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시판중인 대부분의 음료가 산성을 띤다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산성의 음료 음용의 증가는 우려할 만한 수준으로 치아 침식증을 촉진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어린이들이 비교적 일상적으로 쉽게 접하는 탄산음료 중 가장 보편화된 한 종을 택하여 치아와의 노출과 노출빈도에 따른 법랑질의 침식정도를 조사 분석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탈락 시기의 건전한 유치를 발거하여 두 개의 군, 즉 magnetic stirrer에 의해 진동(agitation)을 받은 군과 그렇지 않은 군으로 나뉘었고 나뉜 군들은 또 각각 콜라에의 노출빈도에 따라 3개의 군으로 나뉘었다. 각각의 군들은 신선한 콜라에 5분씩 노출되었으며 노출 전과 후에 증류수에 의해 세척되었고 시편의 노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시간에는 생리 식염수에 보관한 후, 인공적으로 침식을 유발시켰을 때 나타나는 양상을 표면미세경도측정법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본 실험에 사용된 콜라의 산도는 평균 pH 2.5로서 치아 침식증을 유발하기에 충분한 수준이었다. 2. 콜라에 의한 침식유발 후의 법랑질 표면경도는 대조군에 비해 모든 시료에서 감소되었다(p<0.05). 침식유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법랑질 표면경도는 모든 실험군에서 초기에는 급격히 낮아지다가 이후에는 그 정도가 덜해지는 양상을 보였다. 3. 법랑질을 콜라에 노출시킨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법랑질 표면경도는 감소되었다. 4. 콜라에 진동(agitation)을 가하여 탄산가스를 증가시킨 결과 법랑질의 표면경도는 진동을 가하지 않은 군에 비해 감소되었다(p<0.05).
현재 시판중인 대부분의 음료가 산성을 띤다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산성의 음료 음용의 증가는 우려할 만한 수준으로 치아 침식증을 촉진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어린이들이 비교적 일상적으로 쉽게 접하는 탄산음료 중 가장 보편화된 한 종을 택하여 치아와의 노출과 노출빈도에 따른 법랑질의 침식정도를 조사 분석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탈락 시기의 건전한 유치를 발거하여 두 개의 군, 즉 magnetic stirrer에 의해 진동(agitation)을 받은 군과 그렇지 않은 군으로 나뉘었고 나뉜 군들은 또 각각 콜라에의 노출빈도에 따라 3개의 군으로 나뉘었다. 각각의 군들은 신선한 콜라에 5분씩 노출되었으며 노출 전과 후에 증류수에 의해 세척되었고 시편의 노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시간에는 생리 식염수에 보관한 후, 인공적으로 침식을 유발시켰을 때 나타나는 양상을 표면미세경도측정법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본 실험에 사용된 콜라의 산도는 평균 pH 2.5로서 치아 침식증을 유발하기에 충분한 수준이었다. 2. 콜라에 의한 침식유발 후의 법랑질 표면경도는 대조군에 비해 모든 시료에서 감소되었다(p<0.05). 침식유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법랑질 표면경도는 모든 실험군에서 초기에는 급격히 낮아지다가 이후에는 그 정도가 덜해지는 양상을 보였다. 3. 법랑질을 콜라에 노출시킨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법랑질 표면경도는 감소되었다. 4. 콜라에 진동(agitation)을 가하여 탄산가스를 증가시킨 결과 법랑질의 표면경도는 진동을 가하지 않은 군에 비해 감소되었다(p<0.05).
Erosion is believed to be the predominant cause of teeth wear in children and young adults, although there will at ways be a contribution from attrition and abrasion. The pH of cola is known to be low and have, therefore, been implicated in the increasing incidence of erosion. The aim of present stu...
