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니페디핀의 삼투정 과립 시스템에서 과립의 크기와 약물의 용해도가 약물의 방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ead Size and Drug Solubility on Drug Release from Osmotic Granule Delivery System for Nifedipine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29 no.3, 2005년, pp.288 - 293  

정성찬 (부경대학교 고분자공학과) ,  전세강 (전북대학교 유기신물질공학과) ,  조영호 (전북대학교 유기신물질공학과) ,  김문석 (한국화학연구원 나노생체재료연구팀) ,  이봉 (부경대학교 고분자공학과) ,  강길선 (전북대학교 유기신물질공학과, 한국화학연구원 나노생체재료연구팀) ,  이해방 (전북대학교 유기신물질공학과, 한국화학연구원 나노생체재료연구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약물을 전달하기 위한 많은 방법들 중의 하나인 삼투압을 이용한 과립화는 타블렛 제형의 단점인 제조공정의 복잡함과 여러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유동층 코팅기로 제조된 삼투압을 이용한 과립은 물을 흡수하면 팽윤하는 시드층과 모델 약물인 니페디핀을 포함하는 약물층, 그리고 약물의 방출을 조절할 수 있는 반투막으로 구성되었다. 서로 다른 크기와 반투막의 두께는 각기 다른 양의 시드와 반투막 코팅액을 사용하여 얻을 수 있었다. 얻어진 과립은 각 코팅 단계에 따라서 서로 다른 모폴로지는 코팅되는 용액의 형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과립의 크기가 클수록 방출은 지연되며, 이는 과립이 가지는 비표면적의 차이로 인한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반투막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약물의 방출이 지연되는데 이는 반투막이 두꺼울수록 물의 흡수가 늦어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용출액의 약물 용해도는 약물의 방출에 큰 영향을 미쳐 용출액 선택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이 실험을 통해 삼투압을 이용한 과립은 유동층 코팅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었으며, 과립의 크기와 반투막의 두께, 돗출액에 따라 약물의 방출을 조절할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smotic granule system which is one of the drug delivery systems has been developed to improve manufacturing process and other problems of tablet osmotic systems. It consists of water swellable seed layer, nifedipine drug layer, and drug release controlled membrane layer and manufactured by fluidiz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물에 대한 용해도가 10 jlg/mL 정도로 낮은 약물인 니페디핀을 모델 약물로 시용하여 과립의 크기와 용출액에 대한 용해도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각 도포 단계에서의 과립의 형태에 대한 고찰과 각 배합 처방에서의 부형제에 따른 니페디핀의 방출 거동, 과립의 크기에 대한 방출의 영향, 반투막의 도포두께에 대한 방출의 영향 및 용출액에 따른 방출의 영향을 살펴보고, 최적 조건을 선정하였다. 또한 이러한 최적 조건에서 니페디핀의 방출 메커니즘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물에 대한 용해도가 10 jlg/mL 정도로 낮은 약물인 니페디핀을 모델 약물로 시용하여 과립의 크기와 용출액에 대한 용해도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각 도포 단계에서의 과립의 형태에 대한 고찰과 각 배합 처방에서의 부형제에 따른 니페디핀의 방출 거동, 과립의 크기에 대한 방출의 영향, 반투막의 도포두께에 대한 방출의 영향 및 용출액에 따른 방출의 영향을 살펴보고, 최적 조건을 선정하였다. 또한 이러한 최적 조건에서 니페디핀의 방출 메커니즘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유동층 코팅기를 이용하여 제조된 과립의 약물 방출 에 대하여 과립의 크기와 약물의 용해도에 의한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약물을 원하는 시간 동안 제어된 방출 거동을 얻기 위해서는 과립의 크기가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이를 위하여 기계적 장치나 삼투압을 이용한 펌프, 막을 사용해서 확산을 제어하는 장치, 생체에서 분해되거나 또는 분해되지 않는 고분자 물질을 이용한 장치 및 이들을 다양하게 조합한다. 이 중에서 삼투압을 이용한 펌프 시스템은 표적특 이성보다는 약물 방출시간을 연장하여 조직이나 혈중의 치료농도를 지속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7

가설 설정

  • 그 다음 반투막으로 코팅을 하고 약물이 방출될 수 있는 오리피스를 만든다.S3 이렇게 여러 가지의 공정을 거쳐야만 하나의 정제가 완성될 수 있는 복잡한 공정이다. 그 외에 다른 단점은 한번에 하나의 정제를 복용하기 때문에 정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 아무런 약효를 낼 수 없을 뿐 아니라 복용한 환자에게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다.
  • Figure 2에 나타난 니페디핀의 구조에서 볼 수 있듯이 니페디핀은 지용성 약물로서 물에 대한 용해도가 매우 낮다. 이에 약물의 용해도에 따른 약물의 방출은 각기 다른 용해도를 가지는 계면활성제로 제조된 용출액상에서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에 가정하여, 서로 다른 용해도를 가지는 용출액상에서 실험을 수행하게 되었다. 약물은 Tween 80 이외에 SDS를 1 wt% 함유하고 있는 용액 내에서 용출 시험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G. Khang, J. M. Rhee, and H. B. Lee, 'Drug Delivery System Using Osmotic Pump', in High Efficiency Anticancer Drug Using Polymeric Biomaterials, H. B. Lee, Editor, Munundang Publishing Co., Seoul, Chap. 10, pp 135-154 (2004) 

