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금연학교 입원프로그램 전과 후의 흡연자의 흡연에 대한 인식변화
Changes in Smokers' Perception about smoking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in a Hospitalized Smoking Cessation Program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5 no.6, 2005년, pp.1163 - 1173  

장성옥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  신성례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  김흥규 (한국외국어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김상숙 ,  주은애 (고려대학교 대학원 간호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analyze the changes in smokers' subjectivity about smoking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in a 5-day hospitalized smoking cessation program. Design: Q-methodology, which provides a scientific method on subjectivity, was applied. Findings: Nine types of subjectivity 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상자 3은 주위사람에 게 자신의 금연 결심을 알리려고 프로그램에 참가하게 되었는데, 몸도 좋지 않고, 금연 프로그램에서 본 흡연으로 인한 질병들이 두렵고, 간접흡연의 영향이 심각함을 인지하게 되었다. 금연을 결심한 후 은단이나 껌은 금연에 도움이 되지 않 았지만 여유시간이 생기면 잠을 자거나 운동을 하려고 하였다. 대상자 13은 그동안에 5-6회의 금연실패 경험이 있어서 자기 자신에게 금연이라는 생일선물을 주기 위해서 금연 프 로그램에 참가하게 되었는데, 흡연은 니코틴 중독보다는 습관 성이라고 생각하며 흡연이 정신적으로 고착된 습관이라고 생 각하기 때문에 최면으로 의식을 바꾸는 것이 도움이 되었으 며, 금연을 하면 자식들에게 모범을 보이는 것이라고 생각하 게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 본 연구는 5일 금연학교 입원금연 프로그램에 참여한 흡연자의 흡연에 대한 인식 변화 유형을 확인하고 5일 금연학교 입원 프로그램이 흡연자의 주관성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기 위해 Q 방법론을 적용한 탐색적 연구이다.
  • Q방법론은 변인의 속성에서의 개인차에 초점을 둔다기 보다 의미성에 있어서 개인내의 차이에 초점을 둠으로 주관적 구조를 탐색하는데 매우 유용하다(Kim, 1996). 본 연구는 한국에서는 흡연자의 가장 적극적인 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입원프로그램을 통해서 흡연자의 주관적 구조가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가에 초점을 두어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이는 금연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흡연자의 주관성 탐구를 통하여 흡연자에게 효과적으로 적용 할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을 탐색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는 흡연자의 흡연에 관한 태도 및 가치가 자신의 주관적인 태도와 의지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것에 근거하여 5 일 금연학교 입원프로그램에 참여한 흡연자를 대상으로 5일 금연학교 입원프로그램이 흡연자의 흡연 대한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탐색하고자 Q 방법론을 적용하여 연구를 시도하였다. 관련 문헌고찰과 흡연자의 개별 면담을 통해 수 집된 항목들을 종합 분석하여 최종 추출된 진술문 43개를 5 일 금연학교 입원프로그램에 입원한 흡연인이 프로그램 전과 후에 분류하도록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흡연자의 흡연에 대한 진술문을 추출하기 위하여 관련 문헌고찰과 개방형 질문지 그리고 개별 면담을 수행하였다. 개방형 질문지의 작성을 통한。모집단 구성을 위한 자료는 20세 이상 60세 이하의 성인 기 대상자 중 자신을 흡연자로 인식한 197인으로부터 수집되었으며 개별 면담은 개방형 설문지를 분석한 후 좀 더 심도 있는 자료를 수집하고자 성인 흡연자 2인을 선정하여 수행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5일 금연학교 입원 프로그램 참여 후 금연을 목적으로 입원한 흡연자의 흡연에 대한 흡연에 대한 인식 변화가 어떻게 일어나는지를 탐색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금연시도의 중요한 동기는 건강문제를 포함하여 개개인마다 다양할 수 있고, 금연실패 이유로 스트레스, 금단 증상과 같이 여러 다양한 요인이 관여 될 수 있다는 연구보고(Lee, Suh & Cho, 1992; Cho, Yang & Suh, 1995)를 고려할 때, 금연중재 프로그램의 구성과 계획에 서는 흡연자가 흡연행위를 어떻게 인지하고 왜 흡연을 하게 되는지에 대한 탐구는 효과적인 금연프로그램 구성에 매우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흡연자적 관점의 주관성 을 파악하고 설명하기 위해 Q 방법론을 적용하여 5일 금연학 교 입원프로그램에 참여한 흡연자의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흡연에 대한 인식변화를 탐색하고자 한다.。방법론은 인간의 주관성을 강조하여 가설의 검증보다는 가설에 발견에 초점을 두어 연구자에 의해 조작된 정의가 아닌 피험자 스스로의 언 어로 주관성을 드러내게 하는 방법론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shp(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Report (1999). ASHP therapeutic position statement on smoking cessation. Am J Health-Syst Pharm, 56(5), 460-464 

