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국, 미국, 일본의 노인공동생활주택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플랭클린(Franklin)의 사회구성주의적 관점을 중심으로 -
Analysis on the Context of Senior Congregate Housing in the U.K,, U.S.A., and Japan - with Perspective of Franklin's Social Constructionism -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3 no.5 = no.77, 2005년, pp.27 - 38  

유병선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부 주거환경) ,  홍형옥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부 주거환경)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have been many requests for development of senior housing in Korea. Therefore it was very important to review how senior houses are established and managed in other countries. In this point, this research compared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homes for the elderly in the U.K, U.S.A and Japa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노인공동생활주택은 나라마다 그들 사회가 속한 사회적 여건 속에서 보급되고 있으므로, 본 연구는 사회구성주의 관점에서 영국, 미국, 일본의 실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틀은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본 연구의 목적에 맞는 이론적인 개념 틀로서 주거관리의 맥락과 담론을 설명하고 있는 플랭클린(Franklin, 1998)의 사회구성주의적 접근(구조적 맥락, 제도적 맥락, 조직적 맥락, 작업적 맥락, 상호주관적 맥락)을 적용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플랭클린(FrankHn)의 사회구성주의적 관점을(social-constructionism) 중심으로(Franklin, 1998) 외국의 실태, 특히 영국, 미국, 일본에서 이제까지 진행된 노인공동생활 주택의 실태를 파악하여 이들 세 국가의 전체적인 현황을 분석한다. 또한 이들 세 국가의 분석을 토대로 하여 우리나라에 어떠한 시사점을 찾을 수 있는지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플랭클린(FrankHn)의 사회구성주의적 관점을(social-constructionism) 중심으로(Franklin, 1998) 외국의 실태, 특히 영국, 미국, 일본에서 이제까지 진행된 노인공동생활 주택의 실태를 파악하여 이들 세 국가의 전체적인 현황을 분석한다. 또한 이들 세 국가의 분석을 토대로 하여 우리나라에 어떠한 시사점을 찾을 수 있는지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는 앞으로 우리나라의 노인공동생활주택의 공급에 필요한 유용한 정보를 제시할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는 플랭클린의 사회구성주의 관점에 따라 노인공동생 활주택이 발달한 영국, 미국, 일본의 노인공동생활주택에 대한 실태 분석을 시작으로, 이들 세 국가의 노인공동생활주택의 공통된 특징과 차이점을 탐색하였다.

가설 설정

  • ① 집에 인접한 주차공간은 충분히 넓어야 한다(3300mm 너비) ② 주차공간으로부터 집까지의 거리는 최소한으로 해야 하며, 평평하거나 완만해야 한다. ③ 모든 접근로는 평평하거나 완만해야 한다. ④ 모든 출입구는 a)Part 1.
  • 둘째, 제도적 맥락에서 노인주택의 공급.건축.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3)

  1. 김만재(1999). 노인주택에서의 인지공간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영국의 주택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주택연구, 7(1), 95-113 

  2. 김수영(1997). 영국 노인보호주택에 관한 고찰. 사회복지연구, 7(1), 25-52 

  3. 김영주(2003). 노인보호시설주거 거주자들의 주거만족도에 관한 사례연구-미국 버지니아 주를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4(4), 139-148 

  4. 김용택(2001). 일본의 노인주택정책과 관련법. (사)한국노인문제연구소. 주요선진국의 노인주택정책, 149-210. 서울: (사)한국노인문제연구소 

  5. 박신영 . 김주진 . 최은희(1999). 노인주택 공급제도 개선 및 주공의 참여방안. 경기: 대한주택공사 주택연구소 

  6. 박재간(1997). 미국 노인의 주거시설의 현황과 과제. 박재간 편. 각국의 고령자주택정책, 23-64. 서울: (사) 한국노인문제연구소 

  7. 상형종(1996). 일본의 노인주택.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국제학술심포지엄 자료집, 33-47 

  8. 성규탁(1997). 영국의 고령자주택정책의 현황과 과제. 박재간 편. 각국의 고령자주택정책, 65-100. 사단법인한국노인문제연구소 

  9. 성명옥(1998). 일본 노인서비스 주거의 실태 분석-실버하우징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1(1), 253-276 

