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연안에서 생산되는 미역, 김, 파래등 식용 해조류뿐만 아니라 비식용 해조류의 미 량금속 오염 실태를 파악하여 연안산 해조류의 식품 위생학적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수은, 카드뮴, 납, 구리, 아연, 니켈, 망간크롬 등을 대상으로 그 함량을 조사하였다. 해조류 총 620건의 시료에 대한 채취지역별 미량금속 함량을 비교한 결과, 수은, 카드뮴, 니켈 및 망간 등은 충남 태안 지역에서 대체로 높게 검출되었고, 크롬은 영덕, 구리는 통영 그리고 납과 아연은 울산지역이 높게 검출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해조류의 미량금속은 아연, 망간, 리 순으로 우리 체내에서 없어서는 안될 필수성분들의 함량이 높았으며, 다음으로 크롬,니켈, 납의 농도는 비슷한 수준이었고, 카드뮴, 수은 순이었다 또한, 갈조류에서 수은과 카드뮴이 높게, 녹조류에서 크롬, 구리, 망간, 니켈, 납이 높게 그리고 홍조류에서는 아연이 대체로 높게 검출되었다. 식용 해조류의 미량금속 함량은 우리나라의 해산 어$\cdot$패류의 미량금속 잔류허용기준(생물기준, 수은 0.5ppm, 납 및 카드뮴 2.0ppm)과 비교할 때 대단히 낮은 수준이었다. 전국연안에 넓게 분포하며 해안지선에서 쉽게 채취할 수 있는 비식용 해조류인 지충이는 카드뮴과 망간의 biomonitor로, 그리고 애기마디잘룩이와 지누아리는 각각 니켈과 아연의 biomonitor로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식용으로서 이용도가 낮은 갈조류인 고리매는 크롬과 납의 biomonitor로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assure the safety of the seaweeds, we measured the contents of the trace metals in the seaweeds harvested from Korean coastal area. We collected 620 marine algal samples from fourteen areas, and then analyzed the trace metals such as Hg, Cd, Cr, Cu, Mn, Ni, Pb and Zn. The contents of H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연안에 서식하는 해조류에 대한 위생 안전 확보를 위 한 자료제 공을 위 하여 동 . 서 .
  • 우리나라 연안에서 생산되는 미역, 김, 파래 등 식용 해조류뿐만 아니라 비식용 해조류의 미량금속 오염실태를 파악하여 연안산 해조류의 식품 위생학적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수은, 카드뮴, 납, 구리, 아연, 니 켈, 망간 및 크롬 등을 대상으로 그 함량을 조사하였다. 해조류 총 620건의 시료에 대한 채취지역별 미량금속 함량을 비교한 결과, 수은, 카드뮴, 니켈 및 망간 등은 충남 태안지 역 에서 대체로 높게 검출되 었고, 크롬은 영덕, 구리는 통영 그리고 납과 아연은 울산지역이 높게 검출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가설 설정

  • 2)Parenthesis represents values of mean=S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Nishizawa K, Murasugi S. 1988. Kaisounohon. Kenseisha, Tokyo. p 215 

  2. Cho DM, Kim DS, Lee DS, Kim HR, Pyeun JH. 1995. Trace components and functional saccharides in seaweed - 1. Changes in proximate composition and trace element according to the harvest season and places. Bull Kor Fish Soc 28: 49-59 

  3. KREI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03. Food Balance Sheet (2002). p 277 

  4. 淺川明彦. 1994. 海藻と元素の話.水産の?究 13:77-81 

  5. Conti ME, Cecchetti G. 2003. A biomonitoring study: Trace metals in algae and molluscs from Tyrrhenian coastal areas. Environ Res 93: 99-112 

  6. Kim CY. 1972. Studies on the contents of mercury, cadmium, lead and copper in edible seaweeds in Korea. Bull Kor Fish Soc 5: 88-96 

  7. Kim CY, Won JH. 1974. Concentrations of mercury, cadmium, lead and copper in the surrounding seawater and in seaweeds, Undaria pinnatifida and Sargassum fulvellum, from Suyeong Bay in Busan. Bull Kor Fish Soc 7: 169-178 

