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장기간 지속효과가 강조된 미국 T사의 C제품(에어로졸)과 D제품(로션) 대비 국내5사의 A 제품(에어로졸)과 B 제품(액제)에 대하여, 사람 손에 처리 시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의 기피지속성에 대한 생물검정을 평가하고 시간 경과에 따른 기피 주성분인 DEET의 잔존량을 분석하였다 기피제 처리 후 8시간 조사에서 A제품은 8시간까지 95%의 기피효과를 나타냈으며, B제품, C 제품, D 제품은 각각 5, 6, 6시간까지 기피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면포를 이용한 16일까지의 장기간 지속성 평가에서, A 제품과 C 제품은 각각 10일까지 100%의 기피 지속성을 나타냈고, 시간 경과에 따른 기피 주성분인 DEET의 잔존량 분석에서도 동일한 양상으로 감소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ur mosquito repellents, product A (aerosol), product B (liquid), product C (aerosol) and product D (lotion) were tested for their persistent repellency and quantity of DEET remained with the lapse was analyzed. In shirt term test with human (or 8 hours, product A (aerosol), product B (liquid), p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각 날짜별, 0, 4, 8, 12, 16일까지 기피성분이 휘산된 면포는 수거하여 50 ml의 아세톤을 처리한 후 1분간 교반하고, 10 ml의 내부표준액(0.5% dephenyl phthalate)을 넣어주었으며, 다시 아세톤으로 100 ml까지 보정한 후 "기준 및 시험방법"의 GC 분석에 준하여 분석하였다.
  • 각 제품의 제형별 기피 주성분인 DEET의 함량분석은 식품의약품안전청의 "기준 및 시험방법"에 준하여 GC 분석으로 실시하였으며(KFDA Bulletin), 분석 조건은 HP-1(0.25 mmx30 m) 컬럼으로 60~250℃(8℃/min)의 오븐 조건에서 FID로 검출하였다 이때 에어로졸의 경우 -10℃의 냉동 조건에서 overnight한 후 작은 구멍을 뚫어 용기 내 분사제를 완전히 휘산시킨 후 남아있는 내용액을 분석 실험에 적용하였다.
  • 가로 60×세로 30×높이 36 cm 규격의 기피실험 장치에 두 손을 상형장치 안으로 넣을 수 있도록 2개의 구멍을 두었고, 그 구멍으로부터 토시를 연결하여 손목과 앞 팔부분을 모기의 공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했다. 기피력평가는 세 명의 성인 지원자 손을 이용했고, 한쪽 손은 처리구로, 다른 한쪽 손은 대조구로 했다.
  • 기피력평가는 세 명의 성인 지원자 손을 이용했고, 한쪽 손은 처리구로, 다른 한쪽 손은 대조구로 했다. 처리구 손은 실험 전 0.
  • 따라서 Fig. 2의 방법으로 5mgcm-2의 기피제가 처리되어 장시간(16일) 휘산 후 준비된 면포(shirt piece)를 구멍이 뚫린 고무장갑 위에 올려놓고, 흰줄숲모기의 landing 및 bites의 기피력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이때 제품은 국내에어로졸 제형인 A 제품과 T 사의 C 제품만을 적용하였다. 평가 결과(Table 2), 흰줄숲모기의 landing에서는 A 제품이 8일까지, C 제품은 10일까지 효과를 나타냈고, bites에서는 A 제품과 C 제품이 각각 10시간까지 기피력을 나타냄으로써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미국 T사의 C 제품(에어로졸)과 D 제품(로션)에 대하여 국내 제품인 A 제품(에어로졸)과 B 제품(액제)을 비교대상으로 기피 지속력을 평가하였다. 지원자의 손(naked hands)에 0.
  • 문의면에서 유충을 채집, 누대 사육하였다. 성충은 사육망(40×27×30 cm)에서 설탕물(10%)을 공급해 주었으며, 흡혈 동물로 쥐(mouse)를 넣어주었고 사육실 조건은 온도 28±3℃와 상대습도 80±10%, 광 조건은 16:8(L:D)로 유지하면서, 난괴를 수거하여 유중사육 플라스틱 용기 (23x30x7 cm)에 옮겨 주었다 유충사육은 지하수로 하였고, 먹이(dog diet)를 갈아서 령기가 증가함에 따라 양을 증가시켜 공급해주었고, 번데기는 매일 건져 성충 사육망에서 우화시키며 나이별로 사육하였다.
  • 5 cm로 오려서 준비하였다. 실험별 흰줄숲모기는 30마리씩 적용되었으며, 16일까지 각 날짜별로 나누어 5분씩 노출시키며 실시하였다. 이때 모기가 면포 위에 앉은 수와 흡혈한 수를 조사하였다.
  • 실험별 흰줄숲모기는 30마리씩 적용되었으며, 16일까지 각 날짜별로 나누어 5분씩 노출시키며 실시하였다. 이때 모기가 면포 위에 앉은 수와 흡혈한 수를 조사하였다. 모기의 기피효과는 t-test(SAS Institute, 1991)로 비교하였다.
  • 본 연구에서 검토된 미국 T사의 제품도 같은 목적으로 제품 내 polymer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How effective are DEET repellents?, 2004), C 제품은 8시간을, D 제품은 12시간의 기피지속성에 대한 특징을 강조하고 있다. 이와 반대로 국내 제품은 대부분 지속시간 표기를 하지 않고 있으므로 미국의 T사 두 제품과 기피효력을 비교 실시하였다. Fig.
  • 또한 T사 제품은 기피성분의 대기중 휘산이나 피부의 침투 등을 억제하기 위하여 polymer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How effective are DEET repellents?, 2004). 이와 반대로 국내의 모기기피제는 대부분 제품 표면에 기피 지속시간을 표기하지 않으므로(Kang et al., 2005), 본 연구에서는 국내 S사의 모기기피제 A 제품(에어로졸)과B 제품(액제)을 T사 제품과 비교하여 기피 지속성의 생물검정 및 시간경과에 따른 기피 주성분의 잔존량을 분석하였다.
  • 장시간 경과에 따른 기피력 평가를 위하여 Fig. 1B와같이 구멍을 뚫은 고무장갑 위에 기피제가 처리된 면포(shirt piece)를 올려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때 면포(φ​​​​​​Φ 5.
  • 기피력평가는 세 명의 성인 지원자 손을 이용했고, 한쪽 손은 처리구로, 다른 한쪽 손은 대조구로 했다. 처리구 손은 실험 전 0.12 g의 기피제를 손목부위까지 문질러 주었고, 각 시간대별로 5분씩 노출시켜 8시간까지 모기에 대한 각 제품의 기피력을 평가했다(Fig. 1A). 모기는 매 처리별 바꾸어 주었고 12시간 전부터 굶긴 후 적용하였으며, 실험 조건은 27±3℃, 80±10% RH로 유지시켰다.

