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방암 환자의 상지 부작용과 관련 요인
Arm Morbidity after Breast Cancer Treatments and Analysis of Related Factors 원문보기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eity for therapeutic radiology and oncology, v.23 no.1, 2005년, pp.32 - 42  

전미선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교실) ,  문성미 (아주대학교병원 방사선종양학과) ,  이혜진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 ,  이은현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  송영숙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 ,  정용식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박희붕 (박희붕외과 유방클리닉) ,  강승희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유방암 치료 후 상지림프부종, 어깨관절 운동범위 감소, 주관적 증상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대상 및 방법 : 본 대학 병원에서 유방암 진단을 받고 수술 또는 수술 후 방사선치료 및 항암치료를 받은 환자 159 명을 대상으로 림프부종 정도와 어깨관절 운동범위를 측정하였고, 질문지를 이용하여 주관적 증상을 측정하였다. 대상 환자의 $47.2\%$인 75명이 40대였으며 89의 환자가 병기 I 또는 II 이었다. 결과 : 림프부종(건측과 환측의 차이가 2 cm 이상)은 52명($32.7\%$)의 환자에서 발생하였다. 이 중 상지 하부 림프부종은 3명, 상지 상부 림프부종은 34명에서 발생하였으며 상지 상부와 하부 모두 림프부종이 발생한 경우는 15명이었다. 각 부위별 발생 빈도는 손목으로부터 10 cm 지점에서 $6.3\%$, 20 cm 지점에서 $10.7\%$, 30 cm 지점에서 $22.6\%$, 40 cm 지점에서 $23.3\%$이었다. 어깨관절 운동범위 감소(건측과 환측의 차이가 $20^{\circ}$ 이상)의 빈도는 굴곡에서 $37.2\%$, 외전에서 $37.7\%$, 내회전에서 $48.4\%$, 외회전에서 $24.5\%$이었다. 이 중 내회전의 경우 정상운동범위의 $50\%$ 이상 감소되는 경우도 흔하였다. 주관적 증상으로 통증 호소가 $63.5\%$, 팔을 움직이기 힘들다고 하는 경우가 $48.4\%$, 팔저림 호소가 $59.8\%$, 뻣뻣함(stiffness) 호소가 $69.2\%$이었다. 특히 림프부종이 없는 108명의 환자 중 65명($61.1\%$)이 통증을 호소하였다. 림프부종의 발생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요인으로는 연령, 체질량지수(BMI), 치료방법 및 수술 후 경과 기간이 있었고, 어깨관절 운동범위 감소의 경우 치료방법과 수술 후 경과기간이었다. 주관적 증상의 경우는 치료방법과 수술 후 경과기간 그리고 항암화학요법 종류가 유의한 관계가 있는 요인이었다. 다변량분석 결과 체질량지수(BMI)와 수술 후 경과기간이 림프부종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림프부종은 수술 후 기간이 경과되어도 계속 진행되며 특히 체질량지수가 유의한 요인으로 확인되어 지속적인 체중관리를 포함한 예방대책이 필요하다. 그리고 어깨관절 운동범위의 감소도 환자의 약 1/3에서 발생하였으며 특히 굴곡, 외전, 내회전 운동범위의 감소가 빈번하였고 내회전의 경우 그 정도가 심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한 치료 후 재활관리 프로그램이 환자에게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o evaluate the incidence of arm morbidity following breast cancer surgery including axillary dissection and to identify related factors. Materials and Methods : One hundred and fifty nine patients were studied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and a clinical examination. Lymphedema, reduc...

주제어

참고문헌 (27)

  1. 2002 Annual Report of the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2. Hladiuk M. Huchcroft S. Temple W. Schnurr BE. Arm function after axillary dissection for breast cancer: a pilot study to provide parameter estimates. J Surg Oncol 1992;50:47-52 

  3. Hack TF. Cohen L. Katz J. Robson. LS. Goss P. Physical and psychological morbidity after axillary lymph node dissection for breast cancer. J Clin Oncol 1999;17:143-149 

  4. Tasmuth T. von Smitten K. Hietanen P. et al. Pain and other symptoms after different treatment modalities of breast cancer. Ann Oncol 1995;6:453-459 

  5. Voogd AC. Ververs JMMA. Vingerhoets AJJM. Roumen RMH. Coebergh JWW. Crommelin MA. Lymphoedema and reduced shoulder function as indicator of quality of life after axillary lymph node dissectioin for invasive breast cancer. Br J Surg 2003;90:76-81 

