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케일녹즙 분말식이가 흰쥐의 혈중 지질, 엽산 및 호모시스테인 수준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Kale Juice Powder on Serum Lipids, Folate and Plasma Homocysteine Levels in Growing Ra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4 no.8, 2005년, pp.1175 - 1181  

정은정 (강남대학교 교양학부) ,  김수연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과학연구소) ,  남영주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과학연구소) ,  박정화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과학연구소) ,  황혜진 (동의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양자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녹즙분말과 콜레스테롤 첨가식이로 8주간 사육한 흰쥐의 혈중 지질, 호모시스테인 및 엽산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흰쥐의 혈중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녹즙이나 콜레스테롤 보충에 의해 유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중성지질 농도는 녹즙군에서 낮았다(p<0.001). HDL-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의 경우, 식이 콜레스테롤의 영향을 받아, HDL-콜레스테롤은 콜레스테롤군보다 무콜레스테롤군에서 높았으며 (p<0.001), LDL-콜레스테롤은 콜레스테롤군에서 높았다(p<0.05). HDL-콜레스테롤 수준은 녹즙군에서 높았으며 (p<0.05), LDL-콜레스테롤 농도는 콜레스테롤과 케일의 상호효과가 나타나 무콜레스테롤군에서 만 녹즙에 의한 감소효과를 보였다 HDL/LDL비율은 콜레스테롤 보충군에서 낮았으며 (p<0.05), 녹즙보충군에서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혈청 엽산, 비타민 $B_{12}$ 및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는 녹즙분말이나 콜레스테롤 보충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혈중 엽산과 비타민 $B_{12}$ 농도사이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성 (r=0.5632, p<0.001)이 관찰되었으나,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는 혈중 엽산, 비타민 $B_{12}$ 및 콜레스테롤 농도 사이에는 모두 유의한 상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엽산이 충분히 공급되는 경우, 녹즙보충시 나타나게 되는 심혈관계질환 예방효과는, HDL 농도의 증가 및 중성지방 농도의 감소에 의한 것이며, 녹즙내 엽산보충에 의한 호모시스테인 농도 변화와는 관련이 적은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een vegetable (kale) juice powder supple-mentation on lipid profiles, plasma homocysteine, folate and vitamin $B_{12}$ in rats fed cholesterol (Chol. ) or Chol. free diet. 7-week old male Sprague Dawley rats (n=40) were divid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흰쥐에게 콜레스테롤과 케일 녹즙 분말을 공급한 후 혈중 지질패턴과 엽산 및 호모시스테인 농도를 측정하여, 케일녹즙 보충이 심혈관계질환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였다.
  • 먹도록 하였다. 사육기간 동안의 평균 식이 섭취량과 체중 증가량을 계산하여 각 실험군들의 식이 효율(food efficiency ratio, FER)을 계산하였다. 사육실의 온도는 22℃, 습도 18%, 조명주기는 12시간으로 조절하였다.
  • , Louis, Mo, USA)과 20% sulfosalicylic acid를 첨 가한 후, 4℃에서 3, 300 rpm으로 15분간 원심 분리 하였다. 상층액 100 UL을 아미노산 분석 기 (Bio 20 autoloader amino acidanalyzer, Phamacia Biotech, Cambridge, England) 에 주입하여 호모시스테인을 분석하였다(21). 이때 완충액과 닌히드린 용액의 유속은 각각 20uL/hr와 25uL/hr이었으며, 호모시 스테 인의 표준물질로는 D, L-homocysteine(Sigma Chemical Co.
  • 생후 7주령의 Sprague Dawley 수컷 흰쥐를 기본사료로 예비 사육하여 환경 에 적 응시 킨 후, 체중에 따라 난괴 법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에 의해 10마리씩 4군으로 분류하여 각기 대조식이 (control diet, CO), 고콜레스테롤 식이 (CO + cholesterol (CO, 케 일 (kale: Brassica oleracea acephala- KO) 및 고콜레스테롤-케 일(KO + cholesterol: KC) 의실험식이로 8주간 사육하였다.
  • 식이 섭취량은 매일 일정한 시각에 측정하였고, 체중은 1주일에 1회 같은 시각에 측정하였으며, 식이와 물은 자유롭게 먹도록 하였다. 사육기간 동안의 평균 식이 섭취량과 체중 증가량을 계산하여 각 실험군들의 식이 효율(food efficiency ratio, FER)을 계산하였다.
  • 실험동물은 8주간의 실험기간이 종료된 후, 12시간 절식시키고 diethyl ether로 마취시켜 복부 대동맥에서 혈액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혈액의 일부는 .
  • 녹즙은 선별한 원재료를 세척, 침지, 분쇄, 착즙과정을 거쳐 제조되었는 더】, 이 녹즙은 착즙기 자체에서 100 mesh로 일차 여과하고 다시 60 mesh로 여과시 켰다[(주) 풀무원]. 제조과정에서 상당량의 불용성 식이섬유소가 제거된 케 일 녹즙을 동결 건조시켜 분말형태로 만들었으며, 녹즙에서 얻은 건조 분말의 수율은 약 5%였다. 제조된 녹즙분말은 식이 무게의 5%(당질 대치)(12, 18)를 첨가하였으며, 콜레스테롤군의 경우 식이 무게의 0.
  • 제조과정에서 상당량의 불용성 식이섬유소가 제거된 케 일 녹즙을 동결 건조시켜 분말형태로 만들었으며, 녹즙에서 얻은 건조 분말의 수율은 약 5%였다. 제조된 녹즙분말은 식이 무게의 5%(당질 대치)(12, 18)를 첨가하였으며, 콜레스테롤군의 경우 식이 무게의 0.5% 수준(19)으로 첨가하여 실험식이를 제조하였다. 케 일 녹즙의 영 양성 분 자료는 Table 2에 제 시 하였다.

