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인체 피부 세포주 (HaCaT)에서 Kaempferol, Quercetin의 Hyaluronan 합성 촉진 효과에 대한 연구
The Effect of Kaempferol, guercetin on Hyaluronan-Synthesis Stimulation in Human Keratinocytes (HaCaT)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31 no.1 = no.49, 2005년, pp.97 - 102  

김승훈 (태평양기술연구원 피부과학연구소) ,  남개원 (태평양기술연구원 피부과학연구소) ,  강병영 (태평양기술연구원 화장품 연구소) ,  이해광 (태평양기술연구원 피부과학연구소) ,  문성준 (태평양기술연구원 피부과학연구소) ,  장이섭 (태평양기술연구원 피부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분 보유력이 우수한 hyaluronan (HA)은 피부 보습에 관여하는 여러 물질들 중 하나로 피부의 extracellular matrix를 구성하는 주요 성분 중 하나이다. Glycosaminoglycans (GAGs)의 구성 성분의 하나로 과거에는 진피에서 유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최근 연구들을 통해 표피에서 합성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Polyphenolic compound의 일종인 kaempferol과 quercetin은 채소류 같은 식물성 음식에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kaempferol은 인체 표피세포에서 glutathione 합성을 증가시키고 quercetin은 lipoxygenase inhibitor로 PPAR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 mediated 표피세포 분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표피 세포주에서 이들 flavonoids -kaempferol, quercetin -의 HA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물질 처리에 따른 HA 합성 효소인 hyaluronan synthase 1, 2, 3 (HAS1, 2, 3) 유전자 발현의 변화를 semi-quantitative RT-PCR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들 flavonoid들에 의해 24 h 후 HAS2, 3 mRNA 발현이 증가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HA 합성량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ELISA를 수행하였다. 24 h 물질 처리 후 배지를 수거하여 HA 합성량을 살펴본 결과 이들 물질에 의해 합성이 유의하게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비록 합성 촉진에서의 효과가 retinoic acid에는 못 미치지만 kaempferol과 quercetin은 표피 세포주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HA 합성을 증가시켰다. 위의 결과를 통해 flavonoid류인 kaempferol과 quercetin이 피부에서 HA 생산을 촉진시킴을 알 수 있었고 이를 통해 피부 보습과 잔주름 개선에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ne of the key molecules involved in skin moisture is hyaluronan (hyaluronic acid, HA) with its associated water of hydration. The predominant component of the ECM (extracellular matrix) of skin is HA. It Is the primordial and the simplest of the GAGs (glycosaminoglycans), a water-sorbed macromolec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PCR 결과를 agarose gel에 전기영동하고, 에티디움 브로마이 드(ethidium bromide)로 염색하였다. GAPDH를 증폭한 결과를 표준화를 위한 기준으로 삼았다.
  • HaCaT 세포에서 kaempferol과 quercetin, retinoic acid 를 처리한 후 HA 합성 효소의 발현을 mRNA 수준에서 살펴보았다.
  • HaCaT 세포에서 kaempferol과 quercetin을 농도별로처리한 후 HA 합성이 촉진되어 배지로 배출되는 양을 HA-ELISA kit를 이용하여 정량화 하였다.
  • 94℃에서 5 min간 한번의 변성 사이클을 거친 다음 94℃ 에서 1 min, 55℃ 에서 1 min 및 72℃ 에서 1 min 30 s간의 cycle을 30회 반복하였다. PCR 결과를 agarose gel에 전기영동하고, 에티디움 브로마이 드(ethidium bromide)로 염색하였다. GAPDH를 증폭한 결과를 표준화를 위한 기준으로 삼았다.
  • 계속해서 상기의 반응 혼합물 3 μL를 취하여 PCR 반 응에 사용하였다. 각각의 PCRe TaKaRa Ex Taq DNA 중합효소(5 U/nL, TaKaRa), 10 x Ex Taq Buffer, MgCh, dNTP Mixture 및 25 pM의 적절한 sense 또는 antisense PCR 프라이머 (Table 1)를 함유하는 반응 혼합물 20 μL 내에서 Perkin-Elmer Cycler 9600 (Perkin-Elmer Applied Biosystems, Foster, CA)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PCR 반응 조건은 다음과 같다.
  • 위의 세포 배양을 통해 수거한 배지를 HA-ELISA Kit 를 이용하여 kaempferol과 quercetin에 의해 HaCaT 세포 에서 합성되어 배지로 배출되는 HA 합성량을 정량하였다.
  • 정량한 RNA를 역전사하고, 이어 세 종류의 HA 합성 효소 HAS1, 2, 3에 특이적인 primer를 이용하여 각각의 정 량적인 PCR을 수행하였다. 총 RNA 4 #을 M-MuLV 역전사 중합효소(20 U/“L) 1 μL, RNAse 억제제(20 U/μL) 1 #L, 5xReaction Buffer 4 #L, 10 mM dNTP mix 2 μL, oligo (dT) 프라이머 (0.
  • 처리 농도에서 세포 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96 well plate에 1 X lT/well의 세포를 분주하고 위의 조건으로 배양하여 MTT Assay kit 내의 protocal에 따라 562 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 ELIS A 를 수행하기 위해 Echelon 사의 Hyalurona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Kit (HA-ELISA, Product No: K-1200)을 구입하였다.
  • 기기는 ELISA reader, Perkin-Elmer Cycler 9600, agarose gel electrophoresis system 등을 사용하였다.
  • 세포는 3일에 한번씩 신선한 배 지로 교체해 주고 밀도가 최상에 도달하자마자 1:5의 분 할 비로 2차 배양하였다. 물질을 처리하기 72 h 전에 조 직 배양 플라스크 75 cm?당 1 X 105개의 세포를 분주하 여, 10% FBS> 함유하는 배지에서 48 h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FBS가 없는 배지에서 24 h 동안 배양하고, kaempferol과 quercetin, retinoic acid을 각각 X 1000의 농도로 DMSO에 녹여 stock으로 만든 후 final 농도가 0.
  • 본 연구에 사용한 HaCaT 세포주는 독일 암연구소 (DKFZ)의 Norbert E. Fusenig 박사로부터 분양 받았다. HaCaT 세포를 10% FBS (Hyclone 사), sodium bicarbonate 3.
  • 실험에 사용된 시약으로 kaempferol, quercetin, retinoic acid,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sodium bicarbonate 등은 Sigma (USA)사 제품을 사용하였고, trypsirV EDTA, penicillin/streptomycin, Dulbeccos Modification of Eagles medium (DMEM), Trizol 등은 Gilbco (USA) 사 제품을, FBS는 Hyclone사(USA) 제품을, RT-PCR kit 는 MBI Fermentas사(Lithuania) 의 First Strand cDNA Synthesis .kit를, PCRe Takara사(Japan) 의 Ex Taq kit 를 primer는 bioneer사(Republic of Korea) 제품을, ELISA 를 위해 Echelon사(USA)의 HA-ELISA Kit 등을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 처리 물질의 해당 농도에서 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MTT assay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R. Fleischmajer, J. S. Perlish, and R. I. Bashey, Human dermal glycosaminoglycans and aging, Biol. chem Biophys. Acta, 279(2), 265 (1972) 