Erosion is believed to be the predominant cause of teeth wear in children and young adults, although there will at ways be a contribution from attrition and abrasion. The pH of cola is known to be low and have, therefore, been implicated in the increasing incidence of erosion. The aim of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cola on the progression of erosive demineralization in human enamel using demineralization model in vitro. Six groups of human enamel slap were immersed(5 min each bath) in fresh cola, with immersions taking place with or without agitation, and under 3 regimes of frequency intake(low intake, 1 immersion/day; medium, 5/day; high, 10/day). Quantitative assessments of surface erosion were done over an 8-day interval using surface microhardness testing. 1. The average pH of cola was 2.5, which was acidic enough to cause tooth erosion. 2. All the enamel specimen exposed to cola showed erosion like lesions and surface hardness decreased in proportion to the length of immersion (p<0.05). 3. The surface hardness of enamel decreased in proportion to the frequency of immersion (p<0.05). 4. Increased degassing from the drink by gitation accelerated the enamel softening compared with those without agitation.
Erosion is believed to be the predominant cause of teeth wear in children and young adults, although there will at ways be a contribution from attrition and abrasion. The pH of cola is known to be low and have, therefore, been implicated in the increasing incidence of erosion. The aim of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cola on the progression of erosive demineralization in human enamel using demineralization model in vitro. Six groups of human enamel slap were immersed(5 min each bath) in fresh cola, with immersions taking place with or without agitation, and under 3 regimes of frequency intake(low intake, 1 immersion/day; medium, 5/day; high, 10/day). Quantitative assessments of surface erosion were done over an 8-day interval using surface microhardness testing. 1. The average pH of cola was 2.5, which was acidic enough to cause tooth erosion. 2. All the enamel specimen exposed to cola showed erosion like lesions and surface hardness decreased in proportion to the length of immersion (p<0.05). 3. The surface hardness of enamel decreased in proportion to the frequency of immersion (p<0.05). 4. Increased degassing from the drink by gitation accelerated the enamel softening compared with those without agitation.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또한 많은 관련 연구들은 산성 음료를 이용하여 지나치게 긴 시간동안 침식을 유발시키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기 때문에 현실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어린이들이 비교적 일상적으로 쉽게 접하는 탄산음료 중 가장 보편적으로 애용되고 있는 콜라 1 종을 택하여 치면의 노출빈도와 방법에 따른 법랑질의 침식정도를 조사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대상 치아를 유치로 한정하였다. 그리고 콜라에 담그기 전부터 이미 치면 미세경도에 변이가 심한 시편은 제외하였으며 담근 후의 측정값을 담그기 전의 인접한 곳에서 얻음으로서 시편 내 변이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침식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전의 연구들은 산성 음료를 이용하여 지나치게 긴 시간동안 침식을 유발한 경우가 대부분이었기 때문에 현실적인 재현성이 낮았으나 본 연구는 실험실적 연구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으나 5분간 침식을 유발시켜 일반적인 실제 음용의 조건을 재현하려 하였다. 뿐만 아니라 콜라의 섭취가 빈번하거나 구강 내에 오래 머금는 습관을 가진 경우에서는 치아 침식증의 유발에 기여요인이 될 가능성이 충분할 것으로 사료되어, 횟수에 있어서 다변화를 시도하여 빈도에 따른 치아 침식의 정도도 파악하려 노력하였다.
하였다. 뿐만 아니라 콜라의 섭취가 빈번하거나 구강 내에 오래 머금는 습관을 가진 경우에서는 치아 침식증의 유발에 기여요인이 될 가능성이 충분할 것으로 사료되어, 횟수에 있어서 다변화를 시도하여 빈도에 따른 치아 침식의 정도도 파악하려 노력하였다.
본 연구는 어린이들이 비교적 일상적으로 쉽게 접하는 탄산음료 중 가장 보편적으로 애용되고 있는 콜라 1 종을 택하여 치면의 노출빈도와 방법에 따른 법랑질의 침식정도를 조사 분석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탈락 시기의 건전한 유치를 발거하여두 개의 군, 즉 진동을 받는 군과 그렇지 않은 군으로 나누고, 이 군들을 다시 콜라에의 노출빈도에 따라 3개의 군으로 각각 분리하였다(1일 1회, 5회, 10회 노출).