대상 데이터

  • (2003) 과 Miller(2004)는 기피 지속시간이 제품 내 기피주성분인 DEET의 함량과 비례하지 않는다고 보고하였다. 그리고 본 실험에서 사용된 4종류 기피제의 내용물 100 g 중 DEET 함량은 국내 S사의 A제품(에어로졸)이 20.65 g(실제 분석값, 미발표), B제품(액제)이 24.00 g이고, T사의 C 제품(에어로졸)이 23.75 g, D 제품(로션)이 31.58 g이다. 즉, 본 결과에서도 단지 제품 내 DEET의 함량과 기피지속력은 정비례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에 사용된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는 충북 청주 문의면에서 유충을 채집, 누대 사육하였다. 성충은 사육망(40×27×30 cm)에서 설탕물(10%)을 공급해 주었으며, 흡혈 동물로 쥐(mouse)를 넣어주었고 사육실 조건은 온도 28±3℃와 상대습도 80±10%, 광 조건은 16:8(L:D)로 유지하면서, 난괴를 수거하여 유중사육 플라스틱 용기 (23x30x7 cm)에 옮겨 주었다 유충사육은 지하수로 하였고, 먹이(dog diet)를 갈아서 령기가 증가함에 따라 양을 증가시켜 공급해주었고, 번데기는 매일 건져 성충 사육망에서 우화시키며 나이별로 사육하였다.
  • 장기 지속성 모기 기피제인 미국 T사의 C 제품(에어로졸)과 D 제품(로션)은 국내 메디헬프라임사를 통하여 구입하였으며, T사의 제품과 비교 평가를 위한 국내 제품으로는 S사의 에어로졸인 A 제품과 액제인 B 제품을 시중에서 구입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미국 C제품의 DEET 함량은 23.
  • 0 g(100 g 중)으로 기피 지속력에 대해서는 기피효과 지속시간을 표기하지 않고 있다. 제품 내 기피주성분의 함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standard로 DEET (N,N-diethyl-m-toluamide)와 diphenyl phthalate를 Aldrich에서 구입하여 사용했으며, 각각의 순도는 97%, 99%였다.

