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리산 일대의 연성전단변형
Ductile Shear Deformation around Jirisan Area, Korea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8 no.2, 2019년, pp.53 - 69  

류충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토지질연구본부) ,  강희철 (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이상원 (부산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영남육괴 남서부인 지리산지구의 편마암복합체에 발달하는 연성전단변형의 기하학적 및 운동학적 특성과 연성전단변형을 받은 우백질편마암에 대해 SHRIMP 저어콘 U-Pb 연대측정을 수행하고 연성전단변형의 시기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편마암의 엽리를 연성변형에 의해 생성된 전단엽리들이 절단하고 있으며, 광역적인 분포를 나타내고 있어 이 지역의 편마암은 두 번 이상의 강력한 연성변형을 겪었음을 지시한다. 전단엽리면에 발달한 신장선구조는 북동 방향에 완만한 침강각을 보여 주향이동성 전단운동의 존재를 지시하며, 신장선구조를 포함하고 전단엽리면에 직교하는 단면에서는 우향의 전단감각이 우세하게 발달한다. 연성변형전단의 공간적 분포는 남북 내지 북북동 방향이 우세한 우향의 전단대가 중앙부 및 동부에서 대상 분포로 발달된 특성을 보이며, 서쪽부에서는 호남전단대의 일반적인 방향성인 북동 방향으로 발달하고 있다. 강한 전단변형을 받은 우백질편마암의 2개의 시료에서 구한 U-Pb 일치연령은 각각 $1,868{\pm}3.8Ma$$1,867{\pm}4.0Ma$로 연구지역 일원에서 보고된 편마암류들의 U-Pb 연대측정 결과와 일치한다. 연구지역에서 분포하는 전단변형을 받은 편마암류, 편마암류를 관입한 변형된 염기성 암맥과 화강암류 그리고 변형 특성이 관찰되지 않는 화성암류들의 관입 시기를 고려할 때, 연성전단 변형작용은 약 260 Ma-230 Ma 동안 섭입작용과 관련된 화강암질 화성활동 이후인 약 230~220 Ma에 한반도 충돌조산운동과 관련되어 발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Jirisan area of the Yeongnam Massif, Korea, several ductile shear zones are developed within Precambrian gneiss complex (Jirisan metamorphic rock complex). The ductile shear zones have a general NS- and NNE-striking foliation with westward dipping directions. The foliation developed in the sh...

주제어

표/그림 (1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 및 전단작용에 의하여 전형적인 편마암상의 변형된 화강암체 특징(Fig. 5, 14)을 나타내고 그동안 연대측정이 수행되지 않았던 우백질편마암을 대상으로 U-Pb 연대측정을 수행하여 본 암체의 관입 시기 및 변형작용의 시기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하였다.
  • 이들 내에는 장석을 포함한 결정들의 변형과 함께 이들이 이루는 신장선구조가 잘 발달하며, 비대칭적인 결정들의 미세구조는 연성전단변형의 전단방향을 지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지리산 편마암복합체의 기존 지질도를 기초로 새로운 암상분포도를 작성하고 편마암복합체 내에 발달하는 연성전단대의 기하학적 및 운동학적 특성을 기재하고 논의하였다. 또한 그동안 하동-산청 회장암 복합체를 경계로 서쪽부에서 수행된 편마암류들의 연대측정 자료들 중에서 제외되어 있던 관입상의 우백질편마암 2개 지점의 시료를 대상으로 SHRIMP 저어콘 U-Pb 연대를 측정하고 이 지역에 발달하는 연성전단대의 변형시기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지리산 편마암복합체의 기존 지질도를 기초로 새로운 암상분포도를 작성하고 편마암복합체 내에 발달하는 연성전단대의 기하학적 및 운동학적 특성을 기재하고 논의하였다. 또한 그동안 하동-산청 회장암 복합체를 경계로 서쪽부에서 수행된 편마암류들의 연대측정 자료들 중에서 제외되어 있던 관입상의 우백질편마암 2개 지점의 시료를 대상으로 SHRIMP 저어콘 U-Pb 연대를 측정하고 이 지역에 발달하는 연성전단대의 변형시기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지리산 편마암복합체의 기존 지질도를 기초로 새로운 암상분포도의 작성과 함께 편마암 복합체 내에 발달하는 연성전단대의 기하학적 및 운동학적 특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또한 연성전단변형을 받은 우백질편마암에 대해 SHRIMP 저어콘 UPb 연대측정을 수행하고 연성전단변형의 시기에 대하여 토의하였다.

