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배추 유묘를 Plasmodiophora brassicae 오염토에 이식하고 약제 용액을 폿트(35 $cm^2$)에 관주처리 하는 방법으로 기존 살균제 44종의 배추 뿌리혹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실험하였다. 뿌리혹병 방제용 살균제인 fluazinam, flusulfamide 및 cyazofamid는 폿트 당 0.63 mg 처리구에서 모두 90% 이상의 방제가를 나타냈다. 난균류 병해 살균제인 ethaboxam과 cymoxanil은 폿트 당 5 mg 처리 시에 배추 뿌리혹병을 완전히 방제하였다. 그러나 cymoxanil은 고농도 처리에서 배추에 심한 약해를 유발하였다. 잿빛곰팡이병 방제용 살균제인 dichlofluanid와 procymidone도 폿트 당 2.5 mg 처리 시에 배추 뿌리혹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하였다. 광범위살균제인 chlorothalonil, quintozene과 trichlamide도 2.5 mg 처리 시에 각각 85%, 100%, 100%의 방제가를 나타냈다. 스테롤 생합성 저해제는 대부분 배추 뿌리혹병에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냈으나, 이들은 배추 유묘의 생육을 억제하는 약해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선발된 7종 살균제의 배추 뿌리혹병 방제효과를 비교하여 실험한 결과, 이들 중 ethaboxam은 가장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냈으며 fenarimol, pocymidone, nuarimol, chlorothalonil 순으로 우수한 방제효과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vivo antifungal activity of 44 fungicides consisting of 3 clubroot fungicides, 7 Oomycetes fungicides, 7 botriticides, 7 blasticides, 9 sterol biosynthesis inhibitors, and 11 broad spectrum fungicides were investigated against Plamodiophora brassicae, the causal agent of clubroot disease in Chi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다른 식물병에 비하여 방제약제가 다양하지않으므로 저항성 발현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연구에서는 구조가 다양한 기존 살균제 35종을 선발하여 이들의 배추 뿌리혹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실험하여 기타 병해를 방제하기 위하여 사용된 살균제가 배추 뿌리혹병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rie, T., Y. Kobayashi, G. Okada, Y. Kono and I. Yamaguchi (1998) Control of soilborne clubroot disease of cruciferous plants by epoxydon from Phoma glomerata. Plant Pathol. 47: 743-748 

  2. Braselton, J. (1995) Current status of plasmodiophorids. Crit. Rev. Microbiology 21:263-275 

  3. Burden, R. S., D. T. Cooke and G. A. Carter (1989) Inhibitors of sterol biosynthesis and growth in plants and fungi. Phytochemistry 28:1791-1804 

  4. Burden, R. S., T. Clark and P. J. Holloway (1987) Effects of sterol biosynthesis-inhibiting fungicides and plant growth regulators on the sterol composition of barley plants. Pestic. Biochem. Physiol. 27 :289-300 

  5. Ikegami, H. (1975) Susceptibility and resistance to clubroot of the cruciferous vegetable species and varieties. Studies on the clubroot of cruciferous plant 1. Res. Bull. Fac. Agric. Gifu Univ. 38: 11-28 

  6. Kirk, P. M., P. E. Cannon, J. C. David and J. A. Stalpers (2001) Dictionary of the Fungi, 9th ed. IMI. CAB Internatinal 

  7. Komyoji, T., K. Sugimoto, S. Mitani, N. Matsuo and K. Suzuki (1995) Biological properties of a new fungicide, fluazinam. J. Pestic. Sci. 20:129-135 

  8. Minami, E. and I. Ando (1994) Analysis of blast disease resistance induced by probenazole in rice. J. Pestic. Sci. 19:79-83 

  9. Mitani, S., K. Sugimoto, H. Hayashi, Y. Takii, T. Ohshima and N. Matsuo (2003) Effects of cyazofamid against Plasmodiophora brassicae Woronin on chinese cabbage. Pest Manag. Sci. 59:287-293 

  10. Nakashita, H., K. Yoshioka, M. Yasuda, T. Nitta, Y. Arai, S. Yoshida and I. Yamaguchi (2002) Probenazole induces systemic acquired resistance in tobacco through salicylic acid accumulation. Physiol. Mol. Plant Pathol. 61:197-203 

  11. Schaller, H. (2004) New aspects of sterol biosynthesis in growth and development of higher plants. Plant Physiol. Biochem. 42:465-476 

  12. Shimotori, H., H. Yanagida, Y. Enomoto, K. Igarashi, M. Yoshinari and M. Umemoto (1996) Evaluation of benzenesulfonanilide derivatives for the control of crucifers clubroot. J. Pestic. Sci. 21:31-35 

  13. Stanghellini, M. E. and R. M. Miller, (1997) Their identity and potential efficacy in the biological control of zoosporic plant pathogens. Plant Dis. 81:4-12 

  14. Tanaka S., S. Yoshihara, S. Ito and M. Kameya-Iwaki (1997) The influence of virulence of Plasmodiophora brassicae populations on epidemiology of Chinese cabbage clubroot and efficacy of fungicides. Ann. Phytopathol. Soc. Jpn 63: 183-187 

  15. Tsuji, G., T. Takeda, I. Furusawa, O. Horino and Y. Kubo (1997) Carpropamid, an anti-rice blast fungicide, inhibits scytalone dehydratase activity and appressorial penetration in Colletotrichum lagenarium. Petic. Biochem. Physiol. 57:211-219 

  16. Williams, P. H. (1966) A system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races of Plasmodiophora brassicae that infest cabbage and rutabaga. Phytopathology 56:624-626 

  17. Yamaguchi, I., S. Sekido and T. Misato (1982) The effect of non-fungicidal anti-blast chemicals on the melanin biosynthesis and infection by Pyricularia oryzae. J. Pestic. Sci. 7:523-529 

  18. Yoshigawa, H. (1983) Breeding for clubroot resistance of crucifer crop in Japan. JPN. Agr. Res. Quart. 17: 6-11 

  19. Yoshikawa, H. and S. T. Buczacki (1978) Clubroot in Japan: research and problems. Rev. Plant Pathol. 57:253-257 

  20. 김두욱, 오정행 (1997) 배추 무사마귀병의 발생상황과 병원균(Plasmodiophora brassicae)의병원성 및 배추 품종의 병저항성. 한국식물병리학회지 13:95-99 

  21. 김충회, 조원대, 김홍모 (2000a) 배추무사마귀병균의 토양내 분포. 식물병 연구 6:27-33 

  22. 김충회, 조원대, 김홍모 (2000b) 배추무사마귀병균 휴면포자의 발아 및 생존에 미치는 몇가지 환경요인. 한국농약과학회지 4(4):66-71 

  23. 조광수, 한영환, 이정태, 허은주, 양태진, 우종규 (2002) 고랭지 지역 배추 무사마귀병원균의 생리형 분화와 저항성 품종 선발. 한국육종학회지 34:168-173 

  24. 오정행, 조장환, 김봉구, 채제천, 정길웅, 황철호, 김두욱 (1997) 배추 무사마귀병(Plasmodiophora brassicae)의 발병 유인 및 약제방제. 한국식물병리학회지 13: 244-24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