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반도 남동부 제3기 암맥군과 화신암류의 $^{40}Ar/^{39}Ar$ 연대
[ $^{40}Ar/^{39}Ar$ ] Ages of the Tertiary Dike Swarm and Volcanic Rocks, SE Korea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14 no.2 = no.40, 2005년, pp.93 - 107  

김종선 (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전공) ,  손문 (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전공) ,  김진섭 (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전공) ,  김정민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동위원소 분석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신생대 제3기 동안 지각변형과 화산활동이 활발하였던 한반도 남동부에 분포하는 제3기 암맥군과 화산암류를 대상으로 $^{40}Ar/^{39}Ar$ 연대측정을 실시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연일구조선을 중심으로 동서 양편의 염기성 암맥들이 각각 남북방향과 북동방향의 서로 다른 방향의 평균 관입면을 가지나, 동일한 마그마에서 기원된 것들임을 밝혀 연일구조선이 제3기 마이오세 지각변형을 규제한 주요 지구조선임을 보고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연일구조선 동서 양편 염기성 암맥군의 관입연령이 각각 $47.3\pm0.8Ma$$48.0\pm1.3Ma$로써 매우 유사함이 밝혀졌다. 이 결과는 연일구조선이 제3기 지각변형 동안 지괴의 시계방향 수평회전운동을 규제한 주요 지구조선임을 확인시켜 주는 것이다. 또한 염기성 암맥들이 암맥군으로 빈번하게 산출되는 것은 약 48Ma경에 한반도 남동부가 동서방향의 인장 응력장하에 놓여 있었음을 지시한다. 이 시기는 인도와 유라시아 대륙의 충돌시기와 태평양판의 운동방향이 북북서에서 서북서방향으로 변화된 시기에 해당된다. 출현 빈도가 낮은 중성암맥과 산성암맥에서는 각각 $55.9\pm1.5Ma$$53.0\pm1.0Ma$의 연령을 구했다. 화산암류에 대한 연대측정 결과, 효동리화산암류 내 안산암질 용암과 용동리응회암류 내 데사이트질 용암은 각각 $24.0\pm0.5Ma$$21.6\pm0.4Ma$의 연령을, 추령각력암을 관입 및 피복하고 있는 데사이트질 암석에서는 각각 $21.8\pm0.1Ma$$22.0\pm0.5Ma$의 연령을 얻었다. 이들 연령 자료는 전기 마이오세 동안 현무암질 화산활동에 비해 안산암-데사이트질 화산활동이 먼저 발생하였다는 최근의 야외조사 결과와 부합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determined $^{40}Ar/^{39}Ar$ ages of the Tertiary dike swarms and volcanic rocks distributed in the SE Korea where the most prevalent crustal-deformation and volcanism occurred during the period. In previous study, it was disclosed that the mafic dike swarms on both sides (east and wes...

주제어

참고문헌 (62)

  1. 고려지질, 1999, 경주 양남면 상라리 46호 광산, 서동리 41호 광산 지질조사 보고서. 39 p 

  2. 고정선, 2001, 경상분지내 남산 A-형 화강암과 경주 I-형 화강암류에 대한 광물학적, 지화학적 및 Sr-Nd 동위원소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173 p 

  3. 김광호, 도성재, 1994, 양남분지에 분포하는 제3기 지층의고지자기 연구. 지구과학회지, 15, 36-45 

  4. 김인수, 1992, 새로운 동해의 성인모델과 양산단층계의 주향이동운동. 지질학회지, 28, 84-109 

  5. 김인수, 강희철, 1989, 어일분지 일대에 분포하는 제3기층에 대한 고자기학적 연구. 지질학회지, 25, 273-293 

  6. 김정민, 2001,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에 도입된 K-Ar 연대 측정 시스템: 개요 및 성능. 한국 암석학회지, 10, 172-178 

