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기농 및 일반농 케일 착즙액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Effects of Common and Organic Kale Juic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5, 2014년, pp.668 - 674  

김종대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이옥환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이종석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박건영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채소즙이란 생채소를 마쇄하여 인체가 영양소를 흡수하기 쉬운 상태로 제조된 즙으로 생채소의 영양 섭취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식품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배방법에 따라 생산된 유기농 및 일반농 케일을 착즙하여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DPPH radical, NO, $O_2{^-}$, ${\cdot}OH$ 라디칼 소거능에서 유기농 케일 착즙액은 일반농케일 착즙액보다 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LLC-PK1 세포를 이용하여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효과에서 유기농 케일 착즙액은 일반농 케일 착즙액에서보다 NO, $O_2{^-}$$ONOO^-$에 의해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 생존율을 증가시키고, 지질과산화물을 억제시켜 유리라디칼에 대한 보호효과를 유의적으로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로 보아 유기농케일 착즙액은 일반농 케일 착즙액보다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개선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사료되며 재배방법의 차이에 따라 그 효과도 차이가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and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conventionally and organically cultivated kale juices against oxidative damage in $LLC-PK_1$ cells. The DPPH, NO, $O_2{^-}$, and ${\cdot}OH$ radical scaveng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채소즙이란 생채소를 마쇄하여 인체가 영양소를 흡수하기 쉬운 상태로 제조된 즙으로 생채소의 영양 섭취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식품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배방법에 따라 생산된 유기농 및 일반농 케일을 착즙하여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DPPH radical, NO, O2-, ・OH 라디칼 소거능에서 유기농 케일 착즙액은 일반농 케일 착즙액보다 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 본 연구에서는 케일 착즙액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고자 재배방법을 달리한 유기농 및 일반농 케일 착즙액의 유리라디칼 소거효과를 평가하였고, LLC-PK1 신장상피세포를 이용한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효과를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케일이란 무엇인가? 그중 케일(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은 암 예방효과가 좋다고 알려진 십자화과(Brassica) 채소로써 수천 년 동안 유럽과 아메리카의 온화한 기후의 나라에서 재배되어 왔다(13). 여러 연구 결과에 따르면 케일에는 페놀성 화합물, 플라보노이드, 클로로필, 섬유소, 비타민 C, β-carotene, benzyl isothiocyanate와 phenylethyl isothiocyanate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암 예방, 항암 및 항돌연변이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14,15).
유기농 및 일반농 케일을 착즙하여 DPPH radical, NO, O2-, ・OH 라디칼 소거능을 비교한 결과, 더 우수한 효과를 보이는 것은? 본 연구에서는 재배방법에 따라 생산된 유기농 및 일반농 케일을 착즙하여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DPPH radical, NO, O2-, ・OH 라디칼 소거능에서 유기농 케일 착즙액은 일반농 케일 착즙액보다 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LLC-PK1세포를 이용하여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효과에서 유기농 케일 착즙액은 일반농 케일 착즙액에서보다 NO, O2-와 ONOO-에 의해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 생존율을 증가시키고, 지질과산화물을 억제시켜 유리라디칼에 대한 보호 효과를 유의적으로 나타내었다.
케일에 함유된 성분은 무엇인가? Acephala)은 암 예방효과가 좋다고 알려진 십자화과(Brassica) 채소로써 수천 년 동안 유럽과 아메리카의 온화한 기후의 나라에서 재배되어 왔다(13). 여러 연구 결과에 따르면 케일에는 페놀성 화합물, 플라보노이드, 클로로필, 섬유소, 비타민 C, β-carotene, benzyl isothiocyanate와 phenylethyl isothiocyanate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암 예방, 항암 및 항돌연변이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14,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Fridovich I. 1989. Superoxide dismutases. An adaptation to a paramagnetic gas. J Biol Chem 264: 7761-7764. 

  2. Lee OH, Lee BY, Lee J, Lee HB, Son JY, Park CS, Shetty K, Kim YC. 2009. Assessment of phenolics-enriched extract and fractions of olive leave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Bioresour Technol 100: 6107-6113. 

