연구는 건강증진사업 시범여부에 따른 지역주민의 사업 인식과 참여도, 건강행위를 비교 하기 위하여 시범보건소군와일반보건소군을 비교한 후향적 조사연구(ex-post facto study) 이다. 본 연구에서 시범보건소란 보건복지부로부터 보건소 건강증진사업의 시범적인 추진을 위해 1998년부터 3년간 건강증진사업에 대한 예산, 인력교육 및 기술지원을 받아 운동, 영양, 구강보건, 금연, 고혈압예방관리등의 건강증진사업을 수행한 전국의 18개 보건소를 의미한다.
  • 본 연구는 보건소를 중심으로 한 건강증진사업 시범 여부에 따른 지역주민의 사업 인식도, 참여도, 만족도, 및 건강 행위변화의 차이를 비교하여, 앞으로 보건소에서의 건강증진사업을 보다 더 체계적으로 기획, 확산하는데 근거자료로 제공하고자 하고자 시도되었으며 주요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보건소를 중심으로 한 건강증진사업이 지역주민의 사업 인식도, 참여도, 만족도, 및 건강행위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여, 앞으로 보건소에서의 건강증진사업을 보다더 체계적으로 기획, 확산하는데 근거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정부의 보건소를 중심으로 한 건강증진 시범사업의 효과를 지역주민의 측면에서 평가하여 건강증진사업을 전국적으로 확산하기 위한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고, 궁극적으로는 국민의 건강수준의 향상에 기여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건강증진이라는 개념은 오래동안 간호에서 기본적인 개념이었으나 최근들어 새롭게 관심이 증가되는 이유는 수명연장과 삶의 질의 향상은 평상시에 건강한 생활방식을 가짐으로서최선으로 얻을 수 있고, 가능할 때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증진하는 것이 질병을 치료하는 것보다 더 비용 효과적이라는 사실에서 기인한다。ender, 1996).
  • 건강증진이라는 개념은 오래동안 간호에서 기본적인 개념이었으나 최근들어 새롭게 관심이 증가되는 이유는 수명연장과 삶의 질의 향상은 평상시에 건강한 생활방식을 가짐으로서최선으로 얻을 수 있고, 가능할 때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증진하는 것이 질병을 치료하는 것보다 더 비용 효과적이라는 사실에서 기인한다。ender, 1996). 본 연구에서는 건강증진사업을 두 가지 측면에서 평가한다고 볼 수 있는데 보건소가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잘 기획하여 지역주민들이 얼마나 인지하고, 참여하고, 만족하였는지에 대한 과정적이고 단기적인 평가와 건강증진사업이 궁극적으로.지역주민의 생활양식이나 건강 행위를 어떻게 변화시켰는지를 평가하는 결과적이고 장기적 평가, 이 두 가지가 다 포함되었다.
  •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앞의 내용을 포괄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인지도, 참여도, 만족도 측면에서 개발하여 측정하였다. 연구결과에서, 지역주민의 건강증진사업 인식도, 참여도, 만족도를 비교하였을 때, 먼저 인식도에 있어서는 구강 프로그램을 제외한 운동, 영양, 금연, 고혈압예방관리 프로그램에 있어서 시범보건소군의 인식도이 일반보건소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 또한 특정 프로그램의 효과평가에 있어서도 각 연구마다 상이한 평가틀과 내용을 가져 타 연구와 비교하기가 어려운 점도 지적되었다(Finkler & Hanson, 1995). 이에 본 연구에서는 3년간의 보건소 건강증진시범사업의 효과 평가를 같은 평가도구를 가지고 비교적 많은 대상자에게 적용하여 과정적 측면에서 사업에 대한 인식도, 참여도, 만족도를, 결과적 측면에서 건강행위의 변화를 직접수혜자인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포괄적으로 평가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Duffy, M. E. (1993). Determinants of reported health promoting lifestyles in older persons, J of Nursing Scholarship, 25(1), 23-28 

  2. Finkler, S. A., & Hanson, K. L. (1995). Management techniques at primary care health centers : The impact of management innovation. J Ambulatory Care Manage, 18(2), 47-53 

  3. Hartman, T. J., et al. (1997). Results of a community-based low literacy nutrition education program. J Community Health, 122(5), 325-341 

  4. Kar, S. (1993). Health promotion movement implications for strategy and actio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Conference on Health Promotion. Seoul. Korea 

  5. Kim, M. H., & Nam, C. H. (1997). Health behaviors and related factors in elderly. J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17(1). 148-158 

  6. Lee, K. J., Yoon, J. Y., Ko, I. S., Lee, T. W., & Joo, Y. S. (2000). A predictive model of health promotion in elderly. Unpublished Report 

  7. Lee, S. J. (2000). An application effect of rhythmic movement program for the health promotion in the elderly. J of Korean Acad Nurs, 30(3), 776-790 

  8. Martin, J. C, & Panicucci, C. L. (1996). Helath related practices and priorities: The health behaviors and beliefs of community-living black older women. J of Gerontological Nursing, 22(4), 41-48 

  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1). Report of technical support advisory on health promotion demonstration project. Unpublished Report 

  10. Nam, J. J. (2000). Health education strategies for health center health promotion program. Jouran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17(1), 171-184 

  11. Ockene, J. K. (1999). Primary care-based smoking interventions. Nicotine Tob Res, suppl, 2, 189-193 

  12. Park, J. M., & Han, S. H. (2003). The effect of exercise program on health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J of Korean Acad Nurs, 33(2), 220-227 

  13. Park, Y. J. et al. (2000). Meta-analysis of health promotion related factors. J of Korean Acad Nurs, 30(4), 836-846 

  14. Pender, N. (1996).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3rd ed). Stanford, CT: Appleton & Range 

  15. Petridou, E., Tolma, E., Dessypris, N., et al. (1997). A generalled evaluation of a community injury prevention project in two greek islands. Int J Epidemiol, 26(1), 173-179 

  16. Suh, I. S. (2000). Health knowloge level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for the elderly. Korean J of Research in Gerontology, 9, 51-70 

  17. Stefiuk, W., Green, K. L, Turnell, R., et al. (2002). Process evaluation of the saskatoon breast feeding center. J Hum Lact, 18(1), 29-37 

  18. Timmreck, T. C. (1995). Planning,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Sudbury, MA: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19. Wardle, J., Steptoe, A. Socioeconomic differences in attitudes and beliefs about healthy lifestyles.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57(6), 440-3 

  20. Weinehall, L., Westman, G., Hellsten, G., et al. (1999). Shifting the distribution of risk : results of community intervention in a Swedish programme for the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53(4), 243-250 

  21. WHO (1986). Ottawa chater for health promotion. WHO, Geneva 

  22. Yu, E. S., Chen, E. H., Kim, K. K., et al. (2002). Smoking among Chinese Americans: behavior, knowledge, and beliefs. Am J Public Health, 92(6), 1007-1012 

  23. www.ncoa.or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