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표준생태독성시험법 개발을 위한 한국산 물벼룩의 최적사육온도 구명
Optimal temperature conditions of Korean freshwater Cladoceran for development of standard toxicity test methods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9 no.3, 2005년, pp.221 - 230  

김병석 (농업과학기술원 농산물안전성부) ,  박연기 (농업과학기술원 농산물안전성부) ,  박경훈 (농업과학기술원 농산물안전성부) ,  신진섭 (농업과학기술원 농산물안전성부) ,  김진화 (농업과학기술원 농산물안전성부) ,  안용준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생명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에 서식하는 주요 물벼룩에 대한 독성시험기준 마련의 필요성에 따라 국내환경에서의 대표성, 실내사육가능성 및 독성시험에 적합한 크기 등을 고려하여 선발된 4종의 한국산물벼룩(Daphnia sp., Daphnia obtusa, Moina macrocopa, Simocephalus vetulus)과 Daphnia magna를 대상으로 사육온도(16, 20, 24, $28^{\circ}C$)에 따른 번식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실험에 사용한 5종 물벼룩 모두 온도가 높을수록 탈피횟수, 새끼출산수 및 내적자연증가율이 증가하고 성체가 되는데 걸리는 기간과 생존율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높은 온도조건에서 높은 내적자연증가율을 보여줌에도 불구하고 고온에서의 높은 모체사망율을 고려한다면 대부분은 $20^{\circ}C$ 내외가 가장 적절한 사육온도임을 알 수 있었다. 다만 D. obtusa의 경우에는 $16^{\circ}C$에서 더 높은 모체생존율을 보여주었으며 내적자연증가율도 $20^{\circ}C$와 비교하여 큰 차이가 없어 $16^{\circ}C$ 내외가 더 적절한 온도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emperature is an important ambient factor affecting the physiology and metabolism of aquatic invertebrates. In this study, we studied about the survival, reproduction and growth effects of 4 different temperatures(16, 20, 24, $28^{\circ}C$) in four Korean cladoceran, Daphnia sp., Daphni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 서식하는 주요 물벼룩 중 국내환경에서의 대표성, 실내사육가능성 및 독성시험에 적합한 크기 등을 고려하여 선발된 4종의 한국산 물벼룩 Daphnia sp., Daphnia obtusa, Moina macrocopa, Simocephalus vetulus(김일회, 1988;윤성명, 1995) 4종에 대한 실내사육 최적온도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가설 설정

  • b) Colorless body.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Ferrrando, M. D., E. Sancho and E. Andreu-Moliner (1995) Chronic toxicity of fenitrothion to an algae(Nannochloris oculata), a Rotifer (Brachionus clayciflorus), and the Cladoceran (Daphnia magna). Ecotox. Environ. Safe 35: 112-120 

  2. Fisher, S. W., H. Hwang, M. Atanasoff and P. F. Landrum (1999) Lethal body residues for pentachlorophenol in zebra mussel(Dreissena polymorpha) under varying conditions of temperature and pH. Ecotox. Environ. Safe 43: 274-283 

  3. Goulden, C. E., R. M. Comotto, J. A. Jr. Hendrickson, L. L. Horing and K. L. Johnson (1982)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for the culture and use of Daphnia in bioassay studies. Aquatic Toxicology and Hazard Assessment, fifth Conference, pp.139-160. ASTM. Philadelphia 

  4. Hanazato, T. (1998) Growth analysis of Daphnia early juvenile stages as an alternative method to test the chronic effect of chemicals. Chemosphere 36(8): 1903-1909 

  5. Heugens E. H. W., T. Jager., R. Creyghton, M. H. S. Kraak, A. J. Hendriks, N. M. V. Stmalen and W. Admiraal (2003) Temperature-dependent effects of cadmium on Daphnia magna : accumulation versus sensitivity. Environ. Sci. Technol. 37:2145-2151 

  6. Koivisto, S. (1995) Is Daphnia magna an ecologically representative zooplankton species in toxicity tests? Environtal Pollution 90:263-267 

