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국의 문화 정체성이 반영된 영국패션의 내재적 특징
The implicit meaning of British fashion into English culture identity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21 no.2, 2013년, pp.234 - 245  

정혜연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  서승희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odern fashion was developed the basis on the western dress structure and its historical flow was continued until today. Particularly, the Britain has coexised the unique cultural identity in the aristocratic high culture and rebellious tendency of the subculture so it is necessary to the consi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반면, 한 나라의 문화적 특징이 그 나라의 패션 정체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결과로 나타나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재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화 정체성 분석을 통해 패션의 내적 의미를 규명하여, 국가의 패션 정체성을 문화와의 관계 속에 규명하는 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 이러한 특성은 영국에서의 귀족주의적 경향의 고급문화와 노동자계층에 의해 변질된 하위문화가 동시에 공존하게 했으며, 패션에서도 두 가지 형태의 스타일이 동시에 존재하여 영국만의 패션 정체성을 이끌어 내고 있다. 따라서 차별화된 문화 정체성을 가진 영국의 문화와 패션을 연구하는 것은 문화와 패션의 관계를 규명하는 사례로 적합하다고 보며, 이에 영국문화의 정체성을 분석하고 현대 영국패션의 특징에 담긴 문화 정체성의 의미와 패션에 담긴 내적 의미를 규명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 상류층의 전유물이었던 영국 전통 테일러링인 새빌 로우의 수트 스타일을 통해 테디보이들은 상류계층에 대한 야심과 열망을 표현하고자 했고, 한편으로는 반항적인 심리를 풍자적으로 표출했다. 또한 과거의 남성에 대한 보수적이었던 미의 표현, 복장의 규제에 대한 전통적인 관념을 깨뜨리는 역할도 했다. 그들은 에드워드 왕조의 변형된 형태의 의복으로 한껏 멋을 부린 댄디 집단으로 남성이 기본적으로 갖추고 있어야할 의복의 형태나 여성들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외모 가꾸기에 대한 일반적 상념들을 바꾸는 계기를 만들었다.
  • 영국 패션의 정체성을 분석하기 위해 영국의 문화에 대해 살펴보았고, 그 중 영국의 고급문화와 하위문화에 내재된 패션의 독특한 특성을 고찰해 보았다. 영국의 고급문화는 현재까지도 세속적으로 이어져오고 있는 계급화로 인한 보수적인 우월성에서 나온 전통적인 형태인 반면에, 하위문화는 노동계급의 생활위기와 기성세대들이 고수해 왔던 전통문화의 정체성 사이에서 방황하는 청년들의 불안감과 자유의식이 담긴 새로운 형태의 문화로 시작되었다.
  • 영국에서의 고급문화와 하위 문화의 공존은 사회 전반적인 흐름의 변화에 따른 자연적인 문화적 현상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 두 가지 개념은 내면에서 작용하는 영국의 보수적인 전통성과 주류 사회에 대한 저항 심리, 영국의 지리적, 기후적 조건에서 생겨난 개인주의, 그로 인한 차별화된 성향 등으로 인해 변형된 형태일 뿐이다. 이는 영국의 패션에 내재된 문화정체성을 파악하기 위한 중요한 요건이 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이 두 가지 계보에 얽혀있는 보수성과 우월성, 차별성 안에 표현된 패션에서의 영국 문화정체성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 영국 사회에는 귀족계급 사회에서 형성된 주류가 되는 고급문화와 하위 계층에 의해 저항적 태도로 나타난 하위문화가 공존한다. 이들 계층 간 문화들은 시대의 흐름과 문화의 변화 과정 속에 존재하므로 영국문화의 정체성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고급문화와 하위문화의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귀족의 문화적 전통을 이어받아 소수의 지식인이 생산하고 향유하는 문화를 고급문화라고 하는데 영국의 고급문화는 어떠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나요? 특히 영국의 고급문화는 현대적 측면에서 변하지 않는 전통에 대한 집념, 그리고 전통과 현재가 혼재하는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먼저, 영국의 고급 문화는 현대화된 외적인 형태와 함께 지금까지 이어져 왔던 왕실의 정신까지 포함되어 있는 문화의 형태로써 다른 나라에 존재하는 고급문화와는 차별성이 있다.
문화란 무엇인가요? 문화 정체성은 사회현상에 대한 역사적 과정 속에서 생성되는 산물로써, 단순히 적용되는 사회구조뿐만 아니라 서서히 형성되는 생활방식을 포함한 총체적 개념 혹은 인간의 내적, 정신적 활동의 소산이다. 따라서 문화는 사회의 흐름과 분위기를 파악할 수 있는 광범위한 집합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문화의 다양화 속에서 패션은 역사의 흐름과 함께 일상적 문화를 표현하는 수단으로써 작용된다(Barnard, 1996). 패션이란 특정시대와 문화의 시각적 반영이며, 한 나라의 패션은 근본적으로 그 나라의 문화 정체성이 반영되었다고 보는 시각이기 때문이다.
문화 정체성은 무엇인가요? 문화 정체성은 사회현상에 대한 역사적 과정 속에서 생성되는 산물로써, 단순히 적용되는 사회구조뿐만 아니라 서서히 형성되는 생활방식을 포함한 총체적 개념 혹은 인간의 내적, 정신적 활동의 소산이다. 따라서 문화는 사회의 흐름과 분위기를 파악할 수 있는 광범위한 집합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문화의 다양화 속에서 패션은 역사의 흐름과 함께 일상적 문화를 표현하는 수단으로써 작용된다(Barnard, 199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dam, Lent.(2001). British social movements since 1945. Sex, colour, peace and power. London: Palgrave. 