대상 데이터

  • 상층액 100 UL을 아미노산 분석 기 (Bio 20 autoloader amino acidanalyzer, Phamacia Biotech, Cambridge, England) 에 주입하여 호모시스테인을 분석하였다(21). 이때 완충액과 닌히드린 용액의 유속은 각각 20uL/hr와 25uL/hr이었으며, 호모시 스테 인의 표준물질로는 D, L-homocysteine(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을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These values were parts of our previous study (14) and analyzed by 2-way ANOVA test.
  • 1'These values were parts of our previous study (14) and analyzed by 2-way ANOVA test.
  • 모든 수치의 통계분석은 SAS(STAT Version 6,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를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모든 분석결과는 mean 士 SEM으로 표시하였다. 식이 콜레스테롤과 케일녹즙 분말 보충이 혈중 지질, 호모시스테인 및 엽산 농도에 미치는 효과는 two-way ANOVA에 의해 유의수준 a <0.
  • 001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분석요인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은 Pearson correlation test로 수행하였다.
  • , Cary, NC, USA)를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모든 분석결과는 mean 士 SEM으로 표시하였다. 식이 콜레스테롤과 케일녹즙 분말 보충이 혈중 지질, 호모시스테인 및 엽산 농도에 미치는 효과는 two-way ANOVA에 의해 유의수준 a <0.05, a <0.01 및 « <0.001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분석요인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은 Pearson correlation test로 수행하였다.

