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6S rRNA를 이용한 다금바리, 자바리, 능성어 판별법 개발
Development of Detection Method for Niphon spinosus, Epinephelus bruneus, and Epinephelus septemfasciatus using 16S rRNA Gene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5 no.1, 2013년, pp.1 - 7  

박용춘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식품감시과학팀) ,  정용현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기준과) ,  김미라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식품감시과학팀) ,  신준호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식품감시과학팀) ,  김규헌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식품감시과학팀) ,  이재황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식품감시과학팀) ,  조태용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식품감시과학팀) ,  이화정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식품감시과학팀) ,  이상재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식품감시과학팀) ,  한상배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식품감시과학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다금바리, 자바리능성어는 농어목(Perciformes Order) 바리과(Serranidae Family)에 속하며, 고급횟감으로 인기가 높은 어종이다. 자바리 및 능성어의 경우 몸통부분에 줄무늬가 선명하게 있으나 성어가 되면서 점차 불분명해지는 특징이 있어 무늬의 유무로 인하여 다금바리와 구별하기는 쉽지 않다. 또한 자바리는 제주도에서 다금바리라는 명칭으로 불리고 있으며, 일부 유통업자들이 자바리 및 능성어를 다금바리로 유통시키는 사례가 있어 종 특이 프라이머를 이용한 판별법을 마련하게 되었다. 종 특이 프라이머를 설계하기 위하여 유전자은행(www.ncbi.nlm.nih.gov)에 등록되어있는 다금바리(Accession No. AY947575), 자바리(Accession No. JN603832), 능성어(Accession No. AY947559), 우럭(Accession No. DQ678295) 등의 16S DNA부위의 염기서열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비교 및 분석에는 소프트웨어인 BioEdit ver. 7.0.9.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다금바리, 자바리, 능성어를 판별할 수 있는 각각의 NS-003-F/NS-005-R(136 bp), EB-001-F/EB-002-R(181 bp), ES-001-F/ES-001-R(123 bp) 프라이머를 개발하였으며, PCR 조건을 확립하였다. 또한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우럭, 참돔을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 비 특이적 밴드가 형성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다금바리 등에 대한 판별법은 시중에 불법적으로 유통 가능성이 있는 제품을 신속하고 과학적으로 판별할 수 있어 식품안전관리에 활용도가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iphon spinosus, Epinephelus bruneus, and Epinephelus septemfasciatus are involved in the Perciformes Order and Serranidae Family. When E. bruneus and E. septemfasciatus are fully grown, the striped pattern on the body gradually disappears. Therefore,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of adult fishes i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자바리는 제주도에서는 다금바리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고 자바리는 양식이 가능하지만 다금바리의 경우 양식이 어렵고 심해성 어류라 고기잡이가 어려워 실질적으로 제주도 지역에서 횟감으로 제공되는 다금바리는 대부분이 자바리라는 의견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금바리로 유통가능성이 높은 어종인 자바리와 능성어를 판별하는 시험법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짜식품은 무엇인가? 값싼 식품원료를 사용하거나 표시사항을 허위로 기재하여 소비자를 기만하는 경우가 많아 소비자는 식품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 가짜식품(EMA, economically motivated adulteration)이란 경제적 이득을 취하기 위하여 제조된 식품을 일반적으로 말한다. 가짜식품은 경우에 따라 우리의 건강을 위협할 뿐 아니라 건전한 식품유통 질서를 어지럽히는 주범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외국처럼 이들 식품에 대한 관리, 감독을 강화해 나가야 할 시점이다.
다금바리의 경우 주로 어디서 서식하는가? 국내·외의 주요 사례로는 돼지고기에 소고기 향을 첨가한 소고기 장조림, 메기내장을 사용한 창난젓, 무게를 늘리기 위하여 양파 또는 무를 혼합한 다진마늘, 틸라피아를 이용한 도미초밥, 옥수수기름을 혼합한 참기름 등이 대표적이다. 다금바리(Niphon spinosus), 자바리(Epinephelus bruneus) 및 능성어(Epinephelus septemfasciatus)는 농어목(Perciformes order) 바리과(Serranidae family)에 속하며 다금바리의 경우 제주도 남방해역에서 주로 서식하며 제주도에서는 매우 인기가 높고 고가로 판매되고 있는 어종이다(4). 다금바리와 자바리의 경우 미성숙어일 경우 주둥아리, 꼬리지느러미, 몸통의 무늬 등에서 차이점이 있지만 성어로 되면서 이러한 특징들이 서서히 희미해져서 육안으로 관찰이 어려울 수도 있다.
가짜식품에 관한 국내외 주요 사례는 무엇이 있는가? 미국 식품의약품청(FD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영국 식품기준청(FSA, Food Standards Agency), 캐나다 국경관리청(CBSA, Canada Border Services Agency)에서도 최근에 늘어나는 가짜식품, 가짜 의약품, 가짜 화장품 등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1-3). 국내·외의 주요 사례로는 돼지고기에 소고기 향을 첨가한 소고기 장조림, 메기내장을 사용한 창난젓, 무게를 늘리기 위하여 양파 또는 무를 혼합한 다진마늘, 틸라피아를 이용한 도미초밥, 옥수수기름을 혼합한 참기름 등이 대표적이다. 다금바리(Niphon spinosus), 자바리(Epinephelus bruneus) 및 능성어(Epinephelus septemfasciatus)는 농어목(Perciformes order) 바리과(Serranidae family)에 속하며 다금바리의 경우 제주도 남방해역에서 주로 서식하며 제주도에서는 매우 인기가 높고 고가로 판매되고 있는 어종이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ood Safety. Available from: http://www.fda.gov/Food/FoodSafety/default.htm. Accessed July 3, 2002. 