  3. Shulz H. 1994. Regulation of fatty acid oxidation in heart. J Nutr 124: 165-171. 

  4. Halliwell B, Murcia MA, Chirico S, Aruoma OI. 1995.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food and in vivo: what they do and how they work. Crit Rev Food Sci Nutr 35: 7-20. 

  5. Chung SY, Kim SH, Kim HS, Kang JS, Chung HS, Kim GJ, Kim HJ. 1990. Effects of water soluble extract of Ganoderma lucidum, kale juice and sodium dextrothyroxine on hormone and lipid metabolism in hypercholesterolemic rats: 1. concentration of triiodthyronine, thyroxine, blood sugar and lipid composition in serum. J Korean Soc Food Nutr 19: 381-389. 

  6. Byers T, Perry G. 1992. Dietary carotenes, vitamin C, and vitamin E as protective antioxidants in human cancers. Annu Rev Nutr 12: 139-159. 

  7. Caragay AB. 1992. Cancer preventive foods and ingredients. Food Tech 46: 65-68. 

  8. Stahelin HB, Gey KF, Eichholzer M, Ludin E. 1991. ${\beta}$ -Carotene and cancer prevention: the Basel Study. Am J Clin Nutr 53: 265S-269S. 

  9. Mertens B, Knorr D. 1992. Developments of nonthermal processes for food preservation. Food Technol 46: 124-133. 

  10. Lee DU, Park J, Kang J, Yeo IH. 1996. Effect of high hydrostatic pressure on the shelf-lif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Angelica keiskei ju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05-108. 

  11. Chung SY, Kim HW, Yoon S. 1999. Analysis of antioxidant nutrients in green yellow vegetable ju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880-886. 

  12. Yang HS. 1993. The effect of green juice. Food Hyg 6: 62-67. 

  13. Swarup V, Ahluwalia KS, Roy SK, Chatterjee SS. 1979. Kale-a nutritionally rich vegetable. Indian Horticulture 24: 9-10. 

  14. Park KY, Lee K, Rhee SH. 1992. Inhibitory effect of green-yellow vegetables on the mutagenicity in Salmonella assay system and on the growth of AZ-521 human gastric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Nutr 21: 149-153. 

  15. Lee SM, Rhee SH, Park KY. 1993. Antimutagenic effect of soluble dietary fibers from kale and soybean. Environ Mutagen Carcino 13: 26-35. 

  16. Jeon EJ, Kim JS, Park YK, Kim TS, Kang MH. 2003. Protective effect of yellow-green vegetables juices on DNA damage in Chinese hamster lung cell using comet assay. Korean J Nutr 36: 24-31. 

  17. Okuyama T, Takata M, Takayasu J, Hasegawa T, Tokuda H, Nishino A, Nishino H, Iwashima A. 1991. Anti-tumor-promotion by principles obtained from Angelica keiskei. Planta Med 57: 242-246. 

  18. Park YS, Lim DG, Heo BG. 2009. Changes in the fruit quality of organic and low-level agrochemical-grown kiwi-fruit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6: 327-332. 

  19. Koleva II, van Beek TA, Linssen JP, de Groot A, Evstatieva LN. 2002. Screening of plan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y: a comparative study on three testing methods. Phytochem Anal 13: 8-17. 

  20. Rockett K, Awburn MM, Cowden WB, Clark IA. 1991. Killing of Plasmodium falciparum in vitro by nitric oxide derivatives. Infect Immun 59: 3280-3283. 

  21. Niwa Y, Miyachi Y. 1986. Antioxidant action of natural health products and Chinese herbs. Inflammation 10: 79-91. 

  22. Smirnoff N, Cumbes QJ. 1989.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ompatible solutes. Phytochemistry 28: 1057-1060. 

  23. Nath KA. 1992. Tubulointerstitial changes as a major determinant in the progression of renal damage. Am J Kidney Dis 20: 1-17. 

  24. Mosmann T. 1983.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 Immunol Methods 65: 55-63. 

  25. Fraga CG, Leibovitz BE, Tappel AL. 1988. Lipid peroxidation measured as thiobarbituric acid-reactive substances in tissue slices: characterization and comparison with homogenates and microsomes. Free Radic Biol Med 4: 155-161. 

  26. Kim HY, Lee KB, Lim HY. 2004. Contents of minerals and vitamins in organic vegetables. Korean J Food Preserv 11: 424-4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