  7. 김정민, 정창식, 한현수, 조운갑, 2001, 하나로 원자로와 불활성 기체분석기를 이용한 $^{40}Ar-^{39}Ar$ 연대측정. 2001년도 한국광물학회?한국암석학회 공동학술발표회 논문집, 60-64 

  8. 김종열, 정차연, 윤선, 1991, 장기반도의 마이오세 전기-중기의 암맥군과 광역지구조응력장(I). 지질학회지, 27, 330-337 

  9. 김종선, 김건기, 좌용주, 이준동, 2004, 경상분지 화강암류에서 발견되는 엔클레이브(포유암)에 대한 암석기재적 연구. 암석학회지, 13, 1-15 

  10. 김진섭, 김종선, 손문, 2002a, 한반도 남동부일원의 암맥군에 관한 지화학적 연구. 암석학회지, 11, 182-199 

  11. 김진섭, 손문, 김종선, 김인수, 2002b, 한반도 남동부 제3기 암맥군과 지구조적 중요성. 암석학회지, 11, 169-181 

  12. 류춘길, 1996, 양남분지 하서지역의 제3기층. 부산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56 p 

  13. 박양대, 윤형대, 1968, 한국지질도(1:50,000), 울산도폭 및 설명서. 국립지질조사소, 20 p 

  14. 손문, 1998, 한반도 동남부 제3기 마이오세 분지의 형성과발달: 구조지질학 및 고자기학적 고찰. 부산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33p 

  15. 손문, 김인수, 1994, 울산군 강동면 제3기 정자분지의 지질 구조와 분지발달. 자원환경지질, 27, 65-80 

  16. 손문, 정혜윤, 김인수, 2002, 한반도 동남부 연일구조선 남부 일원의 지질과 지질구조. 지질학회지, 38, 175-197 

  17. 손문, 정혜윤, 김승현, 김인수, 문태현, 장태우, 1999, 한반도 동남부 신생대 지각변형과 연일구조선. 제54차 대한지질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대한지질학회, 50 

  18. 손문, 김인수, 이동호, 이준동, 김진섭, 백인성, 2000, 울산 단층일원에 대한 지역지질 특성연구: 제3기 마이오세 와읍분지의 지질구조와 대자율비등방성(AMS). 지질학회지, 36, 195-216 

  19. 윤선, 1988, 한반도 남부의 제3기 층서. 한국과학재단 연구 보고서, 25 p 

  20. 이미정, 이종익, 이민성, 1995, 경주지역의 A-형 알카리장석 화강암에 대한 광물학 및 주성분원소 지구화학. 지질학회지, 31, 583-607 

  21. 이종익, 이미정, 두경택, 이민성, Keisuke Nagao, 1997, 경상분지 중동부 울산-경주 지역의 화강암체에 대한 K-Ar 연대 측정. 지구과학회지, 18, 379-389 

  22. 이준동, 황병훈, 1999, 경주 남산-토함산 일원의 화강암류에 관한 암석학적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0, 80-95 

  23. 이현구, 문희수, 민경덕, 김인수, 윤혜수, Tetsumaru Itaya, 1992, 포항 및 장기분지에 대한 고지자기, 층서 및 구조연구; 화산암류의 K-Ar 연대. 광산지질, 25, 337-349 

  24. 정혜윤, 2000, 경주시 양남면 일원의 지질 및 신생대 지각 변형에 대한 고찰. 부산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110 p 

  25. 주승환, 진명식, 윤현수, 김동학, 1982, Rb/Sr 연대측정연구 (서산화강편마암 및 화강암, 평해 온정리 화강암, 기타지역의 화강암). 한국동력자원연구소 연구보고서 KR-82- 13, 193-208 

  26. 진명식, 김성재, 신성천, 1988, K-Ar 및 휫션트랙법에 의한 포항-감포 일대 화산암류의 암석연령 측정연구. 한국동력자원연구소 동위원소 지질연구 KR-87-27, 51-88 

