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셀룰로오스 분해균을 이용한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사육과 부산물 응용 기술
A Grub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Rearing Technique Using Cellulose-digesting Bacteria and Natural Recycling of Rearing Byproduct to an Organic Fertilizer 원문보기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44 no.3 = no.140, 2005년, pp.189 - 197  

강상진 (안동대학교 생명자원과학부) ,  박천우 ((주)그린아그로텍) ,  한상찬 (안동대학교 생명자원과학부) ,  이영근 (안동대학교 생명자원과학부) ,  김용균 (안동대학교 생명자원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장수풍뎅이(Allomyrina dichotoma(Coleoptera: Dynastidae)) 후장에서 셀룰로오스 분해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두 세균은 각각 Yersinia와 Bacillus 속으로 동정되었다. 이 두 세균의 셀룰로오스 분해능력은 참나무 톱밥으로 사육되는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senlensis (Coleoptera: Cetoniidae))의 성장을 촉진시켰다. 이때 먹이 톱밥에 10% 이상의 밀가루를 첨가할 경우, 흰점박이꽃무지의 발육은 더욱 증진되었다. 한편 동정된 셀룰로오스 분해균을 사과원 전정목 톱밥에 첨가할 경우, 흰점박이꽃무지는 이를 먹이원으로 성장하였다. 이들 굼벵이의 대량사육에 따른 배설물은 높은 유기물 함량과 극소량의 독성 중금속을 함유하여 퇴비로서의 기능을 보유하였다. 이 굼벵이 배설물을 상추 재배지에 투입할 경우 상추발육을 촉진시켰다. 본 연구는 장수풍뎅이 유래 셀룰로오스 분해균을 이용하여 굼벵이 사육을 도모하는 데 일차 응용성을 보여주었으며, 이를 통해 부차적으로 사과원 폐목과 굼벵이 배설물의 자연 순환 모델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ellulose-digesting bacteria were isolated from hindgut of Allomyrina dichotoma (Coleoptera: Dynastidae). The bacterial isolates were identified as Yersinia sp. and Bacillus sp. The addition of the identified bacteria to diet increased growth rate of the cetoniid beetle, Protaetia brevitarsis senl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사육방법을 개발하였다. 같은 원리로 과수원의 전정 목과 같은 버려지는 폐목을 굼벵이 사료로 활용하는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는 사과 폐목으로 굼벵이를 대량 사육할 경우,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될 굼벵이 배설물을 다시 자연순환시킬 전략으로, 이를 작물체의 유기질 비료로서의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 그러나 예전과 같이 연료용으로서 이들의 활용이 거의 이루어 지지 않는 현실에서 버려지는 사과 폐목의 활용이 시급한 시점이다. 그래서 본 실험은 흰점박이꽃무지 사육을 위한 먹이원으로서 그 활용을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타종의 굼벵이 사육에 응용하기 위해 본 실험이 진행되었다.
  • 같은 원리로 과수원의 전정 목과 같은 버려지는 폐목을 굼벵이 사료로 활용하는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는 사과 폐목으로 굼벵이를 대량 사육할 경우,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될 굼벵이 배설물을 다시 자연순환시킬 전략으로, 이를 작물체의 유기질 비료로서의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 따라서, 이렇게 버려지는 전정목과 폐목을 산업적 측면에서 재활용할 필요성이 있으며, 환경적으로 볼 때도 자연 생태계 위해성 요소 제거라는 면에서 폐목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자연으로 순환되는 기간을 단축시킬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폐목을 굼벵이 사료로 재활용하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ayon, C. and J. Mathelin. 1980. Carbohydrate fermentation and by-product absorption studied with labelled cellulose in Oryctes nasicornis larvae (Coleoptera: Scarabaeidae). J. Insect Physiol. 26: 819-828 

  2. Brauman, A. 2000. Effect of gut transit and mound deposit on soil organic matter transformations in the soil feeding termite: a review. Eur. J. Soil Biol. 36: 117-125 