가설 설정

  • 엽리의 주향은 북동 방향으로 N40°-50°E이며, 경사는 고각이다. 비대칭적인 장석반정에 의한 전단 방향은 우향의 전단증거가 우세하다.
  • 따라서 이들 전단엽리의 생성은 편마암 내의 엽리 생성 이후임이 확실하며, 이 지역의 편마암은 두 번 이상의 강력한 변형을 겪었음을 지시한다. 편마암의 엽리는 북북동 내지 북동이 우세한 반면 전단엽리의 방향은 남북 내지 북북동 방향이 우세하다. 전단엽리면에 발달한 신장선구조는 북동 방향에 완만한 침강각을 보여 주향이동성 전단운동의 존재를 지시하며, 신장선구조를 포함하고 전단엽리면에 직교하는 단면에서의 전단증거에 의하면 우향의 전단증거를 우세하게 나타낸다(Fig.
  • 4f)이 발달하기도 한다. 폭 10m 내외의 염기성 암맥도 거의 남북 방향으로 관입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지리산 변성암체 내에 발달하는 지질구조는 어떻게 나왔나요? 본 연구에서는 지리산 변성암체 내에 발달하는 지질구조 가운데 특히 연성전단변형의 결과로 생성된 전단대 관련 구조자료들을 수집하였다. 노두 규모에서 수십 m~수십 cm의 폭을 가지는 전단대에는 전단엽리면과 함께 특정 방향의 신장선구조와 전단감각이 관찰된다.
영남육괴는 무엇인가요? 영남육괴는 경기육괴, 낭림육괴와 함께 한반도의 기반을 이루고 있으며, 주로 선캄브리아시대의 암석들로 구성되어 있다. 영남육괴는 북서쪽으로 옥천대와 남동쪽으로 경상분지와 경계를 이루며 예천전단대 혹은 안동단층의 서쪽 연장을 경계로 하여 북동부의 소백산(혹은 태백산)지구와 남서부의 지리산(혹은 덕유산)지구로 구분된다(Kobayashi, 1953; Kim and Park,1980)(Fig.
지리산지구는 어떻게 구성되어있나요? 지리산지구는 지리산 동측을 따라 남북으로 발달된하동-산청 회장암 복합체를 경계로 서쪽은 상부-앰피볼라이트상 내지 그래뉼라이트상에 이르는 고도 변성작용을 받은 선캄브리아시대 이질 내지 사질 편마암과 고기 화강편마암류들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Lee,1980; Lee et al., 198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Cheong, C.-S., Kim, N., Kim, J., Yi, K., Jeong, Y.-J., Park, C.-S., Li, H.-k. and Cho, M., 2014, Petrogenesis of Late Permian sodic metagranitoids in southeastern Korea: SHRIMP zircon geochronology and elemental and Nd-Hf isotope geochemistry.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95, 228-242. 

  2. Choi, Y.-K., Cheong, C.-H., Lee, D.-S., Kim, S.-W., Kim, S.-H., 1964,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1:50,000) of Danseong sheet. Geological Survey of Korea, 1-28. 

  3. Claoue-Long, J.C., Compston, W., Roberts, J. and Fanning, C.M., 1995, Two Carboniferous ages: a comparison of SHRIMP zircon dating with conventional zircon ages and 40Ar/39Ar analysis. Geochronology Time Scales and Global Stratigraphic Correlation, SEPM Special Publication, 4, 3-21. 