  2. M. O. Longas, C. S. Russell, and X. Y. He, Evidence for structural changes in derrnatan sulfate and hyaluronic acid with aging, Carbohydr. Res., 159(1), 127 (1987) 

  3. I. Ghersetich, T. Lotti, G. Campanile, C. Grappone, and G. Dini, Hyaluronic acid in cutaneous intrinsic aging, Int. J Dermatol., 33(2), 119 (1994) 

  4. P. Heldin, T. C. Laurent, and C. H. Heldin, Effect of growth factors on hyaluronan synthesis in cultured human fibroblasts, Biochem J., 258(3), 919 (1989) 

  5. P. Heldin, T. Asplund, D. Ytterberg, S. Thelin, and T. C. Laurent, Characterization of the molecular mechanism involved in the activation of hyaluronan synthetase by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in human mesothelial cells, Biochem J., 283(Pt1), 165 (1992) 

  6. M. Suzuki, T. Asplund, H. Yamashita, C. H. Heldin, and P. Helclin, Stimulation of hyaluronan biosynthesis by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BB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1 involves activation of protein kinase C, Biochem J., 307(Pt3), 817 (1995) 

  7. E. Tirone, C. D. Alessandris, V. C. Hascall, G. Siracusa, and A. Salustri, Hyaluronan synthesis by mouse cumulus cells is regulated by interactions between follicle-stimulating hormone (or epidermal growth factor) and a soluble oocyte factor (or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l), J. Biol. Chem, 272(8), 4787 (1997) 

  8. R. Tammi, J. A. Ripellino, R. U. Margolis, H. I. Maibach, and M. Tammi, Hyaluronate accumulation in human epidermis treated with retinoic acid in skin organ culture, J. Invest. Dermatol., 92(3), 326 (1989) 

  9. H. Akiyama, M. Saito, G. Qiu, T. Toida, and T. Imanari, Analytical studies on hyaluronic acid synthesis by normal human epidermal keratinocytes cultured in a serum-free medium, Biol. Pharm. Bull., 17(3), 361 (1994) 

