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식산 볼락, Sebastes inermis Cuvier의 성장 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Cultured Dark-Banded Rockfish, Sebastes inermis Cuvier 원문보기

韓國養殖學會誌 = Journal of aquaculture, v.18 no.3, 2005년, pp.147 - 153  

최희정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생물자원연구본부) ,  홍경표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생물자원연구본부) ,  오승용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생물자원연구본부) ,  노충환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생물자원연구본부) ,  박용주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생물자원연구본부) ,  명정구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생물자원연구본부) ,  김종만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생물자원연구본부) ,  허준욱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과학기술연구소) ,  장창익 (부경대학교 해양생산관리학과) ,  박인석 (한국해양대학교 해양환경 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양식산 볼락, Sebastes inermis Cuvier의 자 치어 시기부터 성어에 이르기까지의 성장 특성을 조사하여, 본 종에 대한 수산생물학적 연구 및 양식기술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250마리의 어미로부터 생산된 동일한 일령의 자어를 대상으로 산출 직후부터 1,350일째까지의 성장 특성을 조사하였다. 볼락에 있어서 산출 후 경과 일수(days after parturition, X)에 대한 전장(total length, TL)의 성장은 $TL=0.0217X\;(r^2=0.8867)$, 그리고 체중(body weight, BW)의 성장은 $BW=0.0001X^2+0.0713X\;(r^2=0.9858)$의 관계가 있었다. 또한 전장에 대한 체중의 상대성장은 $BW=0.0072TL^{3.4373}\;(r^2=0.9945)$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출 후 경과일수(X)에 따른 눈지름(eye diameter, ED) 성장은 $ED=-2E-5X^2+0.0326X$ ($r^2=0.9886;$ X, 산출 후 기일)의 관계식에 따랐다. 전장에 대한 두장(head length, HL), 주둥이길이 (snout length, PHL) 눈지름(ED), 후두부길이(postorbital head length, PHL)와의 관계는 각각 $HL=0.2652TL\;(r^2=0.9758),\;SL=0.0613TL\;(r^2=0.9602),\;ED=0.0752TL\;(r^2=0.9715)$, 및 $PHL=0.2652TL\;(r^2=0.9501)$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growth pattern of dark-banded rockfish, Sebastes inermis Cuvier, produced by aquaculture in Korea. Larvae from 250 maternal full-sibs were reared until 1,350 days after parturition. During the rearing period, growth equations on days after parturi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볼락의 성장 특성에 대한 연구는 종묘 초기 단계의 전장(total length) 성장에만 국한되어있어 (김 등, 1993) 장기간의 성장 특성에 관한 세밀한 조사가 요구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볼락의 초기 성장을 비롯하여 1, 350일에 걸친 사육을 통해 성장 특성 및 두부 관련 형질 (head parameter)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양식산 볼락, Sebastes inermis Cuvier 의자 · 치어 시기부터 성어에 이르기까지의 성장 특성을 조사하여, 본 종에 대한 수산생물학적 연구 및 양식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250마리의 어미로부터 생산된 동일한 일령의 자어를 대상으로 산출 직후부터 1, 350일째까지의 성장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rane, S. A., J. M. Fenaughty and R. W. Gauldie, 1987. The relationship between eye diameter and fork length in the spiny dory, Allocyttus sp. New Zealand J. Marine Fresh. Res., 21, 641-642 

  2. Fujita, S., 1957. On the larval stages ofa scorpaenid fish, Sebastes pachycephalus nigricans (Schmidt). Japan J. Ichthyol., 6, 91-93 

  3. Fujita, S., 1958. On the egg development and larval stages of a viviparous scorpaenidae fish, Sebastes obiongus Giinther. Bull. Japan Soc. Sci. Fish., 24, 475-479 

  4. Mio, S., 1960. Studies on population biology of coastal fishes in Kyushu. I. Biology of Sebastes inermis (Cuvier et Valencinnes). Oceanographic Works in Japan, .5,419-436 

  5. Mizue, K., 1958. Studies on a scorpaenous fish Sebastiscus marmoratus (Cuvier et Valenciennes). II. The seasonal cycle of mature testis and the spennatogenesis.. Bull. Fac. Fish. Nagasaki Univ., 6, 27-38 

  6. Neff, K. C., 1987. Staining amphibian peripheral nerves with sudan black B: progressive vs. regressive methods. Copeia, 1987,489-491 