  2. H. B. Lee, D. H. Lee, B. K. Kang, S. Y. Jeung, and G. Khang, J. Korean Pharm. Sci., 32, 241 (2002) 

  3. G. Khang and H. B. Lee, Biomedical Polymers, Korean Chemical Society Press, Munundang, Seoul, Korea, 2001 

  4. L. Liu, G. Khang, J. M. Rhee, and H. B. Lee, Korea Polym. J., 7, 289 (1999) 

  5. L. Liu, G. Khang, J. M. Rhee, and H. B. Lee, Biomater. Res., 3, 47 (1999) 

  6. L. Liu, G. Khang, J. M. Rhee, and H. B. Lee, Bio-Med. Mater. Eng., 9, 297 (1999) 

  7. L. Liu, G. Khang, J. M. Rhee, and H. B. Lee, J. Control. Rel., 67, 309 (2000) 

  8. L. Liu, J. Ku, G. Khang, B. Lee, J. M. Rhee, and H. B. Lee, J. Control. Rel., 68, 145 (2000) 

  9. G. Khang, J. Ku, B. Lee, and H. B. Lee, Biomater. Res., 4, 20 (2000) 

  10. D. H. Lee, G. Khang, and H. B. Lee, Biomater. Res., 5, 1 (2001) 

  11. B. K. Kang, G. Khang, J. M. Kim, S. Y. Jeung, H. B. Lee, and S. H. Cho, J. Korean Pharm. Sci., 33, 179 (2003) 

  12. L. Lui, G. Khang, J. M. Rhee, and H. B. Lee, Acta Pharm. Sinica, 38, 620 (2003) 

  13. L. Lui, Q. Xu, G. Khang, J. M. Rhee, and H. B. Lee, Acta Pharm. Sinica, 38, 966 (2003) 

  14. F. Theeuwes and T. Higuchi, U.S. Patent 3,845,770 (1972) 

  15. F. Theeuwes, J. Pharm. Sci., 64, 1987 (1975) 

  16. P. S. L. Wong, B. L. Barclay, J. C. Deters, and F. Theeuwes, U.S. Patent 4,765,989 (1986) 

  17. F. Theeuwes, Pharm. Int., 5, 293 (1984) 

  18. F. Theeuwes, Novel Drug Delivery Systems, ADIS Press, 157 (1981) 

  19. H. Kage, R. Abe, R. Hattanda, T. Zhou, H. Ogura, and Y. Matsuno, Powder Technol., 130, 203 (2003) 

  20. P. B. Deast, Microencapsulation and Related Drug Processes, Marcel Dekker, New York, 1984 

  21. M. Donbrow(Ed.), Microencapsulation and Nanoparticles in Medicine and Pharmacy, CRC Press, Boca Raton, FL, 1991 

  22. H. Ho, C. Chen, and M. Sheu, J. Control. Rel., 68, 433 (2000) 

  23. Y. Wang and M. A. Winnik, Macromol., 23, 4731 (1990) 

  24. J. Siepmann, F. Lecomte, and R. Bodmeirer, J. Control. Rel., 60, 379 (1999) 

  25. P. Rama Rao and P.V. Diwan, Pharm. Acta Helv., 72, 47 (1997) 

  26. M. F. Saettone, G. Perini, P. Rijli, L. Rodriguez, and M. Cini, Int. J. Pharm., 126, 83 (1995) 

  27. P. S. Shah and J. L. Zatz, Drug. Dev. Ind. Pharm., 18, 1759 (1992) 

  28. T. U. Okarter and K. Singla, Drug. Dev. Ind. Pharm., 26, 323 (2000) 

  29. R. C. Rowe, A. D. Kotaras, and E. F. T. White, Int. J. Pharm., 22, 57 (1984) 

  30. J. C. Gutierrez-Rocca and J. W. McGinity, Int. J. Pharm., 103, 293 (1994) 

  31. F. W. Goodhart, M. R. Harris, K. S. Murthy, and R. U. Nesbitt, Pharm. Technol., 8, 64 (1984) 

  32. I. Niopas and and A. C. Daftsios, J. Pharm. Biomed. Anal., 32, 1213 (2003) 

  33. M. Takahashi, M. Mochizuki, T. Itoh, and M. Ohta, Chem. Pharm. Bull., 42, 333 (1994) 

  34. E. C. Feleder, M. Befumo, M. A. Ricci, Coppari, and J. Faour, Clin. Pharmacol. Therap., 75, PI-41 (2004) 

  35. J. S. Grundy and R. T. Foster, Clin. Pharmacokinet., 30, 28 (1996) 

  36. P. D. Henry, Am. J. Cardiol., 46, 1047 (1980) 

  37. P, Colombo, R. Bettimi, G. Massimo, P. L. Catellani, P. Santi, and N. A. Peppas, J. Pharm. Sci., 84, 991 (1995) 

  38. R. C. Rowe, Int. J. Pharm., 29, 37 (1986) 

  39. A. Wade and P. J. Weller (Eds.), Handbook of Pharmaceutical Excipients, Am. Pharm. Assoc., Washington DC, 1994 

  40. M. R. Harris, I. Ghebre-Sellassie, and R. U. Nesbitt, Pharm. Technol., 10, 102 (1986) 

  41. M. M. Meier, L. A. Kanis, and V. Soldi, Int. J. Pharm., 278, 99 (2004) 

  42. H. S. A. Auda, T. A. Najjar, K. I. Al-Khamis, B. M. Al-Hadiya, N. M. Ghilzai, and N. F. Al-Fawzan, J. Pharm. Biomed. Anal., 22, 241 (2000) 

  43. I. Niopas and A. C. Dafrsios, J. Pharm. Biomed. Anal., 32, 1213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