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RECEDE 모형을 활용한 의무경찰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the Auxiliary Police based on the PRECEDE Model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9 no.2, 2020년, pp.150 - 159  

김영진 (경북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송미령 (대구보건대학교 간호대학) ,  박경민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of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the Auxiliary Police based on PRECEDE model.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Auxiliary Police officer in the D provincial Police Agency. The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analysis of literature review, an...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PRECEDE 모형을 기반으로 사정과 선행연구 분석, 요구도 조사, 건강증진 프로그램 타당도 검증과 예비실험 후, 수동적 조직환경에 처한 의무경찰의 능동적인 건강증진행위를 제고하여 궁극적으로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중재기간은 7주로 구성하였고, 총 7회, 90분(심폐소생술 120분)으로 시행하도록 개발하였다.
  • 본 연구는 의무경찰을 대상으로 PRECEDE 모형을 활용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의무경찰이라는 특수집단의 부대적응의 전반적인 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다차원적인 접근과 조직의 특성을 고려한 능동적인 활동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기반하였다.
  • 의무경찰을 대상으로 한 부대적응에 관한 선행연구에서는 군생활 프로그램을 그대로 적용하는데 그쳐(Kim, Yun, & Han, 2008), 의무경찰의현실에 부합하는 다양한 영향요인에 관한 포괄적인 후속연구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RECEDE 사정단계를 거쳐 의무경찰의 건강을 진단하고, 진단된 문제개선을 위한 신체적, 정신적, 인지적, 환경적 요인 을 사정하며, 나아가 능동적인 건강증진으로 건강위험요인을 줄이고, 스트레스 저항자원을 제공함으로써 적극적인 위기대처가 가능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도록 하고자 한다.
  • PRECEDE 단계에서 확인된 다빈도 질환과 자체사고로 발생되는 건강문제 요인과 관련된 행동을 결정하는 교육, 생태학적 요인인 성향요인, 강화요인, 촉진요인의 개선을 중심으로 건강문제에 따른 중재로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사전적 사정과정에서 대상자의 건강문제 요인과 건강증진행위와 부대부적응 요인을 포괄적으로 파악한 자료 및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현실적으로 수용 가능하도록 하였다. 구체적인 내용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교육으로 분류하고, 건강집현전, 질병정보(KCDC, 2018), 응급처치 매뉴얼, 좌 식복합운동(Park, 2012),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Hwang, Lee, Jun, Sim, & Gun, 2011) 등을 반영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무경찰의 성향은? 의무경찰은 군복무 대체로 경찰업무를 보조하는 인력으로서, 18세부터 지원하여 시위진압 및 사회치안활동을 21개월간 수행한다. 의무경찰의 연령은 청소년 후기에 해당하며 탈권위적이고 개인주의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권위적인 조직구조와 규율화 된 생활환경, 불규칙적인 근무시간으로 인한 스트레스로 건강위협 요인이 높아 사회학적, 보건학적 관심대상이 되고 있다(Jung, 2012).
의무경찰의 삶의 질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은? 의무경찰의 건강에 관한 여러 문제들은 의무경찰의 삶의 질 저하로 귀결된다(Lee, Yom, & Chang, 2011). 선행연구에서는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찾으려는 시도가 있었으며 그 주된 요인으로 건강과 기능에 직접 영향을 주는 신체적 요인, 스트레스와 같은 정신적 요인, 자기효능감과 같은 인지적 요인, 사회적 지지와 같은 환경적 요인이 제시된 바 있다 (Lee, Yom, & Chang, 2011). 의무경찰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해서는 신체적 건강증진,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에 대한 체계적인 건강사정과 분석 바탕으로 부대환경을 고려한 관리방안을 도입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노력이 요구된다 (Jung, 2012).
의무경찰이란? 의무경찰은 군복무 대체로 경찰업무를 보조하는 인력으로서, 18세부터 지원하여 시위진압 및 사회치안활동을 21개월간 수행한다. 의무경찰의 연령은 청소년 후기에 해당하며 탈권위적이고 개인주의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권위적인 조직구조와 규율화 된 생활환경, 불규칙적인 근무시간으로 인한 스트레스로 건강위협 요인이 높아 사회학적, 보건학적 관심대상이 되고 있다(Jung,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urm, E. E., Kim, Y. J., & Kang, G. Y. (2017). The relationship between trauma experience, anger level and stress coping of conscripted policemen.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7(6), 567-577. 