  27. 진명식, 김성재, 신성천, 이주연, 1989, K/Ar 및 휫션트랙법에 의한 한국동남부 지역 화강암 및 화산암의 암석 광물연령 측정연구. 한국동력자원연구소 연구보고서 KR-88-6D, 53-84 

  28. 최위찬, 황재하, 윤욱, 김동학, 1988, 한국지질도(1:25,000),어일도폭 및 설명서. 한국동력자원연구소, 42 p 

  29. 한종환, 곽영훈, 손진담, 손병국, 1987, 한국 동남부지역 제3기 퇴적분지의 지체구조발달 및 퇴적환경 연구(II). 한국동력자원연구소 연구보고서 KR-86-2-(B)-4, 109 p 

  30. 황병훈, 2004, 경상분지 남부지역의 화강암질암에 대한 암석학, 동위원소 및 성인. 부산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306p 

  31. Besse, J. and Courtillot, V., 1988, Paleogeographic maps of the continents bordering the Indean Ocean since the Upper Jurassic. J. Geophys. Res., 96(B10): 11,791-11,808 

  32. Borradaile, G.J., 2001, Paleomagnetic vectors and tilted dikes. Tectonophysics, 333, 417-426 

  33. Bussell, M.A., 1989, A simple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dilation direction of intrusive sheets. Journal of Structural Geology, 11, 679-687 

  34. Cottrell, R.D. and Tarduno, J.A., 2003, A Late Cretaceous pole for the Pacific plate: implications for apparent and true polar wander and the drift of hotspots. Tectonophysics, 362, 321-333 

  35. Glazner, A.F., Bartley, J.M. and Carl, B.S., 1999, Oblique opening and noncoaxial emplacement of the Jurassic independence dike swarm, California. Journal of Structural Geology, 21, 1275-1283 

  36. Hall, R., 2002, Cenozoic geological and plate tectonic evolution of SE Asia and the SW Pacific: computer-based reconstructions, model and animations.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20, 353-431 

  37. Kim, C.S. and Kim, G.S., 1997, Petrogenesis of early Tertiary A-type Namsan alkali granite in the Kyeongsang Basin, Korea. Geoscience Journal, 1, 99-107 

  38. Kim, K.H., Won, J.K., Matsuda, J., Nagao, K. and Lee, M.W., 1986, Paleomagnetism and K-Ar age of volcanic rocks from Guryongpo area,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Mining Geology, 19, 231-237 

  39. Koppers, A.A.P., Morgan, J.P., Morgan, J.W. and Staudigel, H., 2001, Testing the fixed hotspot hypothesis using $^{40}Ar/^{39}Ar$ age progressions along seamount trails.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185, 237-252 

  40. Lee, Y.S., Ishikawa, N. and Kim, W.K., 1999, Paleomagnetism of Tertiary rocks on the Korean Peninsula: tectonic implications for the opening of the East Sea(Sea of Japan). Tectonophysics, 304, 131-149 

  41. Lonsdale, P., 1988, Paleogene history of the Kula plate: Off-shore evidence and onshore implications.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99, 733-754 

  42. Ludwig, K.R., 2001, Users manual for Isoplot/EX. Berkeley Geochronology Center Special Publication No. 1a, 56 p 

  43. Miall, A.D., 1990, Principles of Sedimentary Basin Analysis. 2nd ed., Springer-Verlag, 668 p 

  44. Patriat, P. and Achchache, J., 1984, India-Asia collision chronology has implication for crustal shortening and driving mechanism of plates. Nature, 311, 615-621 

  45. Patzelt, A., Li, H., Wang J. and Appel, E., 1996, Palaeomagnetism of Cretaceous to Tertiary sediments from southern Tibet: evidence for the extent of the northern margin of India prior to the collision with Eurasia. Tectonophysics, 259, 259-284 