이론/모형

  • 혈청의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중성지방(triglyceride: TG) 및 HDL-cholester이은 enzymatic colorimetry method를 이용한 kit로((주)영연화학, 일본) 분석하였고, LDL + VLDL-cholesterole Friedwald의 계산식(20)에 의해 산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2.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2. Lee YC. 1991. Hypercholesterolemia in Korea and nutritional factors. J Kor Lip 1: 111-122 

  3. Djousse L, Arnett DK, Coon H, Province MA, Moore LL, Ellison RC. 2004.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nd LDL cholesterol: the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Family Heart Study. Am J Clin Nutr 79: 213-217 

  4. Hertog MGL, Feskens EJM, Hollman PCH, Katan MB, Kromhout D. 1993. Dietary antioxidant flavonoids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The Zutphen Elderly Study. Lancet 342: 1007-1011 

  5. Singh RB, Rastogi V, Rastogi SS, Niaz MA, Beegom R. 1996. Effect of diet and moderate exercise on central obesity and associated disturbances, myocardial infarction and mortality in patients with and without coronary artery disease. J Am Coll Nutr 15: 592-601 

  6. Broekmans WM, Klopping-Ketelaars lA, Schuurman CR, Verhagen H, van den Berg H, Kok FJ, van Poppel G. 2000. Fruits and vegetables increase plasma carotenoids and vitamins and decrease homocysteine in humans. J Nutr 130: 1578-1583 

  7. Brouwer lA, Van Dusseldorp M, West CE, Meyboom S, Thomas CMG, Duran M, Van het Hof KH, Eskes TKAB, Hautvast JGAJ, Steegers-Theunissen RPM. 1999. Dietary folate from vegetables and citrus fruit decreases plasma homocysteine concentrations in humans in a dietary controlled trial. J Nutr 129: 1135-1139 

  8. John JH, Ziebland S, Yudkin P, Roe LS, Neil HAW. 2002. Effects of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on plasma antioxidant concentrations and blood pressur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Lancet 359: 1969-1974 

  9. Ueland PM, Refsum H. 1989. Plasma homocysteine, a risk factor for vascular disease: Plasma levels in health, disease and drug therapy. J Lab Clin Med 114: 473-501 

  10. Stabler SP, Marcell PD, Podell ER, Allen RH, Savage DG, Lindenbaum J. 1988. Elevation of total homocysteine in the serum of patients with cobalamin or folate deficiency detected by capillar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J Clin Invest 81: 466-474 

  11. Ubbink JB, Vermaak WJ, Merwe AVD, Becker PJ 1993. Vitamin $B_{12}$ , vitamin $B_6$ , and folate nutritional status in men with hyperhomocysteinemia. Am J Clin Nutr 57: 47-53 

  12. Park JR, Park SK, Cho YS, Chun SS, Choi SH, Park JC 1997. Effects of Angelica keiskei on lipid metabolism in rats. J Kor Soc Food Sci Nutr 26: 308-313 

  13. Kwon SM, Yoon S, Kim SY, Park KS, Yeoh IH, Lee-Kim YC. 2000. Study on lipid lowering effect of green vegetable juice. An Meeting, Symposium of Korean Nutrition Society, Oct. Abst, p 84 

  14. Park JH, Kim SY, Chung EJ, Yoon S, Lee-Kim YC. 2005. Effects of freez-dried green vegetable extracts on lipids and antioxidants status in the rats. Korean J Nutr 38: 1-9 

  15. Chung SY, Kim HW, Yoon S. 1999. Analysis of antioxidant nutrients in green yellow vegetable ju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880-886 

  16. Forman MR, Shang J, Gunter E, Yao SX, Gross M, Qiao YL, Graubard BI, Tayor PR, Keith S, Maher M. 1999. Season specific correlation between dietary intake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levels of serum biomarkers among Chinese tin miners at high risk for lung cancer. Ann N Y Acad Sci 889: 230-239 

  17. Park KY, Lee KI, Rhee SH. 1992. Inhibitory effects of green yellow vegetables on the mutagenicity in Salmonella assay system and on the growth of AZ-521 human gastric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Nutr 21: 149-153 

  18. Kim JH, Kim MK. 1999. Effects of dried leaf powders and ethanol extracts of Perilla futescens, Artemisia pinceps var. orientalis and Aster scaber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tive capacity in rats. Korean J Nutr 32: 540-551 

  19. Lu SC, Lin MH, Huang PC. 1996. A high cholesterol,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 diet induces hypercholesterolemia more than a high cholesterol (n-6) polyunsaturated fatty acid diet in hamsters. J Nutr 126: 1759-1765 