  7. Park, I.-S., C. I. Zhang and Y. D. Lee, 2001a. Sexual dimorphism in morphometic characteristics of cocktail wrasse. J. Fish Biol., 58, 1746-1749 

  8. Park, I.-S., J. H.lm, D. K. Ryu, Y. K. Nam and D. S. Kim, 2001b. Effect of starvation on morphometric change in Rhynchocypris oxycephalus (Sauvage and Dabry). J. Apply. lchthyol., 17, 277-281 

  9. Park, I.-S., Y. K. Nam, S. E. Douglas, S. C. Johnson and D. S. Kim, 2003. Genetic characterization morphometries and gonad development of induced interspecific hydrids between yellowtail flounder, Pleuronectes ferrugineus (Storer) and winter flounder, Pleuronectes americanus (Walbaum). Aquacult. Res., 34, 389-396 

  10. Quellette, R. P. and S. V. Qadri, 1968. The discriminatory power of taxonomic characteristics in separating salmonid fishes. Cyst. Zool., 17, 70-75 

  11. Sasaki, T., 1974. On the Larvae ofthree species of rockfish (Genus : Sebastes) in Hokkaido. Bull. Fac. Hokkaido Univ., 25, 169-173 

  12. Serafy, J. E., C. M. Schmitz, T. R. Capo, M. E. Clarke and J. S. Ault, 1996. Total length estimation of red drum from head dimensions. Prog. Fish. Cult., 58, 289-290 

  13. Shinomiya, A. and O. Ezaki, 1991. Mating habits of the rockfish, Sebastes inermis. Environ. BioI. Fish., 30, 15-22 

  14. Takai, T. and T. Fukunaga, 1971. The life history of a ovoviviparous scorpaenoid fish, Sebastes longispinis (Matsubara). I. Eggs and larval stages. Simonoseki Univ. Fish., 20, 25-29 

  15. Winans, G A., 1985. Geographic variation in the milkfish (Chanos chanos). II. Multivariate morphological evidence. Copeia, 1985, 890-898 

  16. 大上略久,大?高明,片野登,佐佐木正,1978.サコの種苗生産 に?する?究;I,産仔生態について.?銅水試?究報,12, 37-44 

  17. 星合鷹一,1977.クロソ仔稚魚について.負,24,35-42 

  18. 水?敏,1966.日本海洋プラソクトソ圖鑑.第7卷,魚卵.稚魚, 蒼洋紅,63pp 

  19. 庄島洋一, 1958. 日本産魚類の仔稚魚期の硏究. 九州大學農學部水産學第2敎室, 第1集, 86pp 

  20. 沖山宗雄,1983.椎漁分類學入門 かシカ目幼期と浮遊適應.海洋と生物,25,111-117 

  21. 고창순, 장영진, 임한규, 김종현, 조기채, 1998. 수온과 광주기 에 의한 볼락(Sebastes inermis)의 번식주기 조절. 한국수산학회지, 31 , 713-720 

  22. 김용억, 한경호, 1991. 조피볼락 , Sebastes schlegeli의 초기생활사. 한국어류학회지, 3, 67-83 

  23. 김용억, 한경호, 1993. 볼락, Sebastes inermis의 초기생활사에 관한 연구.1. 인위적 방법에 의한 수조내에서의 난발생과정과 부화자어의 형태 . 한국수산학회지 , 26, 458-464 

  24. 김용억, 한경호, 변순규, 1993. 볼락, Sebastes inermis의 초기 생활사에 관한 연구. 2. 산출 자치어의 외부형태 및 골격발달. 한국수산학회지 , 26, 465-476 

  25. 감종현, 이윤호, 문영봉, 고창순, 2001. 수온, 먹이계열 및 사육밀도에 따른 볼락(Sebastes inermis) 의 초기생존율과 성장. 수진연구보고, 59, 31-44 

  26. 이택열, 김성연, 1992. 난태성 경골어류 볼락, Sebastes inermis의 생식과 체내 자어 발달. 한국수산학회지, 25 , 413-431 

  27. 장창익, 1991. 수산자원 생태학. 우성문화사, 서울, 399 pp 

  28. 장창익, 손명호, 성기백, 박인석, 1995. 연어 , Oncorhynchus keta 전기자어의 난황흡수 및 초기성장. 한국수산학회지, 28. 539-548 

  29. 정문기, 1977. 한국어도보. 일지사, 서울, pp. 398-399 

  30. 최윤, 김지현, 박종영 , 2002. 한국의 바닷물고기 . 교학사, 서울, 645 p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