  46. Price, N.J. and Cosgrove, J.W., 1990, Analysis of Geological Structur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502 p 

  47. Renne, P.R., Swisher, C.C., Deino, A.L., Karner, D.B.,Owens, T.L. and DePaolo, D.J., 1998, Intercalibration of standards, absolute ages and uncertainties in $^{40}Ar/^{39}Ar$ dating. Chemical Geology, 145, 117-152 

  48. Richards, M. and Lithgow-Bertelloni, C., 1996, Plate motion changes, the Hawaiian-Emperor bend, and the apparent success and failure of geodynamic models.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137, 19-27 

  49. Sahabi, M., Geli L., Olivet, J., Gilg-Capar, L., Roult, G., Ondreas, H., Beuzart, P. and Aslanian, D., 1996, Morphological reorganization within the Pacific-Antarctic Discordance.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137, 157-173 

  50. Son, M., Seo, H-J., Jung, H-J. and Kim, I-S., 1997, Extension direction and tectonic boundaries of the Miocene basins, Southeast Korea. Tectonic Evolution of Eastern Asian Continent: Short papers for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occasion of the 50th Anniversary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104-109 

  51. Son, M. and Kim, I.S., 2001, Geological structures and evolution of the Miocene basins, southeastern Korea. In : Koh and Choi, eds., Tectonic Evolution of East Asia, The Third Joint Meeting of Japanese and Korean Structure and Tectonic Research Groups, 17-21 

  52. Speight, J.M. and Mitchell, J.G., 1979, The Permo-Carboniferous dyke-swarm of northern Argyll and its bearing on dextral displacements on the Great Glen Fault. Journal of Geological Society of London, 136, 3-11 

  53. Spence, D. A., 1993, Tectonics of the Higher and Tethyan Himalaya, Upper Kaghan Valley, NW Himalaya Pakistan: Implications of an early collisional, high pressure (ecologite facies) metamorphism to the Himalaya belt. Ph.D. Diss., ETH Zurich 

  54. Stern, R.J. and Bloomer, S.H., 1992, Subduction zone infancy: Examples from the Eocene Izu-Bonin-Mariana and Jurassic California arcs.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n Bulletin, 104, 1621-1636 

  55. Tapponnier, P. and Molnar, P., 1976, Slip-line field theory and large-scale continental tectonics. Nature, 264, 319-324 

  56. Tateiwa, I., 1924, 1:50,000 Geological Atlas of Chosen, No. 2, Ennichi, Kuryuho and Choyo sheets. Geol. Surv. Chosen (in Japanese) 

  57. Uto, K., Ishizuka, O., Matsumoto, A., Kamioka, H. and Togashi, S., 1997, Laser-heating $^{40}Ar/^{39}Ar$ dating system of the Geological Survey of Japan: System outline and preliminary results. Bulletin of Geological Survey of Japan, 48, 23-46 

  58. Yoon, S., 1991, Geologic events of the Tertiary Yangnam and Pohang basins, Korea: With a remark on the origin of the Yamato basin of the Japan Sea. Saito Ho-on Kai Spec. Pub., 3, 303-309 

  59. Yoon, S., 1992, Paleoenvironmental change of the Tertiary Yangnam and Pohang basins of the southern Korea Peninsula. Mem. Geol. Soc. Japan, 37, 117-124 

  60. Yoon, S., 1997, Miocene-Pleistocene volcanism and tectonics in southern Korea and their relationship to the opening of the Japan Sea. Tectonophysics, 281, 53-70 

  61. Yoon, S.H. and Chough, S.K., 1995, Regional strike slip in the eastern continental margin of Korea and its tectonic implications for the evolution of Ulleung Basin, East Sea (Sea of Japan).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107, 83-97 

  62. Yun, H., Yi, S. and Byun, H., 1997, Tertiary system of Korea. Paleont. Soc. Korea Special Publication, 3, 1-3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