  2. Food Standards Agency. Food Fraud. Available from: http:// www.food.gov.uk. Accessed July 3, 2002. 

  3. Canada Border Services Agency. CBSA lays charges in immigration fraud case. Available from: http://cbsa-asfc.gc.ca. Accessed July 3, 2002. 

  4.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Ocean life. Available from: http://portal.nfrid.re.kr. Accessed July 3, 2002. 

  5. Myoung JG, Kim BI, Lee SM, Jeon GB. The Sea Fishes of Korea. Yejowon Press, Seoul, Korea. pp. 114-115 (2010) 

  6. Kim IS, Choi Y, Lee CL, Lee YJ, Kim BJ, Kim JH. Illu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Kyohaksa Press, Seoul, Korea. pp. 280- 284 (2005) 

  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Food Sanitation Act, Imoon Giup Press, Seoul, Korea. pp. 162-163 (2012) 

  8. Padovan GJ, Jong D, Rodrigues LP, Marchini JS. Detection of adulteration of commercial honey samples by the 13C/12C isotope ratio. Food Chem. 82: 633-636 (2003) 

  9. Schellenberg A, Chmielus S, Schlicht C, Camin F, Perini M, Bontempo L, Heinrich K, Kelly SD, Rossmann A, Thomas F, Jamin E, Horacek M. Multielement stable isotope ratio (H, C, N, S) of honey from different european regions. Food Chem. 121: 770-777 (2010) 

  10. Hong EJ, Kim KH, Park SJ, Kang JW, Kim DS, Lee HJ, Kim EJ, Lee JW, Kim SH, Lee KH, Noh BS. Discrimination of the salted cuttle fish and the salted mitra squid in economically motivated authentication food using electronic nose based on mass spectrometer. Food Eng. Prog. 15: 122-129 (2011) 

  11. Hong EJ, Kim KW, Park SJ, Kim JE, Kim DS, Lee HJ, Kim EJ, Lee JH, Lee KH, Noh BS. Discrimination of shreds of frozen and dried alaska pollack, dried pollack and cod using electronic nose. Food Eng. Prog. 15: 162-168 (2011) 

  12. Anguita G, Martin R, Garci T, Morales P, Haza AI. Immunostick ELISA for detection of cow's milk in Ewe's milk and cheese using a monoclonal antibody against $\beta$ -casein. J. Food Protect. 59: 436-437 (1996) 

  13. Fabrice T, Celia M, Catherine H. Food and forensic molecular identification: update and challenges. Trends in Biotechnol. 23: 359-366 (2005) 

  14. Folmer O, Black M, Hoeh W, Lutz R, Vrijenhoek R. DNA primers for amplification of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from diverse metazoan invertebrates. Mol. Mar. Biol. Biotech. 3: 294-299 (1994) 

  15. Wang HY, Tsai MP, Tu MC, Lee SC. Universal primers for amplification of the complete mitochondrial 12S rRNA gene in vertebrates. Zool. Stud. 39: 61-66 (2000) 

  16. Park YC, Ahn CY, Jin SO, Kim KH, Lee JH, Cho TY, Lee HJ, Park KS, Yoon HS. Identification of raw materials in processed meat products by PCR using species-specific primer. J. Fd. Hyg. Safety 27: 68-73 (2012) 

  17. Hebert PDN, Cywinska A, Ball SL, deWaard JR. Biological identifications through DNA barcodes. Proc. R. Soc. Lond. B. 270: 313-321 (2003) 

  18. Michael TM, Michael B, Gregory TR, Vogler AP. DNA-based species delineation in tropical beetles using mitochondrial and nuclear markers. Phil. Trans R. Soc. B. 360: 1925-1933 (2005)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