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독계통의 주파수 제어를 위한 자동발전제어(AGC) 특성 분석 및 새로운 제어전략
Evaluation of AGC Characteristics and a Novel AGC Control Strategy for Independent Power Systems 원문보기

전기학회논문지.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A / A, 전력기술부문, v.54 no.11, 2005년, pp.540 - 547  

최승호 (홍익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  황교익 (홍익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  전영환 (홍익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ne of the roles of AGC is to regulate the frequency of power systems. AGC is also used to control the frequency of Korean Power System. AGC control strategies depend on system characteristics and the requirements of the systems to which those are applied. Korean Power System consists of one contr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때의 발전기 출 력은 AGC의 LFC 기능으로는 응답 특성이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에 LFC와 다른 AGC의 주파수 제어 기능이 필요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AGC의 이러한 기능을 주파수 회복유지 제어 (Frequency Recovery Sustenance Control) 로 정의하고 FRSC 제어기의 제어 흐름도를 제안한다.
  • 현재의 CBP(cost based pool) 전력시장의 주파수제어 보조서 비스는 발전기의 속도조정율에 의한 기여도 산정과 이에 따른 보상, 그리고 AGC 기능이 있는 발전기와 없는 발전기로 분류하여 보상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는 만큼 주파수 제어를 위한 기술적인 방법론 확립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발전기 탈락이나 부하의 급변과 같은 상정사 고 발생 시 주파수 제어가 문제가 되는 단독계통에서 조속기 와 AGC의 주파수 제어에 대한 역할 분담에 대해서 고찰하 고, 새로운 제어 개념의 도입 필요성과 방법론에 대해서 다루 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와 같은 단독 계통에서의 발전기 탈 락이나 부하의 급변과 같은 상정사고 발생 시 주파수 제어가 문제가 되는 단독계통에서 조속기와 AGC의 주파수 제어에 대한 역할 분담에 대해서 고찰하고, 정상상태에서의 주파수 편차 저감 제어와 상정사고 발생 시 조속기에 의한 주파수 하락 방지 후 주파수회복 유지 기능을 위한 FRSC를 제안하였다. 단독 계통에서 상정사고 발생 시, AGC의 LFC만에 의한 제어는 시스템의 안정성과 주파수 편차 보상의 기능, 이 두 가지를 모두 만족시킬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가설 설정

  • 1. 조속기 제어에서 허용하는 정상 상태 편차 보상의 성능을 가져야 한다.
  • 2. 짧은 시간에 변동하는 부하(부하의 random variation)에는 응동하지 않아야 한다.
  • 3. 조속기의 제어 신호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
  • 4. EMS 시스템의 샘플 홀드(Sample and hold)의 영향을 최소화 하여야 한다.
  • 본 알고리즘은 정상상태에서 시작한다고 가정하였다. 정상 상태에서의 주파수 편차 저감 제어는 LFC가' 담당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전영환, '우리나라의 보조서비스 구현을 위한 기술적 검토', 기초전력연구원, 2002, pp.3-4 

  2. Allen J. Wood, Bruce F. Wollenberg 'Power Generation and Control', John Wiley & Sons, Inc. 1996, pp.336-340 

  3. 한국전력거래소 '전력시장운영규칙' 별표 3.전력계통운영기준 13.2 p.146 

  4. Charles L. Phillops, 'Digital Control System', Prentice Hall 1990, pp.225-226 

  5. Paul M. Anderson, 'Power System Control and Stability', IEEE Press 1977, pp.138-143 

  6. Chee-Mun Ong, 'Dynamic Simulation of Electric Machinery Using Matlab/Simulink', Prentice Hall 1998, pp.273-278 

  7. IEEE Recommended Practice for Excitation System Models for Power System Stablility Studies, IEEE Standard 421.5-1992 

  8. T. Kennedy, S. M. Hoyt and C. F. Abell, 'Variable, Non-Linear Tie-Line Frequency Bias for Interconnected Systems Controls', IEEE TPS, August 1988, pp1244-1253 

  9. N. Jaleeli, L. S. VanSlyck, D. N. Ewart, L. H. Fink, 'Understand Automatic Generation Control', IEEE TPS, August 1992, pp1106-11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