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속가능한 자연생태계 보전을 위 한 평가지표 체계구축
Construction of System on Assessment Indicators for Conservation of Sustainable Natural Ecosystem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19 no.3, 2005년, pp.287 - 298  

유주한 (충청북도수목,산야초연구센터) ,  정성관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오정학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자연생태계를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표군을 구축함으로써 국토 및 자연환경 보전의 기초자료 제공과 더불어 환경정책 수립이나 입안을 위한 방향제시를 위해 수행되었다. 생물적 요인, 무생물적 요인, 질적 요인, 기능적 요인 등 4개의 평가항목을 선정하였으며, 평가지표는 밀도, 총 질소량, 헤메로비등급, 재화생산등56개로 추출하였다. 평가항목과 평가지표가 신뢰계수 0.6 이상으로 확인되어 설문지 설계에는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지표의 상관분석 결과, 생물적 요인의 경우 군도와 우점도, 무생물적 요인의 경우 토성과 방위, 질적 요인의 경우 귀화율과자연파괴도, 기능적 요인의 경우산사태 방지와토양침식 방지가 높은상관성을 보였다. 다차원 척도법에 의해 차원결정을 수행한 결과, 스트레스값은 $0.042\sim0.133$, 적합도 지수는 0.9 이상으로 나타나 통계적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다. X축의 경우 생물적 요인은 구조, 무생물적 요인은 관점, 질적 요인은 구성, 기능적 요인은 대상이고 Y축은 형태, 범위, 구조, 활동으로 형성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ffer the raw data on conservation of land and natural environment by constructing groups of indicators to objectively and rationally assess the sustainable natural ecosystem and present the direction for establishing and planning the environmental policy. There were 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경관과 생태계의 안정성 및 건전성을 규명하기 위한 것 이며, 기능적 요인은산림이 인간과각종 생물들에게 주는 기능성을 파악하는데 착안하였다. 이러한 지표들은 생태계와 관련된 산림생태학, 도시계획 및 경관, 임학, 생물보전학 등에서 선정하여 분류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한 자연생태계를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지표군을 구축함으로써 국토 및 자연환경 보전의 기초자료 제공 과 더불어 환경정책 수립이나 입안을 위한 방향제시를 위해 수행되었다.
  • 상기 기능들은자연이 인간생활 을 지속적으로 영 위할 수 있도록 이 익을 줌으로써 인간 은 수동적으로 이 익을 받는다. 따라서 자연생태계를 평가함에 있어 자연중심사고도 중요하나 인간이 생활하기 위해 자연생태계를 이해하고 해석하고자 평가하는 경향 이 많기 때문에 이를 인간-수동적 차원으로 평 가하고자 한다.
  • 자연생태계를 평가하기 위한 지표선정은 생물적 요 인, 무생물적 요인, 질적 요인, 기능적 요인 등4가지 평가 항목으로 1차 분류하였다. 생물적 요인은 식생의 구조, 상태, 다양성을 평가하는데 주안점을 두었고 무생물적 요인은 토양과 환경 적 특성이 자연생 태계 평 가에 미 치 는 영향을확인하기 위해 선정하였다. 또한 질적 요인은
  • 평가지표들을 이용하여 자연생태계를 평가할 시 사 용기준 및 차원을 파악하고 차원 내에서 평가지표들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분포 형 태와 이에 따른 특성에 의한 자연생 태 계 평 가의 전략 수립을 위해 수행 되었다. 또 한X축과 Y축의 차원명은요인분석과마찬가지로 지표 들이 배열된 특성에 따라 부여하였는데 이는 위치와 지 표특성을대표할수있는명칭으로명명된것이라고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김상윤, 윤여창(1999) 지속가능한 산지개발을 위한 토지이용계획 변수설정에 관한 연구. 산림경제연구 7(1): 63-72 

  2. 나정화, 류연수, 사공정희(2001) 평가지표에 의한 도시 비오톱의 가치평가. 한국조경학회지 29(1): 100-112 

  3. 유주한, 정성관(2002) 자연자원 보전지역의 평가모형 -내셔널 트러스트 후보지 선정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0(2): 39-49 

  4. 유주한, 정성관(2005) 충청북도 미동산수목원의 자생초본군락 구조 및 관리방안. 한국조경학회지 33(2): 48-59 

  5. 윤여창, 김상윤, 권태호, 이창석(1999) 지속가능한 산지개발을 위한 환경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지 8(2): 53-63 