  10. 안상훈(2001). 스웨덴의 노인주택정책과 관련법. 한국노인문제연구소 편. 주요선진국의 노인주택정책. 서울:(사)한국노인문제연구소 

  11. 안소니 기든스 저, 황명주 . 정희대 . 권진현 역(1998). 사회구성론. 서울: 자작아카데미 

  12. 원영희(1999). 미국의 노인복지정책 방향. (사) 한국노인문제연구소 편. 21세기 노인복지정책 방향, 49-88. 서울: (사)한국노인문제연구소 

  13. 유병선(2005). 노인공동생활주택의 공급 및 관리모델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권 박사학위논문 

  14. 유병선 . 전경화 . 홍형옥(2004). 플랭클린의 사회구성주의적 관점에서 본 한국의 노인주택 맥락.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1), 103-114 

  15. 유병선 . 홍형옥(2000). 주거관리의 사회적 구축을 위한 연구의 접근방법과 쟁점. 주택연구, 8(1), 27-57 

  16. 유병선 . 홍형옥(2005). 노인공동생활주택에의 입주의사 결정요인 분석. 한국주거학회지, 16(2), 99-105 

  17. 유성호(2001). 우리나라와 미국의 노인복지법 비교 연구:우리나라 노인복지법 개정과 관련된 추진 과제에 대한 제안. 노인복지연구, 14, 141-163 

  18. 이상각(1997). 일본의 고령자주택정책의 현황과 과제. 박재간 편. 각국의 고령자주택정책, 225-276. 서울: (사)한국노인문제연구소 

  19. 이영환(2001a). 영국의 노인주택정책과 관련법. (사)한국노인문제연구소. 주요선진국의 노인주택정책, 6-54. 서울: (사)한국노인문제연구소 

  20. 이영환(2001b). 영국의 복지정책. 서울: 도서출판 나남 

  21. 초의수(1998). 노인주거 현실과 노인주택정책. 박광준 외 편. 주택보장과 주택정책, 129-158. 부산: 세종출판사 

  22. 최성재(2001). 미국의 노인주택정책과 관련법. (사)한국노인문제연구소 편. 주요선진국의 노인주택정책, 211-258. 서울: (사)한국노인문제연구소 

  23. 최성재(2002). 한국의 노인주거서비스 정책의 과거, 현재 및 미래. 고령화 사회의 주택과 서비스 개발 방향 국제심포지엄 자료집, 30-53 

  24. 통계청(2005). 2004 고령자통계. 서울:통계청 

  25. 정경희 . 오영희 . 석재은 . 도세록 . 김찬우 . 이윤경 . 김희경(1998). 2004년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한국보거사회연구원 . 보건복지부 

  26. 홍형옥(1999). 한국의 지역사회통합형 노인주거의 대안적 모색. 주택연구, 7(2), 75-91 

  27. 홍형옥(2001a). 노인공동생활주택에 대한 태도와 선호-한국에서의 노인생활지원주택 개발 방향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5), 147-166 

  28. 홍형옥(2001b). 영국의 노인공동생활주택에 대한 검토.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4), 49-68 

  29. 홍형옥(2002). 제3연령기의 공간환경연구를 위한 관점과 쟁점-사회구성주의적 접근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6), 37-12 

  30. 홍형옥 . 유병선(2003). 주거관리론. 서울: 교문사 

  31. 홍형옥 . 이경희 . 최정신 . 김대년 . 조재순 . 권오정(2004). 미래인력연구총서 36 가족연구 시리즈 7, 2020년: 노후의 공간환경을 전망한다. 노후에는 어디에서 살까. 서울: 지식마당 

