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투약 근접오류경험의 영향 요인과 결과
Influencing Factors and Consequences of Near Miss Experience in Nurses' Medication Error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9 no.5, 2019년, pp.631 - 642  

박진희 (창신대학교 간호학과) ,  이은남 (동아대학교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predict the influencing factors and the consequences of near miss in nurses' medication error based upon Salazar & Primomo's ecological system theory. Methods: A convenience sample of 198 nurses was recruited for the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Data were collected f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결과, 투약 근접오류경험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개인의 주의성이었으며, 그 다음은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업무 부담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투약 근접오류경험은 업무 생산성을 낮추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투약 근접오류경험을 더욱 구체화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 연구와 투약 근접오류경험을 줄이기 위하여 개인적, 조직적 차원의 요소를 고려한 통합적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연구를 제안한다. 또한 본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 다양한 지역과 형태의 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투약 근접오류경험의 영향요인과 결과를 조사하는 반복 연구를 제언한다.
  • 본 연구는 Salazar와 Primomo [17]의 생태학적 통합 모델과 선행 연구를 토대로 간호사의 투약에서의 근접오류경험의 원인을 파악하고, 간호사의 투약에서의 근접오류경험의 결과를 설명하는 가설적 모형을 세운 후, 모형에서 제시한 가설을 검증하여 최종 모형을 제시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Salazar와 Primomo [17]의 생태학적 통합 모델을 토대로 간호사의 투약 근접오류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설명하는 가설적 모형을 구축한 후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통해 이를 예측하고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간호사의 개인적 요인과 조직적 요인의 두 체계가 투약 근접오류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경험은 간호사의 업무 생산성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 본 연구는 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Salazar와 Primomo [17]의 생태학적 모델을 바탕으로 투약 근접오류경험의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 결과를 예측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목적에 따라 미시 체계는 간호사의 투약 근접오류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들로서, 주의성, 피로 등으로 구성하였고, 조직적 요인으로서 환자안전문화, 업무 부담으로 구성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Salazar와 Primomo [17]의 생태학적 통합 모델을 바탕으로, 간호사의 투약 근접오류의 영향요인과 결과를 예측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간호사의 투약 근접오류경험의 영향 요인을 개인적, 조직적 요인들로 나누어서 그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의 관계를 바탕으로 투약 근접오류경험의 결과를 설명하는 구조모형을 제시하고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간호사의 투약 근접오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중재전략을 모색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간호사의 투약 근접오류경험의 영향 요인을 개인적, 조직적 요인들로 나누어서 그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의 관계를 바탕으로 투약 근접오류경험의 결과를 설명하는 구조모형을 제시하고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간호사의 투약 근접오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중재전략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 사고를 줄이기 위해서 궁극적으로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유해한 의료 사고의 대부분은 의료인 개개인의 무관심이나 실수에 의해서도 발생하지만 의료 체계와 관련된 경우도 많다. 그러므로 환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의료 유해 사고와 관련하여 오류를 범한 개인만을 처벌하기 보다는 의료 전달체계를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13].
투약오류란 무엇인가? 투약의 모든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투약오류라고 하는데[7],병원에서 발생하는 환자들에게 유해한 사고 유형 중 투약과 관련된 오류가 15.1%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
투약오류에대해 의료인이 경각심을 갖고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1%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 투약오류는 환자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에 의료인들은 이러한 투약 관련 위험에 대해 경각심을 갖고 있다[7]. 투약오류의 모든 과정 중에서 간호사에 의한 투약오류가 53%로서 가장 많은데, 간호사는 환자에게 약을 투여하는 마지막 단계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오류의 위험성이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Shin GM.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nurse’s medical accident and nurse’s liability. Hanyang Law Review. 2010;21(4):235-262. 

  2. de Vries EN, Ramrattan MA, Smorenburg SM, Gouma DJ, Boermeester MA. The incidence and nature of in-hospital adverse events: A systematic review. BMJ Quality & Safety. 2008;17(3):216-223. https://doi.org/10.1136/qshc.2007.023622 

  3. Hwang JI, Chin HJ, Chang YS.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the occurrence of adverse events: A retrospective medical record review using the Global Trigger Tool in a fully digitalized tertiary teaching hospital in Korea. Journal of Evaluation in Clinical Practice. 2014;20(1):27-35. https://doi.org/10.1111/jep.12075 

  4.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AHRQ). Hospital survey on patient safety culture [Internet]. Rockville (MD): AHRQ; c2015 [cited 2016 Jan 13]. Available from: https://www.ahrq.gov/sops/surveys/hospital/index.html. 

  5. Speroni KG, Fisher J, Dennis M, Daniel M. What causes near-misses and how are they mitigated? Nursing. 2013;43(4):19-24. https://doi.org/10.1097/01.NURSE.0000427995.92553.ef 

  6. Tanaka K, Otsubo T, Tanaka M, Kaku A, Nishinoue N, Takanao T, et al. Similarity in predictors between near miss and adverse event among Japanese nurses working at teaching hospitals. Industrial Health. 2010;48(6):775-782. https://doi.org/10.2486/indhealth.ms1151 

  7. Leape LL. Preventing adverse drug events. American Journal of Health-System Pharmacy. 1995;52(4):379-382. https://doi.org/10.1093/ajhp/52.4.379 

  8. Moyen E, Camire E, Stelfox HT. Clinical review: Medication errors in critical care. Critical Care. 2008;12(2):208. https://doi.org/10.1186/cc6813 

  9. Parry AM, Barriball KL, While AE. Factors contributing to registered nurse medication administration error: A narrative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15;52(1):403-420. https://doi.org/10.1016/j.ijnurstu.2014.07.003 

  10. Treiber LA, Jones JH. After the medication error: Recent nursing graduates' reflections on adequacy of education.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18;57(5):275-280. https://doi.org/10.3928/01484834-20180420-04 

  11. Gillespie GL, Gates DM, Succop P. Psychometrics of the healthcare productivity survey. Advanced Emergency Nursing Journal. 2010;32(3):258-271. https://doi.org/10.1097/TME.0b013e3181e97510 

  12. Letvak S, Buck R. Factors influencing work productivity and intent to stay in nursing. Nursing Economic$. 2008;26(3):159-165. 

