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주지역 학교급식 조리종사자의 위생지식 및 위생관리 수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Sanitary Knowledge and Practice Level of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in Jeonju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4 no.8, 2005년, pp.1210 - 1218  

한은희 (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인간생활과학연구소) ,  양향숙 (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인간생활과학연구소) ,  손희숙 (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인간생활과학연구소) ,  노정옥 (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인간생활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주시 학교급식 조리종사자에 대한 위생교육 현황 및 실태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전주시 초$\cdot$$\cdot$고 급식학교 88개교의 조리종사자 508명을 대상으로 2002년 11월 13일부터 11월 28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0.0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리종사자의 연령층은 41세 $\∼$50세가 62.2$\%$로 많았고, 84.4$\%$가 임시직으로 근무하고 있었으며 학교급식 경력은 10년 미만이 33.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이 52.4$\%$로 가장 높았고 54.1$\%$가 조리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었다. 위생교육 경험은 84.0$\%$가 월1회 이상 교육을 받고 있었으며 82.8$\%$가 교육받은 내용을 작업 시 적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리종사자의 위생지식평가 결과는 개인위생관리영역에서 정답율(91.1$\%$)이 가장 높았으나 생산단계별영역은 75.3%으로 가장 낮았다 조리종사자의 인적특성이 위생지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연령과 학력은 위생지식 전체영역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p<0.01),특히 생산단계별 위생영역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경력은 기기설비위생영역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고(p<0.05), 5년 미만의 그룹이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또한 자격증 소지여부도 위생지식 전체영역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었으며(p<0.05), 생산단계별위생영역에서 자격증을 소지한 집단이 유의적으로(p<0.01)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조리종사자 위생관리수행수준 평가결과 기기설비위생(4.90/5점 ), 식중독 및 미생물(4.86/5점), 개인위생(4.79/5점), 생산단계별위생(4.70/5점) 순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조리종사자의 인적특성이 위생관리 수행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고용상태는 개인위생(p<0.05)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으며 경력은 기기설비위생(p<0.05)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학력은 위생관리 수행수준의 생산단계별위생(p<0.05), 기기설비위생(p<0.01)등 위생관리 수행수준 전체영역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위생교육 횟수는 위생관리 수행수준의 생산단계별위생(P<0.01), 식중독 및 미생물(P<0.05) 및 위생관리 수행수준 전체영역(p<0.01)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근무학교별로 조리종사자의 위생지식과 위생관리 수행수준을 조사한 결과, 위생지식에 있어서는 중학교에 근무하는 조리 종사자가 개인위생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고(p<0.01), 생산단계별위생에서는 초등학교 조리종사자가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p<0.01). 위생관리수행수준에 있어서는 개인위생(p<0.01)과 기기설비위생(p<0.01)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초등학교 조리종사자의 기기설비위생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조리종사자의 위생지식 점수와 위생관리 수행수준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위생지식의 기기설비위생은 위생관리 수행수준의 합계(p<0.01)에서 유의적인 상관관계(p<0.01)를 나타내었으며, 위생지식의 식중독 및 미생물은 위생관리 수행수준의 개인위생(p<0.01)과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생지식의 점수합계는 개인위생(p<0.05)과 식중독 및 미생물(p<0.05)과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리종사자의 위생지식이 위생관리 수행수준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anitary knowledge and its practice level of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in Jeonju area. A total of 508 questionnaires were usable; resulting in 79.0$\%$ response rate. Statistics data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the SPSS 10.0 program. The results of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중. 고등학교 급식소의 조리 종사자의 위생지식수준을 평가하고 위생관리 실태 및 수행 정도를 파악하여 조리종사자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위생교육의 실시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전주시 학교급식 조리종사자에 대한 위생교육 현황 및 실태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전주시 초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Lyu ES, Jeong DK. 1999. The sanitary management procedures of foodservice in elementary schools in Pus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398-1404 

  2. Hong WS. 2004. The evaluation of foodservice employees' sanitary performance in secondary foodservice operations. J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7: 7-28 

