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urnover intention, emotional labor,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in nurses. Methods: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297 nurses from three general hospitals in two local cites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rom August 26 to September 10, 2013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t-test, Pearson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WIN 18.0 program. Results: The average scores for turnover intention, emotional labor,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respectively, were 3.45, 3.08, and 3.44 out of 5. The novices recognized that their emotional labor and turnover inten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and their communication competence was lower than other nurses. Nurses' turnover intention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ir emotional labor, but no relationship with communication competence. Job satisfaction, frequency of emotional expression, and emotional dissonance had an effect on nurses' turnover intention.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are very important factors affecting nurses' turnover intention. So, nurse managers should try to minimize nurses' emotional labor and maximize their job satisfaction by developing various human relationship educational and support programs and using them.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간호사 이직의도 | 관리자는 간호사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실제의 원인과 기전들을 파악해야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간호사 이직은 임금이나 승진제도, 근무조건이나 직무환경과 같은 조직차원의 요인들과 직무 불만족이나 부적응과 같은 개인차원의 요인들이 함께 작용해 그 원인과 기전이 매우 복잡하므로
이직의도와 이직이 동일한 개념은 아니지만 이직의도가 이직을 잘 설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연구하기도 수월하고 조직원의 이직을 예방할 수 있게 만든다는 점에서 유용하다[2,3]. 간호사 이직은 임금이나 승진제도, 근무조건이나 직무환경과 같은 조직차원의 요인들과 직무 불만족이나 부적응과 같은 개인차원의 요인들이 함께 작용해 그 원인과 기전이 매우 복잡하므로[2,4] 관리자는 간호사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실제의 원인과 기전들을 파악하여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낮추도록 노력해야 한다. |
간호사의 이직증가 | 간호사의 이직증가가 간호관리에서 중요한 주제가 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
간호사의 이직증가는 조직 차원에서는 간호서비스 질과 병원의 이미지를 저하시키고 병동 차원에서는 남아있는 간호사들의 사기를 저하시켜 생산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간호관리에서 중요한 주제가 되고 있다
9%로 병원의 규모가 작고 병상수가 적을수록 이직률이 높게 보고되었다[1]. 간호사의 이직증가는 조직 차원에서는 간호서비스 질과 병원의 이미지를 저하시키고 병동 차원에서는 남아있는 간호사들의 사기를 저하시켜 생산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간호관리에서 중요한 주제가 되고 있다[2]. |
감정노동 | 본 연구에서 감정노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한 도구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
도구는 서비스 제공자가 감정표현을 얼마나 자주 하는지를 의미하는 감정표현 빈도 3문항, 감정표현 시 요구되는 주의정도를 의미하는 감정표현 주의성 3문항, 조직이나 직장에서 요구되는 감정표현과 자신이 느끼는 감정 간의 차이를 의미하는 감정부조화 3문항으로 구성되는 총 3 하위영역, 9문항이다.
감정노동은 Morris와 Feldman[25]이 개발하고 Kim[26]이번역하고 수정 ‧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도구는 서비스 제공자가 감정표현을 얼마나 자주 하는지를 의미하는 감정표현 빈도 3문항, 감정표현 시 요구되는 주의정도를 의미하는 감정표현 주의성 3문항, 조직이나 직장에서 요구되는 감정표현과 자신이 느끼는 감정 간의 차이를 의미하는 감정부조화 3문항으로 구성되는 총 3 하위영역, 9문항이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