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경관의 농촌다움과 선호도 평가 연구 - 내국인과 외국인 평가 비교를 중심으로 -
Rurality and Preferences of Rural Landscapes in Korea - A Comparison of Evaluations by Koreans and Foreigners -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11 no.3 = no.28, 2005년, pp.43 - 52  

안동만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손주동 (서울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김명수 (국토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welve selected rural villages were investigated to identify typical Korean rural landscapes. Among many photos taken in those villages, which are believed to represent rural amenities, one hundred photos were selected and again sixty of them were chosen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of landscape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농촌마을 현장조사를 통한 사진 촬영과 어메니티 자원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농촌경관의 가치평가를 위해 자원 유형별로 내국인과 외국인을 대상으로 농촌다움과 선호도를 분석하고, 내국인과 외국인 농촌경관 선호도를 비교 • 분석하였다.
  • 본 연구의 범위는 농촌경관 관리와 어메니티 자원을 활용한 국내외 사례조사를 위해 문헌고찰을 하고 어메니티 자원유형을 구분하였다. 전국의 12개 농촌마을 현장 조사를 통해 자원유형별로 촬영한 사진에 대한 선호도와 농촌다움을 평가 • 분석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권정아, 2001, '문화마을의 유형별 평가를 통한 환경친화적인 농촌계획의 방향설정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6(2) : 33-43 

  2. 김농오, 1992, 한국농촌경관의 재구성방안에 관한 연구, 연안환경연구 9 : 65-79 

  3. 김진선, 조순재, 2004, 농촌 어메니티 자원 활용에 대한 사회문화적.경제적 영향분석, 한국조경학회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51-53 

  4. 김해창 역, 1998, 환경을 넘어서는 실천사상 어메니티, 酒井憲一 著, 서울, 도서출판 따님 

  5. 박창석 2002, 농촌어메니티에 기초한 농촌자원 중요도 평가 및 순위적 관계 분석, 대한 국토.도시계획학회지 37(6) : 21-35 

  6. 송미령, 2000, 농촌마을의 환경친화적 계획요소 도출과 적용, 농촌경제 23(1) : 66-88 

  7. 윤진옥, 1994, 농촌경관 선호도 및 인식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석사논문 

  8. 이순혁, 1977, 농촌경관의 시각분석 및 개선방안,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장은숙, 전영미, 박윤호, 2002, 농촌마을 정비 특성별 어메니티 평가, 한국조경학회지 30(3) : 35-45 

  10. Arriaza M., 2004, Assessing the visual quality of rural landscape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9 : 115-125 

  11. Krause, Christian L., 2001, Our visual landscape Managing the landscape under special consideration of visual aspect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54 : 425-444 

  12. OECD, 2001, Environmental Indicators for Agriculture, 42 

  13. 농촌진흥청, http://www.rda.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