  4. Ireland, T.R. and Williams, I.S., 2003, Considerations in zircon geochronology by SIMS. In Zircon (eds. Hanchar, J.M. and Hoskin, P.W.O.), Reviews in Mineralogy and Geochemistry. Mineralogical Society of America, 53, 215-241. 

  5. Kang, J.-H. and Lee, D.-S., 2016, Formation process and its mechanism of the Sancheong Anorthosite Complex, Korea.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48, 431-449. 

  6. Kim, D.-Y., 1999, Petrology of charnockite in eastern region of Jiri-san. Ms Thesis, Pukyeong National University., 79p. 

  7. Kim, J.-S., Cho, H.S., Ahn, S.-H., Song, C.-W., Son, M. and Kim, I.-S., 2010, SHRIMP U-Pb age of the Sancheong Anorthositic Rocks and dyke swarms, Yeongnam Massif, Korea(Abstract). Joint conference of the Ge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of Korea, 125-126. 

  8. Kim, N.-J. & Kang, P.-C., 1965,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1:50,000) of Jinkyo sheet. Geological Survey of Korea, 1-33. 

  9. Kim, O.-J. and Park, B.-S., 1980, Study on the seismo-tectonic analysis of the Korean Peninsula. Ministry of Science and Engineering, 159p. 

  10. Kim, O.-J., Hong, M.-S., Park, H.-I., Park, Y.-D., Kim, K.-T., Yoon, S., 1964a,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1:50,000) of Sancheong sheet. Geological Survey of Korea, 1-19. 

  11. Kim, O.-J., Hong, M.-S., Yoon, S.-K., Park, H.-I., Park, Y.-D., Kim, K.-T., Lee, H.-Y., Yoon, S., 1964b,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1:50,000) of Unbong sheet. Geological Survey of Korea 1-22. 

  12. Kim, S.W., Kwon, S., Yi, K., Santosh, 2014, Arc magmatism in the Yeongnam Massif, Korean Peninsula: imprints of Columbia and Rodinia supercontinents. Gondwana Res. 26, 1009-1027. 

  13. Kobayashi, T., 1953, Geology of South Kore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limestone plateau of Kogendo, The Cambro-Ordovician formations and the fauna of south Chosen (Korea). Tokyo University Press, 293p. 

  14. Lee, C.-H., Lee, S.-W., Ock, S.-S., and Song, Y.-S., 2001, Petrology of the blastoporphyritic granitic gneiss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Sobaegsan Massif.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2, 528-547. 

  15. Lee, D.-S., 1987, Geology of Korea. Geological Society of Korea, Kyohaksa, Seoul, 514p. 

  16. Lee, D.-S. and Kang, J.-H., 2012, Geological structures of the Hadong Northern Anorthosite Complex and its surrounding area in the Jirisan Province, Yeongnam Massif, Korea.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1, 287-30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Lee, D.-S. and Kang, J.-H., 2013, Geological structure of the Jirisan Metamorphic Complex of the Yeongnam Massif in the Hwagae area, Korea.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2, 251-26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Lee, S.-M., 1980, Some metamorphic aspects of the metapelites in Jirisan (Hadong-Sancheong) region. Journal of Geological Society of Korea, 16, 1-1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Lee, S.-M., Na, K.-C., Lee, S.-H. Park, B.-Y. and Lee, S.-W., 1981, Regional metamorphism of the Metamorphic Rock Complex in the southeastern region of the Sobaegsan Massif.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17, 169-18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Lee, S.R. and Cho, K., 2012, Precambrian crustal evolution of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1, 89-11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Lee, S.-W., Jeong, J.-H., and Lee, C.-H., 1997, Charnockite rock in Hadong-Sancheong Area. Proceedings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60. 