  3. Brauman, A., D.E. Bignell and I. Tayasu. 2000. Soil-feeding termites: biology, microbial associations and digestive mechanisms. pp. 233-259. In Termites: evolution, sociality, symbiosis, ecology, eds. T. Abe, D.E. Bignell and M. Higashi. Kluwer Academic Publishers, Dordrecht, The Netherlands 

  4. Breznak, J.A. and A. Brune. 1994. Role of microorganisms in the digestion of lignocellulose by termites. Annu. Rev. Entomol. 39: 453-487 

  5. Brune, A. 1998. Termite guts: the world's smallest bioreactors. Trends Biotechnol. 16: 16-21 

  6. Cazemier, A.E., J.C. Verdoes, F.A.G. Reubsaet, J.H.P. Hackstein, C. van der Drift and J.M. Op den Camp. 2003. Promicromonospora pachnodae sp. nov., a member of the (hemi)cellulolytic hindgut flora of larvae of the scarab beetle Pachnoda marginata. Antonie van Leeuwenhoek 83: 135-148 

  7. Choi, J.S., J.K. Hwang, C.T. Kim and D.S. Dong. 1996. Enzymatic solubilization of thermally treated Jujube tissues. Food Ind. Nut. 1: 49-79 

  8. Egert, M., B. Wagner, T. Lemke, A. Brune and M.W. Friedrich. 2003.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in midgut and hindgut of the humus-feeding larva of Pachnoda ephippiata (Coleoptera: Scarabaeidae). Appl. Environ. Microbiol. 69: 6659-6668 

  9. Grayson, J.M. 1958. Digestive tract pH of six species of Coleoptera. Ann. Entomol. Soc. Am. 51: 403-405 

  10. Holt, J.G., N.R. Krieg, P.A. Sneath, J.T. Stanley and S.T. Williams. 1994. Bergey's manual of determinative bacteriology. Williams & Wilkins, Baltimore 

  11. Hong, S.P. and D.S. Kim. 1998. Chitosanolytic characteristics of cellulase from Trichoderma viride and Trichoderma reesei. Korean J. Food Sci. Tech. 30: 245-252 

  12. Kim, Y.K. and S.Y. Ahn. 1996. The effect of cellulase treatment on the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rice and the texture of cooked rice. Korean J. Food Sci. Tech. 28: 720-729 

  13. Lavelle, P., D. Bignell, M. Lepage, V. Wolters, P. Roger, P. Ineson, O.W. Heal. 1997. Soil function in a changing world: the role of invertebrate ecosystem engineers. Eur. J. Soil Biol. 33: 159-193 

  14. Lee, S.C. 1997. Agricultural development strategy in Bong-Wha country. Korean J. Agri. Ext. 4: 195-199 

  15. Lee, Y.K. 2000. Laboratory manual for plant bacterial pathology. 110 pp. Andong National University.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Institute, Andong 

  16. Lemke, T., U. Stingl, M. Egert, M.W. Friedrich and A. Brune. 2003. Physicochemical conditions and microbial activities in the highly alkaline gilt of the humus-feeding larva of Pachnoda ephippiata (Coleoptera: Scarabaeidae). Appl. Environ. Microbiol. 69: 6650-6658 

  17. Lo, N., H. Watanabe and M. Sugimura. 2003. Evidence for the presence of a cellulase gene in the last common ancestor of bilaterian animals. Proc. R. Soc. Lond. B 270: S69-S72 

  18. Park, Y., K. Kim and Y. Kim. 2002. A pathogenic bacterium, Enterococcus faecalis, to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J. Asia-Pacific Entomol. 5: 221-225 

  19. SAS Institute, 1988. SAS/STAT user's guide, Release 6.03, Ed. Cary, N.C 

  20. Wolters, V. 2000. Invertebrate control of soil organic matterstability. Biol. Fertil. Soils 31: 1-1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