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피오스(Apios americana M.) 도입 생산을 위한 기초 연구
Preliminary Culture Evaluation of Newly Introduced Apios (Apios americana M.)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18 no.3, 2005년, pp.424 - 432  

류기중 (제주대학교 농생대) ,  강영길 (제주대학교 농생대) ,  강봉균 (제주대학교 농생대) ,  김동섭 (한국원자력연구소 방사선연구원) ,  박인숙 (한국원자력연구소 방사선연구원) ,  송희섭 (한국원자력연구소 방사선연구원) ,  강시용 (한국원자력연구소 방사선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신작물로 주목을 받고있는 괴경 형성 콩과식물인 아피오스(Apios americana Medikus)를 국내에 도입하여 특산작물로 개발하기 위하여 제주지역에서 2000년과 2001년도에 생육특성 조사와 재배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시험 재배한 두 계통(red-vine, green-vine) 모두 꼬투리 또는 종실은 형성하지 않고 지하부에 지하경이 비대하여 염주상의 지하 괴경을 형성하였으나 10a 당 수량은 $500\~800kg$ 사이였다. 계통별로는 red-vine이 green-vine보다 수량성이 높았는데, 주로 포기당 괴경수가 높은 것에 기인하였다. 파종시기별로는 4월 16일 파종시가 4월 1일 및 5월 1일 파종시보다 수량성이 높았다. 또한 지주재배가 무지주 재배보다 수량성이 높았다. 1년생의 경우도 $20\~80\;g$의 큰 괴경을 형성하는 주가 있어, 앞으로 특산작물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용도개발과 아울러 우량 계통의 선발과 품종화가 중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ewly introduced two lines of apios (Apios americana Medikus, red-vine and green-vine) were grown in Jeju island, to clarify their growth and production characteristics as well as to develope as a new edible crops in Korea. Both lines bloomed but did not develop to pod and seed. The red-viny line s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아피오스(apios)를 도입하여 특산작 물로 개발. 보급하고자 생산기술 및 품종 개발과 아울러 용도개발에 관한 일련의 연구의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에 도입 재배하여 생육 및 재배 특성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 우리나라의 농업 및 바이오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서는 기존 재배식물뿐만 아니라 국내외의 새로운 식물자원을 탐색하여 기능성을 밝히고, 새로운 용도 및 제품 개발과 아울러 재배품 종화 및 생산체계를 구축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아피오스(apios)를 도입하여 특산작 물로 개발. 보급하고자 생산기술 및 품종 개발과 아울러 용도개발에 관한 일련의 연구의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에 도입 재배하여 생육 및 재배 특성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 신작물로 주목을 받고 있는 괴경형성 콩과 식 물인 아피오스(pios americana Medikus) 를 국내에 도입하여 특산작물로 개발하기 위하여 제주지역에서 2000년과 2001년도에 생육 특성 조사와 재배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시험재배한 두 계통(red-vine, green-vine) 모두 꼬투리 또는 종실은 형성하지 않고 지하부에 지하경이 비대하여 염주상의 지하 괴경을 형성하였으나 10a당 수량은 500〜800kg 사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meny, M.A., P.W. Wilson and M. Hegsted. 1994. Protein-quality of weaning baby food from african white-fleshed sweet potato varieties and Apios americana with pigeon peas added as a complementary protein. Nutr. Res. 14(9):1397-1406 

  2. Blackmon, W.J. and B.D. Reynolds. 1986. The crop potential of Apios americana - Preliminary evaluations. Hortsci. 21(6):1334-1336 

  3. Bruneau, A. and G.J. Anderson 1988. Reproductive biology of diploid and triploid Apios americana (Leguminosae). Amer. J. Bot 75:1876-1883 

  4. Bruneau, A. and G.J. Anderson. 1994. To bee or not to bee - The pollination biology of Apios americana (Leguminosae). Plant Systematics and Evolution. 192(1-2): 147-149 

  5. Hoshikawa, K. and Y. Juliarni. 1995. The growth of apios (Apios americana M.), a new crop, under field conditions. Jpn. J. Crop Sci. 64(2):323-327 

  6. Juliarni, Y. Goto, T. Nakamura, K. Takahashi and K. Hoshikawa. 1997. Tuberization in Apios (Apios americana Medikus). I. Development morphology of tuber. Jpn. J. Crop Sci. 66(3):466-471 

  7. Krishnan, H.B. 1998. Identification of genistein, an anticarcinogenic compound, in the edible tubers of the America groundnut (Apios americana Medikus). Crop Sci. 38(4):1052-1056 

  8. Mazur, W.M., J.A. Duke, K. Wahala, S. Rasku and H. Adlercreutz. 1998. Isoflavonoids and lignans in legumes; nutritional and health aspects in humans. Jour. Nutri. Bioche. 9(4):193-200 

  9. Okubo, K. 1994. DDMP-conjugated saponin (soyasaponin Beta-G) isolated from American groundnut (Apios americana). Biosci. Biotech. Bioch. 58(12): 2248-2250 

  10. Putnam, D.H., G.H. Heichel and L.A. Field. (1991) Response of Apios americana to nitrogen and inoculation. HortSci. 26(7):853-855 

  11. Reynolds, B.D. et al. 1988. Progress in domesticating Apios americana. Hortsci. 23(3):768-768 

  12. Reynolds, B.D., W.J. Blackmon, E. Wickremesinhe , M.H. Wells and R.J. Constantin. 1990. Domestication of Apios americana. In J. Janick and J.E. Simon (eds.), Advances in New Crops. Timber Press, Portland, OR. p. 436-442 

  13. Reynolds, B.D. 1995. Apios. New Crop FactSHEET, Purde University. http://www.hort.purdue.edu/ newcrop/CropFactSheets/ apios .html 

  14. Seabrook, J.A. and L.A. Dionne. 1976. Studies on the genus Apios.I. Chromosome number and distribution of Apios americana and A. priceana. Can. J. Bot 54:2567-2572 

  15. Walter, W.M., E.M. Croom, Jr., G.L. Catignant and W.C. Thresher. 1986. Compositional study of Apios priceana tubers. J. Agric. Food Chem. 4:39-41. 

  16. Wickremesinhe, E.R.M., W.J. Blackmon and B.D. Reynolds. 1988a. An efficient regeneration system for Apios americana. HortSci. 23:753 

  17. Wickremesinhe, E.R.M., W.J. Blackmon and B.D. Reynolds. 1988b. In vitro clonal multiplication of Apios americana. HortSci. 23:753 

  18. Wilson, P.W., J.R. Gorny, W.J. Blackmon and B.D. Reynolds. 1986. Fatty acids in the American groundnut (Apias americana). J. Food Sci. 51:1387-1388 

  19. Wilson, P.W., F. Pichardo, W.J. Blackmon and B.D. Reynolds. 1987. Amino acids in the American groundnut (Apias americana). J. Food Sci. 52:224-2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