  6. Kuehn T. Klauss W. Darsow M. et al. Long-term morbidity following axillary dissection in breast cancer patients-clinical assessment. significance for life quality and the impact of demographic, oncologic and therapeutic factors. Breast Cancer Res Treat 2000;64:275-286 

  7. Petrek JA. Pressman PI, Smith RA. Lymphedema: current issues in research and management. CA Cancer J Clin 2000;50:292-307 

  8. Larson D. Weinstein M. Goldberg I. et al. Edema of the arm as a function of the extent of axillary surgery in patients with stagel-II carcinoma of the breast treated with primary radiotherapy. l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86;12:1575-1582 

  9. Keramopoulos A. Tisonou C. Minaretzis D. Michalas S. Aravantinos D. Arm morbidity following treatment of breast cancer with total axillary dissection: a multivariated approach. Oncology 1993;50:445-449 

  10. Kiel KD. Rademacker AW. Early-stage breast cancer: arm edema after wide excision and breast irradiation. Radiology 1996;198:279-283 

  11. Warmuth MA. Bowen G. Prosnitz LR. et al. Complications of axillary lymph node dissection for carcinoma of the breast. Cancer 1998;83:1362-1368 

  12. Andersen L. Hojris I. Erlandsen M. Andersen J. Treatment of breast cancer related lympedema with or without manual lymphatic drainage. Acta Oncologica 2000;39:399-405 

  13. Cochiarella L. Anderson G.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Guides to the evaluation of permanent impairment, 5th ed. Chicago;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04:450-479 

  14. Roh KH. The risk factors of lymphedema after breast cancer surgery. Master's thesis, Kosin Medical College Graduate School 2002 

  15. Petrek JA. Heelan MC. Incidence of breast carcinoma-related lymphedema. Cancer 1998;83:2776-2781 

  16. Erickson VS. Pearson ML. Ganz PA. Adams J. Kahn KL. Arm edema in breast cancer patients. J Natl Cancer Inst 2001;93:96-111 

  17. Hwang HS. Shoulder joint function. lymphedema. physical symptoms and functional status after mastectomy: comparison of sentinel lymph node biopsy and axillary lymph node dissection.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onsei University 2002 

  18. Ernst MF. Voogd AC. Balder W. Klinkenbijl JHG. Roukema JA. Early and late morbidity associated with axillary levels -III dissection in breast cancer. J Surg Oncol 2002;79:151-155 

  19. Harris SR. Hugi MR. Olivotto IA. Levine M.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the care and treatment of breast cancer: 11. Lymphedema. CMAJ 2001;164:191-199 

  20. Kwan W. Jackson J. Weir LM. et al. Chronic arm morbidity after curative breast cancer treatment: prevalence and impact on quality of life. J Clin Oncol 2002;20:4242-4248 

  21. Ververs JMMA. Roumen RMH. Vingerhoets AJJM. et al. Risk, severity and predictors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morbidity after axillary lymph node dissection for breast cancer. Eur J Cancer 2001;37:991-999 

  22. Werner RS, McCormic B. Petrek JA. Cox L. Cirrincione C. Gray JR. Arm edema in conservatively managed breast cancer: obesty is a major predictive factor. Ther Radiol 1991;180:177-184 

  23. Roses DF. Brooks AD. Harris MN. Shapiro RL. Mitnick J. Complications of levellandll axillary dissection in the treatment of carcinoma of the breast. Ann Surg 1999;230:194-201 

  24. Kocak Z. Overgaard J. Risk factors of arm lymphedema in breast cancer patients. Acta Oncologica 2000;39:389-392 

  25. Lijegren G. Holmberg L. Arm morbidity after sector resection and axillary dissection with or without postoperative radiotherapy in breast cancer stagel. Results from a randomised trial. Eur J Cancer 1997;33:193-199 

  26. Hinrichis CS. Watroba NL. Rezaishiraz H. et al. Lymphedema secondary to postmastectomy radiation: incidence and risk factors. Ann Surg Oncol 2004; 11 :573-580 

  27. Lee EH. Park HB. Kim MW. et al. Analyses of the studies on cancer-related quality of life published in Korea. J Korean Soc Ther Radiol Oncol 2002;20:359-36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