  7. Koivisto, S., M Ketola and M. Walls (1992) Comparison of five Cladoceran species in short-and long-term cooper exposure. Hydrobiologia 248: 125-136 

  8. Mark, U. and J. Solbe (1998) Analysis of the ECETOC AQUATIC TOXICITY(EAT) Database, V-The relevance of Daphnia magna as a representative test species. Chemosphere 36(1):155-166 

  9. Mayer, F. L., L. Jr. Marking, T. D. Bills and G. E. Howe (1994) Physicochemical factors affecting toxicity in freshwater: hardness, pH, and Temperature, In Bioavailability;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Interaction. CRC press. Boca Raton, Florida 

  10. Nandimi S. and T. R. Rao (1998) Somatic and population growth in selected cladoceran and rotifer species offered the cyanobacterium Microcystis aeruginosa as food. Aquaticc Ecology 31: 283-298 

  11. OECD (1984) Daphnia sp., acute immobilization test and reproduction test. OECD guideline for testing of chemicals No.202 

  12. OECD (1996) Daphnia magna reproduction test, OECD guideline for testing of chemicals Proposal for updated guideline No.211. TG\DAPHNIA\9678.DOC 

  13. OECD (1997) Report of the final ring test of the Daphnia magna reproduction test, Seriese on testing and assessment No.6 

  14. Sanchez, M., E. Andreu-Moliner and M. D. Ferrando (2004) Laboratory investigation into the development of resistance of Daphnia magna to the herbicide molinate. Ecotox. and Environ. Safe 59:316-323 

  15. Stark, J. D., L. Tanigoshi, M. Bounfour and A. Antonelli (1997) Reproductive potential: Its influence on the susceptibility of a species to pesticides. Ecotox. and Environ. Safe 37:273-279 

  16. Tanaka, M. (2003) Ecological risk assessment of pollutant chemicals: extinction risk based on population-level effects. Chemosphere 53:421-425 

  17. Tsui, M. T. K. and W. X. Wang (2004) Temperature influences on the accumulation and elimination of mercury in a freshwater cladoceran, Daphnia magna. Aquatic Toxicology 70:245-256 

  18. USEPA (1986) Ecological risk assessment, Standard Evaluation Procedure. EPA 540/9-85-001 

  19. USEPA (1992a) Aquatic invertbrate acute toxicity test, freshwater Daphnid, Ecological Effects Test Guidelines. OPPTS 850.1010 

  20. USEPA (1992b) Daphnid chronic toxicity test, Ecological Effects Test Guidelines. OPPTS 850.1300 

  21. Van Leeuwen C. J. and J. L. M. Hermens (1995) Risk assessment of chemicals: An introducti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pp 196-200 

  22. Versteeg, D. J., M. Stalmans, S. D. Dyer, and C. Janssen (1997) Ceriodaphnia and Daphnia : a comparison of their sensitivity to xenobiotics and utility as a test spesies. Chemosphere 34(4) : 869 892 

  23. Villarroel M. J., E. Sancho, M. D. Ferrando and E. Andreu (2003) Acute, Chronic and sublethal effect of the herbicide propanil on Daphnia magna. Chemosphere 53 : 857-864 

  24. 김병석, 박연기, 신진섭, 김진화, 안용준 (2004) 한국산 물벼룩의 먹이조건별 번식영향. 농약과학회지 8(2): 117-128 

  25. 김일회 (1988) 한국 담수산 물벼룩류에 대한 검색표. 한국동물분류학회지 특간 제 2호, 43-65 

  26. 농촌진흥청 (2005) 농약의 등록시험 기준과 방법. 농촌진흥청고시 제 2005-7 호 

  27. 부경생 (1996) 곤충생리학. 집현사. 서울 

  28. 윤성명 (1993) 한국산 새각류(갑각 상강, 새각 강)의 계통분류 및 분자진화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9. 이성규 (1994) 농약의 환경생태독성에 대하여, 농약정보 7. 8월호. pp.32-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