  13. Kohn LT, Corrigan JM, Donaldson MS; Institute of Medicine U.S. Committee on Quality of Health Care in America. To err is human: Building a safer health system.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1999. p. 1-8. 

  14. Spath PL. Error reduction in health care: A systems approach to improving patient safety. 2nd ed. San Francisco (CA): Jossey-Bass; 2011. p. 1-85. 

  15. Jeffs L, Affonso DD, MacMillan K. Near misses: Paradoxical realities in everyday clinical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2008;14(6):486-494. https://doi.org/10.1111/j.1440-172x.2008.00724.x 

  16. Brady AM, Malone AM, Fleming S. A literature review of the individual and systems factors that contribute to medication errors in nursing practice.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09;17(6):679-697. https://doi.org/10.1111/j.1365-2834.2009.00995.x 

  17. Salazar MK, Primomo J. Taking the lead in environmental health: Defining a model for practice. AAOHN Journal. 1994;42(7):317-324. 

  18. Bronfenbrenner U. Toward an experimental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1977;32(7):513-531. https://doi.org/10.1037/0003-066X.32.7.513 

  19. Oh C, Yoon H.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medication errors in nurses with less than one year job experie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7;14(1):6-17. 

  20. Bae B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19: Principles and practice. Seoul: Cheongram; 2011. p. 198-201. 

  21. Lee SY. A study on medication error among nurses and prevention strategy [master's thesis]. Daejeon: Eulji University; 2008. p. 1-48. 

  22. Park MH. Types and related factors of near miss among hospital workers [master's thesis]. Daejeon: Konyang University; 2012. p. 1-40. 

  23. Choi JY. A study on the effect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n aviation safety.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014;27(1):1-20. 

  24. Jang EH. Development of fatigue scale for nurse [master's thesis]. Seoul: Chung-Ang University; 2013. p. 1-98. 

  25. Kim JE, Kang MA, An KE, Sung YH. A survey of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related to hospital culture and reports of medical error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7;13(3):169-179. 

  26. Kang JM, Park JS.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performance for safety care activity in rehabilitation hospital nurse.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2016;19(1):12-19. https://doi.org/10.7587/kjrehn.2016.12 

  27. Hart SG. Nasa-task load index (NASA-TLX); 20 years later. Proceedings of the Human Factors and Ergonomics Society Annual Meeting. 2006;50(9):904-908. 

  28. Moon SB. Basic concepts and application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17.0. Seoul: Hakji Publisher; 2009. p. 100-122. 

  29. Woo JP. Concept and understanding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Seoul: Hannarae Publisher; 2012. p. 194-370. 

  30. Kim WP. Structural equation model with AMOS. Seoul: Society and Statistics; 2006. p. 195-220. 

  31. Kim EK, Lee SY, Eom MR. DICS behavior pattern and medication errors by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19(1):28-38. https://doi.org/10.11111/jkana.2013.19.1.28 

  32. Etchells E, Juurlink D, Levinson W. Medication errors: The human factor.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2008;178(1):63-64. https://doi.org/10.1503/cmaj.071658 

  33. Brennan PA, Mitchell DA, Holmes S, Plint S, Parry D. Good people who try their best can have problems: Recognition of human factors and how to minimise error. British Journal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2016;54(1):3-7. https://doi.org/10.1016/j.bjoms.2015.09.023 

  34. Feng X, Bobay K, Weiss M. Patient safety culture in nursing: A dimensional concept analysi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8;63(3):310-319.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8.04728.x 

  35. Kim KS, Kwon SH, Kim JA, Cho SH. Nurses' perceptions of medication errors and their contributing factors in South Korea.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1;19(3):346-353. https://doi.org/10.1111/j.1365-2834.2011.01249.x 

  36. Ricci M, Panos AL, Lincoln J, Salerno T, Warshauer L. Is aviation a good model to study human errors in health care? The American Journal of Surgery. 2012;203(6):798-801. https://doi.org/10.1016/j.amjsurg.2011.06.010 

  37. Kessels-Habraken M, Van der Schaaf T, De Jonge J, Rutte C. Defining near misses: Towards a sharpened definition based on empirical data about error handling processes. Social Science & Medicine. 2010;70(9):1301-1308.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10.01.006 

  38. Billstein-Leber M, Carrillo JD, Cassano AT, Moline K, Robertson JJ. ASHP guidelines on preventing medication errors in hospitals. American Journal of Health-System Pharmacy. 2018;75(19):1493-1517. https://doi.org/10.2146/ajhp170811 

  39. Kear T, Ulrich B. Patient safety and patient safety culture in nephrology nurse practice settings: Issues, solutions, and best practices. Nephrology Nursing Journal. 2015;42(2):113-122; quiz 123. 

  40. Paparella S. Caring for the caregiver: Moving beyond the finger pointing after an adverse event.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2011;37(3):263-265. https://doi.org/10.1016/j.jen.2011.01.001 

  41. Gates DM, Gillespie GL, Succop P. Violence against nurses and its impact on stress and productivity. Nursing economic$. 2011;29(2):59-66, quiz 67. 

  42. Lee HS, Lim JH. SPSS 22 manual. Seoul: Jiphyunjae; 2015. p. 21-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