  22. Lee, Y., Cho, M., Cheong, W. and Yi, K., 2018, Prolonged high-temperature, low-pressure metamorphism associated with -1.86 Ga Sancheong-Hadong anorthosite in the Yeongnam Massif, Korea: Paleoproterozoic hot orogenesis in the North China Craton. Precambrian Research, 307, 175-200. 

  23. Lee, Y., Cho, M., Cheong, W., and Yi, K., 2014. A massiftype (-1.86 Ga) anorthosite complex in the Yeongnam Massif, Korea: late-orogenic emplacement associated with the mantle delamination in the North China Craton. Terra Nova 26, 408-416. 

  24. Lee, Y.-T., 2002, Petrology of the charnockitic rocks in Sancheong region. M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79p. 

  25. Ludwig, K.R., 2008, User's manual for Isoplot 3.6: a geochronological toolkit for Microsoft Excel. Berkeley, CA, Berkeley Geochronology Center Special Publication, 4, 77p. 

  26. Nam, K.S., Lee, J.D., and You, H.S., 1989,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1:50,000) of Hadong sheet. Geological Survey of Korea 1-16. 

  27. Ok, E.-Y., Kim, J.-S. and Lee, S.-W., 2017, Petrology of syenites in Hapcheon, Korea.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6, 13-4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Paces, J.B. and Miller Jr. J.D., 1993. Precise U-Pb ages of Duluth Complex and related mafic intrusions, Northeastern Minnesota: geochronological insights to physical, petrogenic, paleomagnetic, and tectonomagmatic processes associated with the 1.1 Ga midcontinent rift system.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Solid Earth, 98, 13,997-14,013. 

  29. Park, K.-H., Song, Y.-S., and Seo, J., 2018, U-Pb Geochronology of the Triassic foliated granite distributed in the eastern Sancheong area, SW Yeongnam Massif, Korea and its Implications.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7, 223-23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0. Park, K.-H., Song, Y.-S., Park, M.-E., Lee, S.-G., and Ryu, H.-J., 2000, Petrological, geochemical and geochronological studies of precambrian basement in northeast Asia Region: 1. Age of the metamorphism of Jirisan Area,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9, 29-3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1. Reedman, A.J. and Um, S.-H., 1975, Geology of Korea. Korea Insti. Ener. Resour., Seoul, 139p. 

  32. Ryoo, C.-R., Kim, J.-S., Son, M., Koh, S.-M., Lee, H.y., Kang, J.-H., 2013, Development pattern and ductile deformation of the Sancheong Fe-Ti mineralized zone, Korea.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2, 209-217. 

  33. Seo, J., Song, Y.-S. and Park, K.-H., 2016, SHRIMP U-Pb age of the Early Jurassic deformed granites in the Aneui Quadrangle, SW Yeongnam Massi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49, 147-15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4. Son, C.-M., Lee, S.-M., Won, J.-K., Chang, K.-H., and Kim, Y.-C., 1964,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1:50,000) of Hwagae sheet. Geol. Surv. Korea, 1-25. 

  35. Song, Y.-S., Lee, H.-S., Park, K.-H., Fitzsimons, Ian C.W. and Cawood, Peter A., 2015, Recognition of the Phanerozoic "Young Granite Gneiss" in the central Yeongnam Massif. Geosciences Journal, 19, 1-16. 

  36. Turek, A. and Kim, C.-B., 1996, U-Pb zircon ages for Precambrian rocks in southwestern Ryeongnam and southwestern Gyeonggi massifs, Korea, Geochemical Journal, 30, 231-249. 

  37. Williams, I.S., 1998, U-Th-Pb geochronology by ion microprobe. In Applications of microanalytical techniques to understanding mineralizing processes (eds. McKibben, M.A., Shanks, W.C.P., and Ridley, W.I.), Reviews in Economic Geology, 7, Society of Economic Geologists, 1-3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