데이터처리

  • 이때 모기가 면포 위에 앉은 수와 흡혈한 수를 조사하였다. 모기의 기피효과는 t-test(SAS Institute, 1991)로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nnis, B. 1991. Comparison of the effectiveness of two Deet formulation against Aedes albopictus in the philippines. J. Am. Mosq. Control Assoc. 7: 543 - 546 

  2. Catangui, M.A. and J.A. Wilson. 2003. Personal mosquito repellents available in South Dakota-2003. College of Agriculture & Biological Sciences. South Dakota State University; Available: http://agbiopubs.sdstate.edu/articles/ExEx8147.pdf 

  3. Davis, E.E. 1985. Insect repellents: concepts of their mode of action relative to potential sonsory mechamisms in mosquitoes (Diptera: Culicidae). J. Med. Entomol. 22: 237 -243 

  4. Epstein, P.R. 2000. Is global warming harmful to health? Scientific American. August. 50-57 

  5. Frances, S.P. and R.D. Cooper. 2002. Personal protection measures against mosquitoes. ADF Health. 3: 58-63 

  6. How effective are DEET repellents? 2004. Available: http://lancaster.unl.edu/nebline/2004/aug04/page03.pdf 

  7. Koren, G., D. Matsui and B. Bailey. 2003. DEET-based insect repellents: safety implications for children and pregnant and lactating women. CMAJ. 169: 209-212 

  8. Mark, S. and M.D. Fradin. 1998. Mosquitoes and mosquito repellents: a clinician's guide.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28: 931-940 

  9. Mark, S., M.D. Fradin and F.D. John. 2002. Comparative efficacy of insect repellents against mosquito bites. N. Engl. J. Med. 347: 13-18 

  10. Martens, W.M., T.H. Jetten and D.A. Focks. 1997. Sensitivity of malaria, schistosomiasis and dengue to global warming. Climatic Chainge. 35: 145 -156 

  11. Mehr, Z.A., L.C. Rutledge, E.L. Morales, V.E. Meixsell and D.W. Korte. 1985. Laboratory evaluation of controlled-release insect repellent formulation. J. Am. Mosq. Control Assoc. 1: 143-147 

  12. Miller, P. 2004. Avoiding the bite: update on DEET. Canadian Pharmaceutical Journal/Revue Pharmaceutique Canadienne (CPJ/RPC). 2004: 44-47 

  13. Partz, J.A. 2004. Global warming. BMJ 328: 1269 - 1270 

  14. Personal insect repellents containing DEET(N,N-diethyl-m-toluamide and related compounds) [Re-evaluation decision document RRD2002-01]. Ottawa: Pest Management Regulatory Agency. Health Canada; 2002. Apr. 15. Available: www.pmrm-arla.ca/english/pdf/rrd/rrd2002-01-e.pdf 

  15. Pitasawat, B., W. Choochote, B. Tuetun, P. Tippawangkosol, D. Kanjanapothi, A. Jitpakdi and D. Riyong. 2003. Repellency of aromatic turmeric Curcuma aromatica under laboratory and field conditions. J. Vec. Ecol. 28: 234-240 

  16. Qiu, H., H. Won lun and I. Tao. 1997. Phamacokinetics of insect repellent N,N-diethyl-m-toluamide in Beagle Dogs following intravenous and topical routes of administration. J. of Pharmaceutical Sciences. April. 514-516 

  17. Rozendaal, J.A. 1997. Vector control.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Switzerland 

  18. Rueda, L.M., L.C. Rutledge and R.K. Gupta. 1998. Effect of skin abrasions on the effecacy of the repellent DEET against Aedes aegypti. J. Am. Mosq. Control Assoc. 14: 178-182 

  19. Tawatsin, A., S.D. Wratten, R.R. Scott, U. Thavara and Y. Techadamrongsin. 2001. Repellency of volatile oils from plants against three mosquito vectors. J. Vec. Ecol. 26: 76 - 8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