제안 방법
5)를 선택하였으며 실험에 투입될 때까지 상온에 보관하였다. 또한 콜라는 탄산음료임을 고려하여 매 실험마다 새로운 것으로 투입하였다.
pH meter (SP 701, Suntex, USA)를 이용하여 magnetic stirrer에서 진동(agitation)을 받는 상태와 받지 않은 상태에서 각각의 산도를 반복 측정하였다.
각 군은 크게 두 개의 군, 즉 magnetic sbirrer에 의해 진동을 받는 군과 그렇지 않은 군으로 나누었고 나뉜 군들은 또 각각 콜라에의 노출빈도에 따라 3개의 군, 즉 하루에 1회 노출 (low intake), 5회 노출(medium intake), 10회 노출(high intake)의 군으로 나뉘었다.
대조군으로는 진동을 받은 군과 받지 않은 군 모두에서 콜라에 노출시키지 않은 군을 각각 추가하여 식염수에 보관하여 법랑질 미세경도를 측정하였으며 , 특히 진동을 받은 군의 대조군은 하루 10회의 magnetic stirrer을 이용한 진동을 가하였다. 각 군의 시편을 신선한 콜라에 5분씩 노출하였으며 노출 전과 후에 증류수에 의해 1분간 세척하였고 시편의 노출이 이루어 지지 않는 시간에는 생리 식염수에 보관하였다.
노출이 완료된 시편들은 Vicker s diamond indenter가 부착된 미세경도 측정기(MVK-H100, Akashi, Japan)에서 법랑질 표면에 수직으로 10초간 300gm의 하중을 가하여 표면 경도(Vicker's Hardness Number, VHN)를 측정하였다.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탈락 시기의 건전한 유치를 발거하여두 개의 군, 즉 진동을 받는 군과 그렇지 않은 군으로 나누고, 이 군들을 다시 콜라에의 노출빈도에 따라 3개의 군으로 각각 분리하였다(1일 1회, 5회, 10회 노출).
각 군 시편을 신선한 콜라에 5분씩 노출하였으며 노출 전과 후에 증류수에 1분간 세척하였고 시편의 노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시간에는 생리 식염수에 보관한 후, 인공적으로 침식을 유발하여 나타난 양상을 표면미세경도측정법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대상 데이터
생리적으로 탈락한 지 2주 이내이면서 우식이 없고 균열, 파절, 마모 등 치면의 결함이 보이지 않는 40개의 유치를 선별하여 생리 식염수에 냉장 보관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음료는 시중에서 매우 보편적으로 음용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는 콜라 1 종(pH 2.
생리 식염수에 냉장 보관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음료는 시중에서 매우 보편적으로 음용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는 콜라 1 종(pH 2.5)를 선택하였으며 실험에 투입될 때까지 상온에 보관하였다. 또한 콜라는 탄산음료임을 고려하여 매 실험마다 새로운 것으로 투입하였다.
제거하고 증류수에서 헹궜다. 법랑백악 경계부에서 수평 절단하여 치근을 제거하고 치관부 협설즉에서 4 mm2 이상의 80개 법랑질 절편을 채취하였다. 직경 10 mm, 높이 10 mm 원주형의 epoxy resin mold를 제작, 원주의 장축에 대해 법랑질 표면이 수직이 되도록 위치시키고 법랑질 표면을 제외한 모든 면은 mold내에 포매하였다.
법랑백악 경계부에서 수평 절단하여 치근을 제거하고 치관부 협설즉에서 4 mm2 이상의 80개 법랑질 절편을 채취하였다. 직경 10 mm, 높이 10 mm 원주형의 epoxy resin mold를 제작, 원주의 장축에 대해 법랑질 표면이 수직이 되도록 위치시키고 법랑질 표면을 제외한 모든 면은 mold내에 포매하였다. 법랑질 표면을 #600, #1000 silicon carbide 연마지와 알루미나 분말로 활택 연마하여 침식 유발을 위한 법랑질 시편을 준비하였다.
