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여성의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Effect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Middle-Aged Women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5 no.3, 2005년, pp.494 - 502  

이군자 (가천길대학 간호과) ,  장춘자 (가천길대학 간호과) ,  유재희 (가천길대학 간호과) ,  이여진 (가천길대학 간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asual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in the Pender's model and to explain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middle-aged women in order to facilitate nursing interventions for this population group. Method: 116 women between 40$\~$60 years old liv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결혼만족도, 체질량지수, 갱년기 지식을 조정요인에 포함시켜 이 요인들의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고자한다.
  • 본 연구는 신체 생리적, 사회 심리적으로 다양한 변화를 경험하는 중년여성의 건강증진행위를 설명하기 위한 구조모형을 제시하고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제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중년 여성의 건강증진행위 실천을 증진시키기 위한 간호 중재 방안 모색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하여 Pender의 건강증진 모형과 여성건강 관련 연구결과를 토대로 주요 개념을 선정, 종합하여 기초 가설적 모형을 구성하였다.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2002년도 인천광역시 중구보건소 모자보건선도 사업으로 실시한 중구 관내 갱년기 여성의 실태조사를 근거로 개발된 건강관리 교육 프로그램을실시하여, 중년 여성의 건강증진 모형을 구축하며 또한, 중년여성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통해 중년 여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설계는 문헌고찰을 통하여 중년기 여성의 건강증진행위를 설명하는 가설적 모형을 도출하고, 중년기 여성을대상으로 건강증진행위를 횡단적으로 조사하여 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는 관계검증 연구이다.

가설 설정

  • . 제 10가설 : 건강증진행위는 결혼만족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 . 제 11가설 : 건강증진행위는 체질량지수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 . 제 12가설 : 건강증진행위는 갱년기 증상에 의해 영향을받는다.
  • . 제 13가설 : 건강증진행위는 갱년기 지식에 의해 영향을받는다.
  • . 제 14가설 : 건강증진행위는 자기효능감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 . 제 15가설 : 건강증진행위는 건강상태지각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 .

    제 1가설 : 갱년기 지식은 교육정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 . 제 2가설 : 자기효능감은 월수입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직접효과。'22=-.
  • . 제 3가설 : 자기효능감은 결혼만족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직접효과(T23=-.
  • . 제 4가설 : 자기효능감은 갱년기 지식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직접효과(阻1=.
  • . 제 5가설 : 자기효능감은 건강상태지각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 . 제 6가설 : 건강상태지각은 결혼만족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 . 제 7가설 : 건강상태지각은 체질량지수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 . 제 8가설 : 건강상태지각은 갱년기 증상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 . 제 9가설 : 건강증진행위는 월수입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직접효과(T42=.
  • 제 10가설 : 건강증진행위는 결혼만족도에 의해 영향을 빋는다.
  • 제 11가설 : 건강증진행위는 체질량지수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 제 12가설 : 건강증진행위는 갱년기 증상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 제 13가설 : 건강증진행위는 갱년기 지식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 제 14가설 : 건강증진행위는 자기효능감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 제 15가설 : 건강증진행위는 건강상태지각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 제 1가설 : 갱년기 지식은 교육정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 제 2가설 : 자기효능감은 월수입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 제 3가설 : 자기효능감은 결혼만족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 제 4가설 : 자기효능감은 갱년기 지식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 제 5가설 : 자기효능감은 건강상태지각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 제 6가설 : 건강상태지각은 결혼만족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 제 7가설 : 건강상태지각은 체질량지수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 제 8가설 : 건강상태지각은 갱년기 증상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 제 9가설 : 건강증진행위는 월수입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hoi, N. Y., Choi, S. Y., Jo. H. J. (1998). A Study on The Degree of Knowledge of Menopause And Management of Menopause Women. Korean Acad. Women's Health Nurs, 4(3), 402-415 

  2. Desmond, A. W., Conrad, K. M., Montgomery, A., Simon, K. A. (1993). Factors Associated With Male Workers Engagement in Physical Activity. Americ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Health Nurses, 41(2), 73-83 

  3. Duffy, M. E. (1988). Determinants of Health Promoting in Midwife Women. Nur. Research, 37(6), 358-362 

  4. Gillis, A., Perry, A. (1991).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in Mid-Life Women. J of Advanced Nursing, 16, 299-310 

  5. Han, I. K., Park, K. O., Kim, H. M., Cho, N. H. (1998). Climacteric Symptoms And Perception in Middle Aged Korean Women. J Korean Society of Menopause, 4(1 ), 3-15 

  6. Hong, Y. S. (1998). A Structural Model for Health-Seeking Behavior in Midwife women. Department of Nursing The Graduate School of Chung Ang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7. Korea National Statistics Office (2003). Life Table[online] 

  8. Korea Society of Menopause (2000). Health of Menopause. 2nd Ed. Kunja Publishing Co 

  9. Lee, K. J., Chang, C. J., Yoo, J. H. (2003).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Climacteric Symptoms, Knowledge of Menopause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Middle Aged Women. Korean Acad Women's Health Nurs, 9(4), 400-409 

  10. Lee, T. H. (1990). Determinant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Department of Nursing The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Master Thesis 

  11. Lee, S. J., Park, E. S., Park, Y. J. (1996). Determinant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Middle Aged Women in Korea. J of Korean Acad of Nurs., 26(2), 320-336 

  12. McCubbin, H., & Patterson, J. (1987). Family Inventory of Life Events and Change. In H. I. McCubbin & A. I. Thompson(Eds.). Family Assessment for Research and Practice. p80-98. Maidson, WI : University of Wisconsin 

  13.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2000). Health Problem And Policy of Women's Life Cycle 

  14. Park, C. S. (1995). A Model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Late-Middle Aged Women. Department of Nursing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15. Park, Y. S., Cho, I. S. (2001). A Society of Urban Middle-Aged Women's Transition. Korean Acad Women's Health Nurs, 7(4), 481-494 

  16. Pender, N. J., Pender, A. R. (1987).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Appletion & Lange 

  17. Pender, N. J., Walker, S. N., Sechist, K. R., Frank-Stromborg, M. (1990). Predicting Health- Promoting Lifestyle in The Workplace. Nurs, Research, 39(6), 326-332 

  18. Suh, Y. O. (1994). Structural Model of Health Lifestyle in Middle Women. College of Nursing The Graduate School Kyunghee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19. Song, A. R. (1997). A Study on Management of Menopause of Climacteric Women. J Korean Society of Menopause, 3(2), 140-160 

  20. Spaeke, D. L, Cowart, M. E., Pellet, K. (1989). Health Perception & Lifestyle of The Edlerly. Research in Nurs & Health, 12, 93-100 

  21. Strecher, V. J., Devillis, B. M., Becker, M. H., Rosenstock, I. M. (1986). The Role of Self-efficacy in Achieving Health Behavior Change. Health Education Quaterly, 13(1), 73-91 

  22. Walker, S. N., Sechrist, K. R., Pender, N. J. (1987).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 Research, 36(2), 76-80 

  23. Weitzel, M. H. (1989). A Test of The Health Promotion Model With Blue Color Workers. Nur. Reaserch, 38(2), 99-104 

  24. Yoo, J. H. (2000).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Self-Care Behavioral Compliance And Perceived Self-efficacy in Type II Diabetic Patients. J of Korean Acad. of Fundamental Nurs., 7(3), 453-465 

  25. Yun, S. N. (2004, October). Policy Directions and Researchs in Health Promotion, 69-79.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RlNS : Seoul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