  6. 이동근, 윤소원(1998)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을 위한 환경지표에 관한 연구 -인간과 자연과의 공생지표를 중심으로-.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지 7(1): 93-107 

  7. 이동근, 윤소원, 김은영, 전성우, 최재용(2005) 보전가치평가를 위한 경관생태학적 지표의 활용 및 적용. 한국조경학회지 32(6): 14-22 

  8. 임양재, 전의식(1980) 한반도의 귀화식물분포. 한국식물분류학회지 22:69-83 

  9. Bazzaz, F.A.(1975) Plant species diversity in old-field successional ecosystem in southern Illinois. Ecology 56: 485-488 

  10. Bebi, P., F. Kienast and W. Schonenberger(2001) Assessing structures in mountain forests as a basis for investigation the forest's dynamics and protective function.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45: 3-14 

  11. Blume, H.P. and Sukopp, H.(1976) Okologische bedeutung anthropogener bodenveranderung. Schriftenreihe fur Vegetationskunde 10: 75-89 

  12. Cole, R.P. and S.V. Cordray(1991) What should forests sustain? eight answers. Journal of Forestry 89: 31-36 

  13. Cowling, R.M. and M.J. Samways(1995) Predicting global patterns of endemic plant species richness. Biodiversity Letters 2: 127-131 

  14. Folke, C., C.S. Holling and C. Perings(1996) Biological diversity, ecosystem, and the human scale. Ecological Applications 6(4): 1018-1024 

  15. Freeman, C.(1999) Development of a simple methods for site survey and assessment in urban area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44: 1-11 

  16. Frissel, S.S.(1977) Judging recreation impacts on wildness campsite. Journal of Forestry 76: 481-483 

  17. Gluck, P.(2000) Policy means for ensuring the full value of forests to society. Land Use Policy 17: 177-185 

  18. Grigal, D.F.(2000) Effects of extensive forest management on soil productivity.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38: 167-185 

  19. Kapfer, J.A. and S.B. Franklin(2000) Evaluation of an ecological land type classification system Natchez Trace state forest, western Tennessee, USA.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49: 179-190 

  20. Kessler, M.(2001) Patterns of diversity and range size of selected plant groups along an elevational transect in the Bolivian Andes. Biodiversity and Conservation 10: 1897-1921 

  21. Locke, M.A., K.N. Reddy, and R.M. Zablotowicz(2002) Weed management in conservation crop production systems. Weed Biology and Management 2: 123-132 

  22. Louw, J.H. and M.S. Scholes(2002) Forest site classification and evaluation: a South African perspective.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71: 153-168 

  23. Malanson, G.P. and B.E. Cramer(1999) Landscape heterogeneity, connectivity, and critical landscapes for conservation. Diversity and Distribution 5: 27-39 

  24. Malone, C.R.(2000) Ecosystem management policies in state government of the USA.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48: 57-64 

  25. Martin, H. and J. Cornelis(2000) Towards a monitoring method and a number of multifaceted and hierarchical biodiversity indicators for urban and suburban park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49: 149-162 

  26. Mendoza, G.A. and R. Prabhu(2003) Qualitative multi-criteria approaches to assessing indicators of sustainable forest resource management.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74: 329-343 

  27. Noss, R.F.(1990) Indicators for monitoring biodiversity: a hierarchical approach. Conservation Biology 4(4): 355-364 

  28. Nowak, D.J.(1993) Atmospheric carbon reduction by urban tre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37: 207-217 

  29. Odum, E.P.(1969) The strategy of ecosystem development. Science 164: 262-270 

  30. Sidle, R.C.(1992) A theoretical model of the effects of timber harvesting on slope stability. Water Resources Research 28(7): 1898-1910 

  31. Skole, D. and C. Tucker(1993) Tropical deforestation and habitat fragmentation in the Amazon: satellite data from 1978 to 1988. Science 260: 1905-1910 

  32. Sukopp, H.(2004) Human-caused impact on preserved vegetation.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8: 347-355 

  33. Tansley, A. G .(1935) The use and abuse of vegetational concepts and terms. Ecology 16: 284-307 

  34. Thompson, S., K. McElwee and J.T. Lee(2001) Using landscape characteristics for targeting habitat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a case study of ancient semi-natural woodland in the Chiltern Hills area of outstanding natural beauty, UK. Landscape Research 26(3): 203-2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