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형 노인 건강증진프로그램 개발 연구: PRECEDE 모형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the Tailored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Rural Elderly: Based on the PRECEDE Model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2 no.4, 2005년, pp.179 - 202  

오윤정 (거창전문대학 간호과) ,  박정숙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rural elderly through PRECEDE process. Method: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preliminary diagnosis. The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from March 10th to April 9th, 2003. The subjects were sel...

주제어

참고문헌 (39)

  1. 거창군. 제 3기지역보건 의료계획. 거창군: 경남: 거창군,2003 

  2. 고영완 외 5명. 체력평가와 운동처방. 홍창, 2002 

  3. 구미옥 외 5명.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노인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2002;32(3):384-394 

  4. 김선엽.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노인의 건강증진에 미치는 영향[박사학위논문]. 대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1997. 

  5. 김은영, 전경자. 보건소의 노인정 운동 프로그램 실시에 따른 노인의 인지지각요인, 건강증진 및 생활만족도 비교.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0;11(1):80-89 

  6. 김은주. 농부증 영향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2;13(4):817-825 

  7. 김희자, 김주현, 박연환. 일지역 농촌 노인들의 건강증진 행위에 미치는 요인. 성인간호학회지 2000;12(4):573-583 

  8. 노유자. 서울지역 중년기 성인의 삶의 질에 관한 분석 연구[박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8. 

  9. 문명자. 재가 노인의 일상생활 기능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재활간호학회지 2001;4(1):46-57 

  10. 문화관광부. 나의 체력 수준은? 서울: 문화관광부, 1999 

  11. 맹광호. 한국 농촌주민의 농부증에 관한 연구: 일반 질환 유병상태와의 관계. 인간과학 1980;4(10):45-51 

  12. 박은숙 외 5명. 노인의 건강증진 행위 및 삶이 질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간호학회지 1998; 28(3):638-649 

  13. 박정숙. 도시와 농촌지역 노인의 건강증진 행위와 지각된 건강상태 비교. 한국농촌의학회 2003; 27(2):137-148 

  14. 박정숙, 오윤정. 농촌노인의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건강증진프로그램 요구도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4;15(1):5-17 

  15. 신유선. 일부 도시, 농촌 노인의 건강상태 비교연구: 부산, 경남 지역을 중심으로. 지역사회간호학지 1997;8(2):237-249 

  16. 우선혜, 김효정, 박영숙. 유산소 리듬 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혈압, 심박수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보건협회학회지 2001;27(3): 225-232 

  17. 윤순녕 외 5명. 건강증진. 수문사,2000 

  18. 이가영, 박태진. 노인에서의 건강행위와 신체적 건강상태의 관련성. 가정의학회지 1998;19(7):672-683 

  19. 이경혜, 박미영. 경남 일부지역 농촌노인의 영양섭취조사: 건강과 노화상태 및 생활만족도를 중심으로.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2001;6(5):773-788 

  20. 이인배 외 5명. 일부 농촌지역 비닐하우스 재배자들의 농부증 실태와 관련요인. 한국농촌의학회 1999;24(1):13-33 

  21. 장성옥, 박영주, 이숙자, 박은숙. 노인의 지각된 건강 영향요인, 건강관행 수행과 지각된 건강 상태에 관한 연구. 간호학논집 1999;1(1): 71-81 

  22. 장성옥, 이평순, 박은영. 노인의 운동실천단계와 관련변인과의 관계 연구. 대한간호학회지2002;32(5):609-623 

  23. 정영미.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노인의 건강에 미치는 효과[박사학위논문]. 서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1. 

  24. 조소영, 김점자. 한국농촌 노인의 건강증진 관리 요구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1996;10(2):146-161 

  25. 주경식, 김한중, 이선희, 민혜경. 도시농촌 간 의료 이용 수준의 비교분석. 예방의학회지 1996;29(2):311-330 

  26. 최인석. 농촌 노인문제 이제 관심을 갖자: 열악한 의료 환경. 농민신문 1999년 11월 1일자 

  27. 통계청. 2000년 인구주택 총 조사. 서울: 통계청, 2001 

  28. 통계청. 2001년 사망원인 통계연보. 서울: 통계청,2002 

  29.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1 국민건강.영양조사. http://www.kihasa.re.kr/html $_{}$ 04_01.jsp. 2002 

  30. 황연희. 농촌지역 노인이 지각하는 생활 및 건강실태에 관한 조사연구[석사학위논문]. 경남: 인제대학교 대학원, 1996. 

  31. Armer JM, Elise-Radina M. Definition of health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among midwestern old order amish families. The J of Multicultural Nursing & Health 2002; 8(3):43-52 

  32. Brody EM Long-term care of older people: a practice guide. New York, Human Science Press, 1997 

  33. Lawston MP, Moss M, Fulcomer M, Kleban MH. A research and service oriented multi-level assessment instrument. J of Geronotology 1982;37(1):91-99 

  34. Nied R, Franklin B. Promoting and prescribing exercise for the elderly. American Family Physician 2002;65(3):419-426 

  35. Nobuo, T et al. Water based exercise improves health related aspects of fitness in older women.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2002;34(3):544-551 

  36. Pullen C, Walker SN, Fiandt K. Determinants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behaviors in rural older women. Family & Community Health 2001;24(2):49-72 

  37. Sherer M, Maddix JE.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 1982;51:663-671 

  38. Walker SN, Sechrist KR, Pender NJ, HPLP II. Nebraska, University of Nebraska Medical Center, 1995 

  39. Weider A, Bordman K, Mittelmann B, Wescher D, Wolff HG. Cornell service index. War Medicine, 1945;7:20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