  10. H. Sobel and R. A. Cohen, Effect of estradion on hyaluronic acid in the skin of aging mice, Steroids, 16(1), 1 (1970) 

  11. J. P. Bentley, R. M. Brenner, A. D. Linstedt, N. B. West, K. S. Carlisle, B. C. Rokosova, and N. MacDonald, Increased hyaluronate and collagen biosynthesis and fibroblast estrogen receptors in macaque sex skin, J. Invest. Dermatol., 87(5), 668 (1986) 

  12. K. Miyazaki, T. Hanamizu, R. Iizuka, and K. Chiba, Genistein and daidzein stimulate hyaluronic acid production in transformed human keratinocyte culture and hairless mouse skin, Skin Pharmacol. Appl. Skin Physiol., 15(3), 175 (2002) 

  13. P. H. Weigel, V. C. Hascall, and M. Tammi, Hyaluronan synthases, J Biol. Chem, 272(22), 13997 (1997) 

  14. J. P. Pienimaki, K. Rilla, C. Fulop, R. K. Sironen, S. Karvinen, S. Pasonen, M. J. Lammi, R. Tammi, and V. C. Hascall, Epidermal growth factor activates hyaluronan synthase 2 in epidermal keratinocytes and increases pericellular and intracellular hyaluronan, J Biol. Chem, 276(23), 20428 (2001) 

  15. S. Kim, B. Y. Kang, S. Y. Cho, D. S. Sung, H. K. Chang, M. H. Yearn, D. H. Kim, Y. C. Sim and Y. S. Lee, Compound K induces expression of hyaluronan synthase 2 gene in transformed human keratinocytes and increases hyaluronan in hairless mouse skin, Biochem Biophys. Res. Comm, 316, 348 (2004) 

  16. S. Karvinen, S. Pasonen-Seppanen, J. M. Hyttinen, J. P. Pienimaki, K. Torronen, T. A. Jokela, M. I. Tammi, and R. Tammi, Keratinocyte growth factor stimulates migration and hyaluronan synthesis in the epidermis by activation of keratinocyte hyaluronan synthase 2 and 3, J. Biol. Chem, 278(49), 49495 (2003) 

  17. T. Sayo, S. Sakai, and S. Inoue, Synergistic effect of Nracetylglucosarnine and retinoids on hyaluronan production in human keratinocytes, Skin Ptarmacol. Physiol., 17, 77 (2002) 

  18. T. Sayo, Y. Sugiyama, Y. Takahashi, N. Ozawa, S. Sakai, O. Ishikawa, M. Tamura, and S. Inoue, Hyaluronan synthase 3 regulates hyaluronan synthesis in cultured human keratinocytes, J Invest. Dermatol., 118, 43 (2002) 

  19. S. Sakai, R. Yasuda, T. Sayo, O. Ishikawa, and S. Inoue, Hyaluronan exists in the normal stratum corneum, J. Invest. Dermatol., 114, 1184 (2000) 

  20. S. Sakai, T. Sayo, S. Kodama, and S. Inoue, N-methyl-L-serine stimulates hyaluronan production in human skin fibroblasts, Skin Pharmacol. Physiol., 12, 276 (1999) 

  21. Y. Sugiyama, A. Shimada, T. Sayo, S. Sakai, and S. Inoue, Putative hyaluronan synthase mRNA are expressed in mouse skin and TGF-b upregulates their expression in cultured human skin cells, J. Invest Dermatol., 110, 116 (1998) 

  22. K. Fukuda, M. Takayama, M. Ueno, M. Oh, S. Asada, F. Kumano, and S. Tanaka, Hyaluronic acid inhibits interleukin-1-induced superoxide anion in bovine chondrocytes, Inflamm. Res., 46, 114 (1997) 

  23. W. Manuskiatti, and H. I. Maibach, Hyaluronic acid and skin; wound healing and aging, Int. J. Dermatol., 35, 539 (1996) 

  24. S. I. Lamberg and A. C. Stoolmiller, Glycosaminoglycans, A biochemical and clinical review, J. Invest. Dermatol., 63, 433 (1974) 

  25. O. Tokusoglu, HPLC-UV and GC-MS characterization of the flavonol aglycons quercetin, kaernpferol, and myricetin in tomato pastes and other tomato-based products, Acta Chromatographica, 13, 196 (2003) 

  26. H. P. Ciolino, P. J: Daschner, and G. C. Yeh, Dietary flavonols quercetin and kaempferol are ligands of the aryl hydrocarbon receptor that affect CYP1A1 transcription differentially, Biochem. J., 340, 715 (199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