  32. 황성철(1998). 서구 복지국가 노인주택정책의 특성과 동향. 주택 보장과 주택정책(161-186). 서울: 세종출판사 

  33. 內閣俯(2003). 2003 高齡者白書 

  34. 園田眞理子(1995). 世界の 高齡者住宅 

  35. 財團法人高齡者住宅材團(1998). 高齡社會の住まいと福祉デ-タブック, 風土社 

  36. Age Concern(1998). Older people in the United Kingdom: Some basic facts. Age Concern England 

  37. Age Concern(2004a). Factsheet 2: Buying retirement housing 

  38. Age Concern(2004b). Factsheet 8: Looking for rented housing 

  39. Age Concern(2004c). Factsheet 9: Noise and neighbour nuisance - What you can do 

  40. Age Concern(2004d). Factsheet 50: Housing options 

  41. Allen, M.(2004). We are where we live: Seniors, housing choice, and the fair housing act. Journal of the Section of Individual Rights & Responsibilities, 31(2), 15-19 

  42. American Association of Retired Persons(1993). Understanding senior housing: For the 1990's. Washington, DC AARP 

  43. American Association of Retired Persons(1993). Understanding senior housing: Into the next century. Washington, DC: AARP 

  44. Balchin, P.(1995). Housing policy. London: Routledge 

  45. Butler, A.(1986). Housing and elderly in Europe. Social Policy and administration, 20(2), 136-152 

  46. Clapham, D. & Munro, M.(1988). A comparision of sheltered housing and amenity housing for older people. Edinburgh: Scottish Office 

  47. Crimmins, E.(1990). Interaction and living arrangement of older parents and their children. Research on Aging, 2(1), 3-25 

  48. England, et. al., (2000) 

  49. Field, E. M., Walker, M. H. & Orrell, M. W.(2002). Social networks and health of older people living in sheltered housing. Aging & Mental Health, 6(4), 372-386 

  50. Frank, J. B.(2002). The paradox d aging in place in assisted living. westport, Connecticut . London: Bergin & Garvey 

  51. Franklin, B. J.(1998), Constructing a service: context and discourse in housing management, Housing Studies, 13(2), 201-216 

  52. Gordon, P. A.(2001). Seniors' housing and care facilities: Development, business, and operations(3rd ed). Washington DC: Urban Land Institute 

  53. Huttman(1985). Services for the elderly. New York: The Free Press 

  54. Oldman, C.(2000). Blurring the boundaries: A fresh look at housing and care provision for older people. Brighton: Pavillion Publishing 

  55. Regnier, V. A.(1994). Assisted living housing for the elderly: Design innovations from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56. Reynolds, S. G. & Beamish, J. O.(2003). Residential satisfaction of older adults in age-segregated facilities, Housing and Society, 30(1), 33-50 

  57. Schless, D. S. & Preeds, K.(2001). Seniors housing: 2001 review. Units, 25, 33-35 

  58. State of California, health and human services agency department of social services(1998). Residential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elderly: Manual of policies and procedures community care licensing division 

  59. Tinker, A.(1989). An Evaluation of very sheltered housing. Lodon: HMSO 

  60. Tinker, A.(1997). Older people in modern society(4th ed). London: Longman 

  61. Victor, C. R.(1987). Old age in modern society. Lodon: Croom Helm 

  62. Williams, G.(1986). Meeting the housing needs of the elderly: private initiative or public responsibility? Department of Town & Country Planning Occasional Paper No. 17. Manchester: University of Manchester 

  63. Zeisel, J.(2002). The story of housing old people in north America. International Symposium, May 7, 2002 'Direction of Housing & Service Development in Aging Society', 54-59 

  64. http://www.anchorhousing.org.uk 

  65. http://www.census.gov 

  66. http://www.helpguide.org 

  67. http://www.hud.gov 

  68. http://www.jrf.org.uk 

  69. http://www.kobe-wa.or.jp 

  70. http://www.mhlw.go.jp 

  71. http://www.mlit.go.jp 

  72. http://www.seniorhousing.org 

  73. http://www.shn.org.uk 

  74. http://www.tjaaa.org 

  75. http://www.waverly.gov.uk 

  76. http://www2.stockholm.se 

  77. http://www8.cao.go.jp 

  78. http://www,koujuuzai.or.jp 

  79. http://www.hhs.gov 

  80. http://www.state.me.us 

  81. http;//www4.law.cornell.edu 

  82. http://www.aarp.org 

  83. http://www. aahsa.or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