  2. Chang, S. O., & Park, C. S. (2001).Analysis of smoking temptation, nicotine dependency, perceived health status corresponding to stage of change, J Korean Acad Fund Nurs, 8(1), 69-80 

  3. Chang, S. O. (2003). Types of smoking temptation, J Korean Acad Nurs, 33(4). 519-528 

  4. Chang, S. O. (2004). The concept development of smoking temptation, J Korean Acad Nurs,34(1), 160-171 

  5. Choi, J. S. (1999).The effect of smoking cessation program applying the cognitive behavior therapy, Seoul National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6. Choi, J. H., Yang, Y. J., Suh, H. G. (1995).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smoking of medical students and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smoking and smoking cessation, J Acad Fam Med, 16(2), 157-171 

  7. DiClemente, C. C, & Prochaska, J. O. (1985). Processes and stages of change: Coping and competence in smoking behavior change In S.Shiffman & T.A. Wills(Eds.), Coping and substance abuse. New York: Academic Press 

  8. DiClemente, C. C, Prochaska, J. O., & Gibertini, M. (1985). Self-efficacy and the stages of self-change of smoking. Cognitive Therapy Res, 9, 181-200 

  9. Fielding, J. E. (1985). Medical Progress, smoking: Health effects and control,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13(8), 491-498 

  10. Haire-Joshu, D., Morgan, G. & Fisher, E. B. Jr.(1991). Determinants of cigarette smoking, Clinical Chest Medicine, 12(4), 711-725 

  11. Han, E. J., Lee, J. Y., Cho, B. S., Bae, D. W., Lee, G. Y., Park,T. J., Kim, B. S. (1997).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smoking of medical doctors and recommendation of smoking cessation, J Acad Fam Med, 18(6), 601-611 

  12. Joan, S. (1998). Nicotine withdrawal. J Am Med Assoc, 279(23), 1857 

  13. Kim, H. K. (1996), A study on usefulness of Q-methodology. J Korean Soc Sci Study of Subjectivity, 1(1), 15-33 

  14. Kim, H. O. (2002). Effect of a smoking cessation program on the stop-smoking rate and nicotine dependency for the adult smoker. J Korean Community Nurs, 13(1), 5-16 

  15. Kim, M. S., & Kim, A. K. (1997). A study into pattern of smoking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J Korean Acad Nurs, 27(4), 843-856 

  16. Kim, S. A. (1998) Long-term effect of the 5-day stop smoking school, J Korea Community Health Nurs Acad Soc 12(1), 103-115 

  17. Korean Gallup (2001). Smoking prevalence among general population, Korea, Gallup 

  18. Lee, C. H., Suh, H. S., Cho, H. J.(1992). The pattern of smoking of family medicine out-patients, J Acad Fam Med, 13(11), 853-861 

  19. Marcus, B. H., Simkin, L. R., Rossi, J. S., Pinto, B. M.(1996). Longitudinal shifts in employee's stages and processes of exercise behavior change. American J Health Promotion, 10(3), 195-200 

  20. Shadel, W. G., & Mermelstein, R. J. (1993). Cigarette smoking under stress: The role of coping expectancies among smokers in clinic-based cessation program. Health Psychology, 12, 443-450 

  21. Shin, S. R., Lee, D. S., & Park, J. H. (2000). The effect of life smoking cessation program-multidisciplinary approach, J Korean Acad Nurs, 30(1), 110-121 

  22. Song, M. R., & Kim, S. L. (2001). The effects of smoking cessation school program on smoking behavior in adolescent smoker, J Korean Community Nurs, 12(1), 115-124 

  23. West, R. J., Hajek, P. & Belcher, M. (1989). Severity of withdrawal symptoms as a predictor of outcome of an attempt to quit smoking. Psychol Med, 19, 981-985 

  24. Winkelstein, M. L. (1992). Adolescent smoking: influential factors, past preventive efforts and future nursing implication,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7(2), 120-1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