  2. Cho, J. H., Kang, M. J., Seok, J. M., Jeun, S. J., Lim, Y. S., Jeong, J. K., et al. (2011). Survey of the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riot police and conscripted policeman in radiologic examin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5(6), 315-324. 

  3. Cho, S, Y., Hyun, H, S., Jeong, O, J., & Jeong, Y. S. (2010). Development of a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Army soldiers using the PRECEDE model. Gunjin Nursing Research, 28(2), 14-28. 

  4. Choi, E. R., Kim, W. J., & Ahn, Y. K. (2011). A study on preventive measures in suicides of conscript policemen. The Journal of Social Science, 18(1), 69-88. 

  5. Go, G. H. (200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youth stress management program.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Seoul. 

  6. Green, L., & Kreuter, M. (1991). Health program planning: An educational and ecological approach (pp. 1-600). New York: Mc-Graw Hill. 

  7. Hyun, H. S., & Lee, I. S. (2008). A study on stress and symptoms of stress in soldiers in the arm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2), 238-247. 

  8. Hwang, J. W., Lee, Y. O., Jun, E. J., Sim, Y. H., & Gun, C. H. (2011). The basic study for development of mental health promotion program which is executed by collaboration of the military and the civilian. Korean Academy of Military Social Welfare, 4(2), 99-125. 

  9. Jung, S. A. (2012). Study about the stress factors of military and Auxiliary Police. The Journal of Police Science Korea National Police University, 12(1), 175-196. 

  10. Jung, Y. K., & Lee, C. H. (2014). Influence of preventive measurements on military life adjustment mediated by stress. Korean Security Science Review, 41, 241-261. 

  11. Kinzie, M. B. (2005). 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for health behavior change.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56(1), 3-15. 

  12. Kim, J. I., Yun, H. S., & Han, S. O. (2008). The effect of the military adaptation improvement program on stress, depression, suicidal thoughts, self-esteem, and military adapt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 Fundam Nurs, 15(3), 387-394. 

  13. Kim, Y. J., & Park, K. M. (2016). Relation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mental health and military life adjustments of conscripted policemen.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6(1), 197-212. 

  14. Lee, B. H. (2014).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New-generation Auxiliary Policemen. Korean Association for Public Security Administration, 11(3), 117-140. 

  15. Lee, K. E., Yom, Y. H., & Chang, H. K. (2011). Influences of acculturative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subjective quality of life among Chinese students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3), 514-523. 

  16. Min, S. K., Lee, C. I., Kim, K. I., Suh, S. Y., & Kim, D. K. (2000).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WHO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 (WHOQOL-BREF).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 571-579. 

  17. Na, E. J. (1998). Analysis of variables related to the health promotion lifestyle of patients in the recovery period of military hospita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8. Park, B. J. (2012). The effect of seated complex excercise on functional fitnes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frail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9. Prodaniuk, T. R., Plotnikoff, R. C., Spence, J. C., & Wilson, P. M. (2004).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environment and physical activity in the workplace.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1(1), 7-11. 

  20. Roh, M. Y., Lee, H. K., Lee, C. Y., & Kim, G. S. (2012). Correlates of physical activity among Korean Navy Personnel: An ecological approa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3(3), 296-306. 

  21. Sherer, M., Maddux, J. E.,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 Rogers, R. W.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2), 663-671. 

  22. Tracy, E. M., & Whittaker, J. K. (1990). The social network map: Assessing social support in clinical practice. Families in Society, 71(8), 461-4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