  3. Jang MR, Kim JY. 2005. Comparison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to school lunch service according of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Gangwon province. J Korean Diet Assoc 11: 95-104 

  4. Kwak TK, Hong WS, Moon HK, Ryu K, Chang HJ, 2001. Assessment of sanitary management practices of. school foodservice operation in Seoul. J Fd Hy Safety 16: 168-177 

  5. Kim YS. 2003. The importance of hygiene condition and HACCP system application at school foodservice. Food Science and Industry 36: 92-98 

  6. Kim JG. 2004. Studies on the food hygiene & safety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of kitchen employees in school food-service program-part-1. Kor J Env Hlth 30: 173-183 

  7. Park HS, Shin HG. 1999. Food safety management in a contract foodservice industry. Food Industry and Nutr 4: 27-29 

  8. Kim JG. 2004. Studies on the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 of mothers toward food hygiene and safety school foodservice programs-Part 1. J Fd Hyg Sqfety 19: 38-48 

  9. Lee YJ. 2003. A comparative study on sanitary practices and perception of employees in elementary school, hospital and industry foodservice in the Inchon area. J Korean Diet Assoc 9: 22-31 

  10. Eo GH, Ryu K, Park SJ, Kwak TK. 2001. Need assessments of HACCP-based sanitation training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based on sanitation knowledge test of employees. J Korean Diet Assoc 7: 56-64 

  11. Moon HK, Jean JY, Lyu ES. 2004. Assessment of hygiene knowledge and recognition on job performance levels for HACCP implementation for dieticians and employees at contract foodservices. J Korean Diet Assoc 10: 261-271 

  12. Albrecht JA, Summer SS, Hemmemen A. 1992. Food safety in child care facilities. Dairy Food & Environ Sanit 12: 740 

  13. Lee JS. 1988. Development of the computer-assisted HACCP system program and HACCP-based sanitation evaluation tools for institutional foodservice operations. Master Thesis. Yonsei University 

  14. Bryan FL. 1991. Teaching HACCP techniques to food processors and regulatory officials. Dairy Food & Environ Sanit 11: 562-568 

  15. Au KH. 2000. Assessment of sanitary concepts of employees and needs of HACCP-based sanitation training ,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Master thesis. Yonsei University 

  16. Kim SY. 2000. The evaluation of foodservice employees's sanitary performance in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Master thesis. Dongduk University 

  17. Cho YR. 2000. Food sanitary practices and perceptions of employees in some foodservices. Master thesis. Chungang University 

  18. 강영재. 2000. 단체급식에서의 HACCP제도 적용 및 실제. 영양사 위생자료집. p 7-25 

  19. Lyu ES. 1999. Food sanitary procedures of employees in business & industry foodservice operations of Pusan and Kyung Nam.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942-647 

  20. Park JS. 1999. A study on the consequence and practice level of foodservice management for business industry foodservice. Master thesis. Dongduk University 

  21. Choi JH. 2001. An education and training case study for the implementation of HACCP system for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Master thesis. Y onsei University 

  22. 문정원, 김소희 , 강현주, 김일. 2000. 단체급식의 발전과정 새시대 단체급식. 효일출판사, 서울. p 13-17 

  23. 곽동경. 1999. 학교급식을 위한 HACCP 시스템 개발 및 교육 실행효과평가. 특수보건과 자료실. 교육인적자원부. p 61-63 

  24. Kim YS, Jeon YS, Han JS. 2001. Disinfection state and effective factors of utensils & equipments used to foodservice of elementary schools in Bus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969-977 

  25. Lee HO, Shin JY, Kim YK, Cho MH, Choi HS, Orm AS. 2001. Assessment on HACCP recognition & sanitary management of the industry foodservice manager in Seoul. Korea J Soc Food Cookery Sci 17: 542-548 

  26. 류경. 2002. HACCP적용을 위한 조리종사원 위생교육 매체개발 및 활용방안. 영양사보수교육자료집. p 92-1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