  2. Brake, M.(1995). Comparative youth culture. London: Routedge. 

  3. Choi, C. K.(2010). The politics and education of territorial identity in the British. The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38(2), 175-201. 

  4. Choi, I. S., & Han, I. D.(2007). The knowledge of British culture. Seoul: Dong-In. 

  5. Choi, K. W., & Lee, S. H.(2004). Fashion aesthetics. Seoul: Suhaksa. 

  6. David, McDowell.(2001). Britain in close-up an indepth study of contemporary Britain. Harlow: Longman. 

  7. Gelder, K., & Thomton, S.(1997). The subcultures reader. London: Routledge. 

  8. Hebdige, Dick.(1979). Subculture: The meaning of style. London: Metheun. 

  9. Jang, S. E.(2009) A study on the evolution of image making through costumes in the '007' film series.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59(1), 106-118. 

  10. Jeong, H. S., & Yang, S. H.(1999). British street style as an original text of subculture fashion.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42(2), 137-162. 

  11. Kang, H. J.(2007). English characters and values represented in the film the remains of the day. STEM Journal, 8(1), 51-75. 

  12. Kate, Fox.(2010). Watching the English(S. Kyun, Trans.). Seoul: Hak GoJae(Original work published 2004). 

  13. Kim, C. N.(1994). The study about pop culture practice of subcultural group.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4. Kim, J. Y.(2011). Critique of cultural imperialism and modern Buddhism in Asia: Establishment of Buddhist studies in modern India and British cultural imperialism. The Society of Indian Philosophy, 31, 151-180. 

  15. Kim, M. J.(1987). Youth subcultural styles in Britain since world war II.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1(2), 69-89. 

  16. Kim, M. J.(2004). The theory of aesthetic dress 2. Seoul: Kyomonsa. 

  17. Kim, Y. J.(2007). Angela carter's the wise children: The lumber room of the English national imagination. The Korean Association of Modern Fiction in English, 14(3), 33-65. 

  18. Lee, D. Y.(1997). How to study about succulture. New topic about culture study. Seoul: Kyomonsa. Moonwhasa. 

  19. Lee, H. J., & Kim, M. Y.(2008). Fashion industry and information. Seoul: Gyohak Researcher. 

  20. Lee, J. S.(2007). The study of the Anglomania characteristic in modern fash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University, Seoul, Korea. 

  21. Lee, M. Y.(2009). A study on NOW avant garde fashion according to Modern avant garde paradigm - Focus on women's wear since 2005. The Costume Culture Association, 17(1), 40-54. 

  22. Lee, S. H.(2010). The study about the aesthetic of characteristic in the romantic avant-garde. Unpublished master's thesis, Duks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3. Malcolm, Barnard.(1996). Fashion as communication. London: Routledge. 

  24. Nikolaus, Persuer(1997). The Englishness of English art. UK: Penguin books. 

  25. Park, J. S.(2001). More lower, more slower, more softer. Seoul: Hankyoreh Media Company. 

  26. Park, J. S.(2001). The study of British cultur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Society of Humanities, 28(1), 161-166. 

  27. Park, W. Y.(1998). The relationship with the British develop of liberalism and individualism. Seoul: Jisiksaupsa. 

  28. Park, W. Y.(2008). Transformation of cultural identity of England. Seoul: Sonamoo. 

  29. Ribeiro, Aileen(2002). On Englishness in dress in Christopher Breward. UK: Oxford Berg. 

  30. Song, S. H., & Kim, M. J.(2006). A study on national fashion images, represented in Vivienne Westwood's works.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56(2), 1-16. 

  31. Stratton, J.(1997). The subcultures reader. London: Routledge. 

  32. Sun, H. M., & Choi, H. J.(2010). A study on hairstyle in style of subculture. The Costume Culture Association, 18(4), 755-773. 

  33. The little class game(1992). Economist, UK: Economist Newspaper Ltd. 

  34. Youn, M. H.(1998). The study about the design tendency of the European union (Britain, Germany, France and Italy) in the pop culture veiwpoint.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3, 141-1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