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위문화에 나타난 대중음악과 패션의 기호적 해석
A semiological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pular music and fashion style exposed in Subculture 원문보기

디자인學硏究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v.18 no.1 = no.59, 2005년, pp.233 - 244  

김신우 (서울종합예술학교 패션뷰티예술학부) ,  전종찬 (한성대학교 예술대학 미디어디자인 컨텐츠학부) ,  김영인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생활디자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시대의 사회 문화적 기호로 대표되는 것 가운데 하나가 패션이다. 이는 패션이 전달하는 스타일이 단순한 양식이나 유행의 개념에 그치지 않고 일종의 소통의 코드이며 그 자체로서 하나의 미디어로서 기능하기 때문이다. 음악은 항상 패션에 자신의 힘을 과시해 왔고 패션 역시 음악에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패션은 시각을 음악은 소리를 통해 세계에 대한 우리의 이미지를 표현하는 방식으로 패션과 음악은 뗄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패션과 음악은 모두 사회상을 투영하는 동시에 사회군화 전반에 걸쳐 영향을 주고있는데 음악이 새로이 변화할 때마다 항상 새로운 청년문화가 창출되어 왔으며 이 문화들은 뚜렷한 패션 경향을 이루며 확산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하위문화 집단에서 그들만의 정체성과 의식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패션 스타일과 음악 유형들 간의 관련성을 기호적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청년문화 저변에 자리잡고 있는 대중 음악과 패션 스타일의 관련성을 규명하였다. 이와 같이 하위문화는 자신의 삶의 조건이 강제하는 모순으로부터 도피하거나 이를 해결하는 가장 중요한 기제로써 표상행위가 되고 그들 스스로 독특한 음악 스타일이나 의복 스타일을 개발하여 상징적 저항의 기의를 표출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하위문화에 있어서 대중음악과 패션스타일과의 관계는 내면의 가치를 기호화한 상동성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ashion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which represents the comtemporary sociocultural signifiant. A style that a certain stream of fashion brings is not just limited in fragmentary tendencies and fads. That can be a code to communicate and function as a medium in itself. Music has been displaying 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위문화 집단에서 자신만의 정체성과 의식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패션 스타일과 음악의 유형 간의 관련성을 기호적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청년문화 저변에 자리 잡고 있는 대중음악과 패션 스타일의 관련성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 락커빌리 스타일은 산업 현장에서 노동자로 일해야 했던 가난한 젊은이들이 자신들의 경제적 빈곤과 육체적 노동에 찌들 음을 화려한 옷차림을 통하여 은폐하고 싶어 했으며, 사회적인 성공을과시하고자 했다.
  • 어리석음의 표시로 면도날로 밀은 머리, 고된 일의 표시로 일할 때 신는 장화, 야수성의 표시로 꼴사나운 몸동작, 위협의 표시로 말 없고 무뚝뚝함을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지금까지 논의된 내용들을 기호학적인 관점에서 해독해 보고자 한다.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연구는 영미권에서 발생한 음악의 발전에 따른 의상 스타일의 특징을 기호적으로 분석하였다. 후속 연구로는 우리나라 대중음악과 패션 스타일의 연구가 이루어져서 음악과 패션스타일의 기호적 연구가 영미권에 치우치지 않고 보다 확장된 범위에서 다양한 각도로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 장르별 음악과 그와 관련된 스타일의 흐름을 파악함으로써 패션과 음악이 하위문화 젊은이들에게 자기표현의 방식으로 받아들여지고 융합된 것을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하위문화 스타일이 표면화된 시기인 1950년대 이후부터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