  20. Friedwald WT, Levy RI, Fredricson DS. 1972. Estimation of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Chem 18: 499-502 

  21. Andersson A, Battstrom L, Lsaksson B, Hultberg B. 1989. Determination of homocysteine in plasma by ion-exchange chromatography. Scand J Clin Lab Invest 49: 445-449 

  22. Chung EJ, Kim SY, Kim JY, Ahn JY, Park JH, Cha MH, Lee YC. 2003. Effects of soy protein concentrate and age on plasma lipids and phospholipid fatty acid patterns in female rats. J Kor Soc Food Sci Nutr 32: 269-277 

  23. Nicolle C, Cardinault N, Gueux E, Jaffrelo L, Rock E, Mazur A, Amouroux P, Remesy C. 2004. Health effect of vegetable-based diet: lettuce consumption improves cholesterol metabolism and antioxidant status in the rat. Clin Nutr 23: 605-614 

  24. Kim OK, Kung S, Park WB, Lee MW, Han SS. 1992. The nutritional components of Angelica keiskei Koidz.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592-596 

  25. Plotnick GD, Corretti MC, Vogel RA, Hesslink R Jr, Wise JA. 2003. Effect of supplemental phytonutrients on impairment of the flow-mediated brachial artery vasoactivity after a single high-fat meal. J Am Call Cardiol 41: 1744-1749 

  26.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0.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7th revision 

  27. Sasaki K, Duan J, Murohara T, Ikeda H, Shintani S, Shimada T, Akita T, Egami K, Irnaizumi T. 2003. Rescue of hypercholesterolemia-related impairment of angiogenesis by oral folate supplementation. J Am Coll Cardiol 42: 364-372 

  28. Zulli A, Buxton B, Doolan L, Liu JJ. 1998. Effect of homocysteine and cholesterol in raising plasma homocysteine,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Life Science 62: 2191-2194 

  29. Tsai JC, Perrella MA, Yoshizumi M, Hsieh CM, Haber E, Schlegel R, Lee ME. 1994. Promotion of vascular smooth muscle cell growth by homocysteine: a link to atherosclerosis. Proc Natl Acad Sci USA 91: 6369-6373 

  30. Panganamala RV, Karpen CW, Merola AJ. 1986. Peroxide mediated effects of homocysteine on arterial prostacyclin synthesis. Prosta Leukot Med 22: 349-356 

  31. Cattaneo M. 1999. Hyperhomocysteinemia, atherosclerosis and thrombosis. Thromb Haemost 81: 165-176 

  32. Vanizor Kural B, Orem A, Cimsit G, Uydu HA, Yandi YE, Alver A. 2003. Plasma homocysteine and its relationships with atherothrombotic markers in psoriatic patients. Clin Chim Acta 332: 23-30 

  33. Jutta D, Manfred K, Klaus P. 1998. Folic acid and vitamin $B_6$ supplementation and plasma homocysteine concentrations in healthy young women. Int J Vit Nutr Res 68: 98-103 

  34. Ahn HS, Jeong EY, Kim SY. 2002. Studies on plasma homocysteine concentration and nutritional status of vitamin $B_6$ , $B_{12}$ and folate in college women. Korean J Nutr 35: 37-44 

  35. Perry IJ, Refsum H, Morris RW, Ebrahim SB, Ueland PM, Shaper AG. 1995. Prospective study of serum total homocysteine concentration and risk of stroke in middle-aged British men. Lancet 346: 1395-1398 

  36. Tawakol A, Omland T, Gerhard M, Wu JT, Creager MA. 1997. Hyperhomocyst(e)inemia is associated with impaired endothelium-dependent vasodilation in humans. Circulation 95: 1119-1121 

  37. Bazzano LA, Serdula MK, Liu S. 2003. Dietary intake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Curr Atheroscler Rep 5: 492-4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