  8. Pak CK, Yang KR, Lee IK. 1977. Trace metals in several edible marine algae of Korea. J Oceanol Soc Kor 12: 41-47 

  9. Lee JH, Sung NJ. 1980. The content of minerals in algae. J Kor Soc Food Nutr 9: 51-58 

  10. Choi SN, Lee SU, Chung KH, Ko WB. 1998. A study of heavy metals contents of the seaweeds at various area in Korea. Kor J Soc Food Sci 14: 25-32 

  11. MOMAF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 Fisheries). 2002. Standard Methods for Marin Environment. p 330 

  12. Farias S, Arisnabarreta SP, Vodopivez C, Smichowski P. 2002. Levels of essential and potentially toxic trace metals in Antarctic macro algae. Spectrochim Acta Part B 57: 2133-2140 

  13. Campanella L, Conti ME, Cubadda F, Sucapane C. 2001. Trace metals in seagrass, algae and molluscs from an uncontaminated area in the Mediterranean. Environ Pollut 111: 117-126 

  14. Topcuoglu S, Guven KC, Balkis N, Kirbasoglu C. 2003. Heavy metal monitoring of marine algae from the Turkish coast of the Black Sea, 1998-2000. Chemosphere 52: 1683-1688 

  15. AI-Masri MS, Mamish S, Budier Y. 2003. Radionuclides and trace metals in eastern Mediterranean Sea algae. J Environ Radioact 67: 157-167 

  16. Ho YB. 1987. Metals in 19 intertidal macroalgae in Hong Kong waters. Mar Pollut Bull 18: 564-565 

  17. de Moreno JEA, Gerpe MS, Moreno VJ. 1997. Heavy metals in Antarctic organisms. Polar Biol 17: 131-140 

  18. Kim SK, Lee JW, Kim AJ. 1997. The study on the sea food pollution according to environmental pollution of the western coast in Korea ( I . Fish).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851-859 

  19. Sanchez-Rodriguez I, Huerta-Diaz MA, Choumiline E, Holguin-Quinones O, Zertuche-Gonzalez JA. 2001. Elemental concentration in different species of seaweeds from Loreto Bay, Baja California Sur, Mexico: implications for the geochemical control of metals in algal tissue. Environ Pollut 114: 145-160 

  20. Gnassia-Barelli M, Lemee R, Pesando D, Romeo M. 1995. Heavy metal distribution in Caulerpa taxifolia from the north-western Mediterranean. Mar Pollut Bull 30: 749-755 

  21. Ishii T, Suzuki H, Koyanagi T. 1978. Determination of trace elements in marine organisms- I . Factors for variation of concentration of trace elements. Bull Japan Soc Sci Fish 44: 155-162 

  22. Ishikawa M, Izawa G, Omori T, Yoshihara K. 1987. Annual variation of elemental quantities in brown sea algae Hijiki, Hijikia fusiform. Nippon Suisan Gakkaishi 53: 853-859 

  23. Hu S, Hung C, Wu M. 1996. Cadmium accumulation by several seaweeds. Sci Total Environ 187: 65-71 

  24. Ikebe K, Nishimune T, Tanaka R. 1991. Contents of 17 metal elements in food determined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metry. Food Hyg Soc Japan 32: 48-56 

  25. Phaneuf D, Cote I, Dumas P, Ferron LA, LeBlanc A. 1999. Evaluation of the contamination of marine algae (seaweed) from the St. Lawrence River and likely to be consumed by humans. Environ Res Section A 80: S175-S182 

  26. KFDA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0. Food Code. p 45-46 

  27. NFRDI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1995. Supplemented Chemical Composition of Marine Products in Korea. p 74-79 

  28. 鹽見一雄. 1999. 藻類の安全性について. 藻類 47: 205-212 

  29. van Netten C, Hoption Cann SA, Morley DR, van Netten JP. 2000. Elemental and radioactive analysis of commercially available seaweed. Sci Total Environ 255: 169- 175 

  30. NFRDI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2001. NFRDI Research Project Report. p 365-3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