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Learning program about medication for nurses to enhance nurses' medication performance ability and to analyze learners' responses after studying with this program. Method: For the development of the e-Learning program, the NBISD(Network Based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임상간호사들도 약리학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데도 불구하고 제공되는 교육의 기회가 적어 웹을 이용한 교육 요구도 조사에서 투약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Lim, 2001). 그러나 국외에서는 투약관련 e-Leaming 프로그램 이 상품화되어 있고 이를 이용하여 교육한 후 그 효과를 분석한 연구도 있으나(Jeffries, 2001; Moore, Waechter & Aronow, 1994) 국내에서는 아직 없는 바, 이에 본 연구를 통해 신입간호사를 대상으로 투약 간호에 필수적인 내용을 포함하는 현장감 있고 실제적인 임상사례 중심의 e-Leaming 과정을 개발하고자한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신입간호사 외에도 간호학생, 재직간호사들에게도 널리 활용되어 투약에 대한 지식, 문제해결 능력, 의사결정능력을 증대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는 교수 체제 설계(ISD: Instructional Systems Design) 모형을 e-Leaming 프로그램에 적용해 Jung(1999)이 개발한 NBISD(Network Based ISD) 모델을 근간으로 하여 신입간호 사 대상의 투약 간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연구이다.
  • 투약은 간호업무 중 큰 비중과 중요도를 차지하고 있으면서도 신입간호사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업무 중 하나이고, 교육의 기회가 적어 웹을 이용한 교육을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Lim, 2001) 본 연구에서는 실무 중심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보다 현장 간호사들의 요구에 부합하고, 교육효과가 높은 과정으로 개발하고자 e-Leaming개 발에서 효과적으로 제시되고 있는 NBISD 모델과 Gagne의 9가지 교수사태이론과 Keller의 ARCS 이론을 적극 활용하고자 했다.
  • 본 연구에서는 투약 간호에 대한 내용을 e-Leaming 프로그램으로 개발하고 이를 신입간호사 34명을 대상으로 적용 후 학습자의 반응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신입간호사의 투약 간호 수행능력을 높이기 위해 투약 간호 e-Leaming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는 일련의 연구 중 첫 번째 단계로서 Jung의 NBISD(Network-based Instructional Systems Design) 모델을 근간으로 Gagne와 Briggs(1979)의 교수설계 이론과 Keller(1983) 의 학습동기 설계이론인 ARCS 모델을 적용하여 e-Leaming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End는 학습한 내용을 퀴즈와 요약본을 통해 정리하였다. 성인 학습자를 고려하여 Keller의 ARCS 모델에서의 다양한 동기유발 전략, 상호작용 유도, 학습 흥미 및 편의성을 고려한 화면 설계 등을 반영하여 온라인 학습의 효과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 개발과정 중 요구분석에서는 기존 교육에서 다뤄지던 투약기술이나 절차에 대한 내용 외에도 임상상황과 관련된 사례 중심의 실무적인 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이론적인 지식과 기술을 실무에 통합시키는 작업이 필요하여 설계 단계에서는 암기보다는 원리 이해를 바탕으로 제시된 여러 상황문제를 풀어나가게 함으로서 실무상황 속에서 투약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다양한 사례와 실제 처방을 많이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용어는 가급적 쉬운 용어를 사용하고 일러스트와 플래시로 실제성을 높이며, 상세한 설명 내레이션을 최대한 활용하여 학습자가 쉽게 느낄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Kim, D. O., Kwon, I. G., Kim, S. H, Lee, C. H., Yang, J. E., & Lee, E. J. (1999). Establishment of core competencies for newly licenced registered nurses through job analysis. J Korean Acad Nurs, 40(2), 67-82 

  2. Bang, M. R. (2001).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 based collaborative learning Systems.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3. Belfry, M. J., & Winne, P. H. (1988). A review of the effectiveness of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in nursing education. Computers in nursing, 6(6), 77-85 

  4. Belawati, T. (1998). Increasing student persistence in Indonesian post-secondary distance education, Distance Education, 19(1), 81-108 

  5. Bullock, S., & Manias, E. (2002). The educational preparation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 pharmacology: a survey of lecturer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39(3), 773-784 

  6. Byun, Y. S., & Jang, H. J . (1991). The Use of CAI in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Nursing Science. 3, 23-34 

  7. Chung, H. J. (2000).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hemodialysis nursing education program using web-based learning systems. Korean Journal of Nursing Query, 9(1), 146-166 

  8. Cobb, M. D. (1986). Evaluating medication error, JONA, 16, 41-44 

  9. Gagne, R. M., & Briggs, L. J. (1979). Principles of instructional design. 2nd edition. New York : Reinhart and Wilston Inc 

  10. Hwang, J. W. (1998).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e.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Ehwa Women University, Seoul 

  11. Jung, I. S. (1991). Development of CAL course ware for distance learn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Educational Technology, 7(1), 111-137 

  12. Jung, I. S., & Choi, S. H. (1999). Factor analysis of on-line distance learning effect. Education Research 

  13. Jung, I. S. (1999). Understanding of distance learning. Seoul : Educational Science co 

  14. Kate, R., & Pam, S. (1995). Open learning in nursing, health and welfare education. Open University Press 

  15. Keller, J. M. (1983). Motivation design of instruction. In C.M. Reigeluth(ed). Instructional design theories and models : an overview for their current status. Hillsdale. NJ : Lawrence Erlbaum Associate 

  16. Kim, J. A. (2001).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web-based continuing nurse education progra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7(2), 361-375 

  17. Latter, S., Malone, J. R., Yerrell, P., & Shaw, D. (2001). Nurses' educational preparation of for a medication education role : findings from a national survey, Nurses Education Today, 21, 143-154 

  18. Lee, K. H., & Choi, G. Y. (2002). Experiences on the fundamental nursing practices in clinical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Gyeongbuk Academy Nursing, 6(1), 71-89 

  19. Lee, S. H. (2001). A study on the learning effect of web-based distance education systems.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Yeungman University, Gyeonsan 

  20. Leem, J. H. (1999). Effects of small-group cooperative learning strategies on learner participation in on line discussion and problem solving in a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1. Lim, O. S. (2001).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web-based education program for nurses : The care on special diagnostic test.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22. Mun, W. H. (2001). Development of web-based education program and effect analysis - computer education for new nurses.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Winter Academic Seminar, 50-61 

  23. Park, H. A., Cho, I. S., & Kim, J. E. (1998). Development of the in-service education program for nurses on the internet using multimedia teaching material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dical Informatics, 4(2), 59-68 

  24. Shin, K. R. (1993). The effective approaches of clinical nursing education, J Korean Acad Nurs, 32(5), 93-104 

  25. Um, Y. R., Suh, Y. O., Song, R. Y., June, K. J., Yoo, K. H., & Cho, N.O. (1998). The development of nursing education model and the instrument for improving clinical compete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Education, 4(2), 220-235 

  26. Yoo, Y. M. (2001). e-Learning. Seoul : Publishing company Mulpure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