직경 10 mm, 높이 10 mm 원주형의 epoxy resin mold를 제작, 원주의 장축에 대해 법랑질 표면이 수직이 되도록 위치시키고 법랑질 표면을 제외한 모든 면은 mold내에 포매하였다. 법랑질 표면을 #600, #1000 silicon carbide 연마지와 알루미나 분말로 활택 연마하여 침식 유발을 위한 법랑질 시편을 준비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콜라의 주 소비층이 유치열의 어린이들임을 고려하여 대상 치아를 유치로 한정하였다. 그리고 콜라에 담그기 전부터 이미 치면 미세경도에 변이가 심한 시편은 제외하였으며 담근 후의 측정값을 담그기 전의 인접한 곳에서 얻음으로서 시편 내 변이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침식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데이터처리
노출 빈도에 따른 각 실험군 측정치 간의 유의성을 검정하기 위해 ANOVA test를 시행하였고 진동을 가한 군과 그렇지 않은 군 간의 유의성을 알아보기 위해 Student t-test를 적용하였다.
성능/효과
1. 본 실험에 사용된 콜라의 산도는 평균 pH 2.5로서 치아 침식증을 유발하기 에 충분한 수준이 었다.
2. 콜라에 의한 침식유발 후의 법랑질 표면경도는 대조군에 비해 모든 시료에서 감소되었다(p<0.05). 침식유발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법랑질 표면경도는 모든 실험군에서 초기에는 급격히 낮아지다가 이후에는 그 정도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3. 법 랑질을 콜라에 노출시킨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법 랑질 표면경도는 감소되었다.
나타내었다. 즉, 1회에서 3회까지 법랑질 미세경도의 급격한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그 이후 감소의 정도는 약해졌으나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로 보였다. 대조군과 비교해 보면 모든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법랑질 미세경도가 감소하였고 (p<0.
즉, 1회에서 3회까지 법랑질 미세경도의 급격한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그 이후 감소의 정도는 약해졌으나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로 보였다. 대조군과 비교해 보면 모든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법랑질 미세경도가 감소하였고 (p<0.05), 특히 노출의 빈도가 증가할수록 법랑질 미세경도의 감소는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다(Fig. 1, Table 2).
4.), 10회(group 3, 6) 노출하였을 경우 법랑질 미세경도의 감소는 2일째부터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Fig. 5).
본 실험에서 콜라의 치아에 대한 영향은 유의할 만큼 컸으며, 특히 음용의 빈도가 증가할수록 치아의 침식현상은 크게 나타났다. 또한 콜라가 탄산음료임을 고려하여 진동을 주어 탄산가스를 인위적으로 증가시킨 결과 그에 따른 침식 현상은 진동을 받지 .
05). 침식유발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법랑질 표면경도는 모든 실험군에서 초기에는 급격히 낮아지다가 이후에는 그 정도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4. 콜라에 진동을 가하여 탄산가스를 증가시킨 결과 법랑질의 표면경도는 진동을 가하지 않은 군에 비해 더 심하게 감소되었다 (p<0.05).
진동을 받지 않은 군의 평균 산도는 pH 2.5, 진동을 받은 군의 평균 산도는 pH 2.3으로 나타나 진동을 받은 군에서의 산도가 진동을 받지 않은 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후속연구
특히 콜라와 같이 치면 부착능이 강한 경우에는 타액보다 더 강하게 부착되므로 치아에 더욱 유해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탄산을 포함하는 음료가 치면에서 제거되지 않은 채 장시간 존재한다면 치태의 형성을 야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포함된 당분에 의해 치아에 더욱 위해한 작용을 할 것이다. 그러나 초기 타액이 치아에 부착능이 높은 음료를 제거할 수 없더라도 실제 인체에서는 여러 다른 요인들의 작용에 의해 실험의 결과에서 나타난 치아의 침식이 동일하게 나타난다고 할 수는 없는데 , 그것은 음료가 치면에 부착하기 전 혹은 후에 타액에 의한 음료의 희석과 그로 인한 부착능의 감소, 그리고 음료의 섭취 전 구강 내 타액에 의한 치아 보호, 동일한 음료를 섭취하더라도 개인의 타액 및 치면 세균막의 산도, 타액의 완충능, 타액 분비율, 음료의 섭취 습관, 입술과 뺨의 움직임, 치아의 형태, 구강위생관리수준 등에 따라 침식의 정도에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a》.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