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방암 환자의 상지 림프부종 지식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Knowledge Scale for Lymphedema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원문보기

재활간호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15 no.2, 2012년, pp.117 - 125  

김민영 (제주대학교 간호대학) ,  황은경 (서울대학교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of a knowledge scale for lymphedema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Methods: 34 preliminary items were made according to literature review, then verified content validity,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28 items amo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림프부종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림프부종이 발생한 경우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교육을 시행하기 위한 과정의 일환으로 국내 환자를 위한 림프부종 지식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가 이루어진 S 병원에서 림프부종 교육을 시행하고 있으나 효과적인 교육을 시행하기 위해 우선 환자의 이해도를 측정할 필요성이 있다.
  •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의 상지 림프부종 지식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을 토대로 기초문항을 도출하였고, 전문가 집단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한 후, 유방암 환자에게 적용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상지 림프부종에 대한 지식을 측정할 수 있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 ’ 등 햇빛 쐬기나 주택에서 정원 가꾸기를 선호하는 외국인의 취향에 맞게 구성되어 있어 국내 환자의 생활 방식과는 다소 맞지 않는 부분이 있으므로 국내 환자를 대상으로 교육의 효과를 측정하기에는 적절치 않은 면이 존재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내 생활방식을 고려하여 림프부종의 발생, 예방, 자가 대처의 내용을 모두 포함하는 총 28문항의 림프부종 지식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도구를 사용하여 림프부종 지식을 측정한 결과 림프부종 교육을 받은 그룹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이는 수술 전 림프부종의 위험성과 예방법을 교육하였을 때 림프부종의 발생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고 하였던 Ridner (2006)의 연구결과 및 림프부종 자가 대처 방법을 교육하면 유방암 환자의 위험을 최소화하며 경제적이라는 Dine 등(2011)의 연구결과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림프부종 관련 지식 측정 도구의 단점은? , 2010; Sherman & Koelmeyer, 2011). 그러나 이 도구는 림프부종의 발생과 예방에 대한 내용으로만 구성되어 있어 자가 대처에 대한 측정이 불가능하며, ‘정기적으로 수술한 쪽 팔에 햇볕을 쐬어줄 것을 권장한다.’, ‘집안일이나 정원을 가꿀 때 장갑을 착용하고 긁히거나 상처 난 곳을 즉시, 처치한다.’ 등 햇빛 쐬기나 주택에서 정원 가꾸기를 선호하는 외국인의 취향에 맞게 구성되어 있어 국내 환자의 생활 방식과는 다소 맞지 않는 부분이 있으므로 국내 환자를 대상으로 교육의 효과를 측정하기에는 적절치 않은 면이 존재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내 생활방식을 고려하여 림프부종의 발생, 예방, 자가 대처의 내용을 모두 포함하는 총 28문항의 림프부종 지식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유방암은 국내에서 1년동안 몇 명에게 발생되나? 유방암은 국내에서 1년에 13,000명 이상이 발생하고 있으며(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12) 5년 생존율은 1997년 77.6%에서 2002년 82.
림프부종이란 무엇인가? 림프부종은 피부와 피하공간에 분자량이 큰 물질인 혈장 단백과 지방 등이 조직에 비정상적으로 축적되어 림프액 이동이 원활하지 못하여 환 측 부위의 기능적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말한다(The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2005; Zuther, 2005). 림프부종의 객관적인 증상은 부종, 관절의 유연성 저하가 있으며, 주관적인 증상은 무거운 감, 피로, 통증, 무력감, 팽팽한 감각 등이 있다(The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rmer, J. M., Brooks, C. W., & Stewart, B. R. (2011). Limitations of self-care in reducing the risk of lymphedema: Supportiveeducative systems. Nursing Science Quarterly, 24 (1), 57-63. 

  2. Blanchard, D. K., Donohue, J. H., Reynolds, C., & Grant, C. S. (2003). Relapse and morbidity in patients undergoing sentinel lymph node biopsy alone or with axillary dissection for breast cancer. Archives of Surgery, 138 (5), 482-488. 

  3. Bosompra, K., Ashikaga, T., O'Brien, P. J., Nelson, L., Skelly, J., & Beatty, D. J. (2002). Knowledge about preventing and managing lymphedema: A survey of recently diagnosed and treated breast cancer patients.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47 (2), 155-163. 

  4. Coward, D. D. (1999). Lymphedema prevention and management knowledge in women treated for breast cancer. Oncology Nursing Forum, 26 (6), 1047-1053. 

  5. Dine, J. L., Austin, M. K., & Armer, J. M. (2011). Nursing education on lymphedema self-management and self-monitoring in a South African oncology clinic. Journal of Cultural Diversity, 18 (4), 126-128. 

  6. Fu, M. R., Chen, C. M., Haber, J., Guth, A. A., & Axelrod, D. (2010). The effect of providing information about lymphedema on the cognitive and symptom outcomes of breast cancer survivors. Annals of Surgical Oncology, 17 (7), 1847-1853. 

  7. Golshan, M., Martin, W. J., & Dowlatshahi, K. (2003). Sentinel lymph node biopsy lowers the rate of lymphedema when compared with standard axillary lymph node dissection. The American Journal of Surgery, 69 (3), 209-211. 

  8.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2008). Breast cancer facts and figures. Retrieved July 25, 2012, from http://www.kbcs.or.kr/journal/file/2006_2008_Breast_Cancer_Facts_and_Figur es_updated.pdf 

  9. Lee, E. O., Lim, N. Y., Park, H. A., Lee, I. S., Kim, J. L., & Bae, J. I. (2009). Nursing research and statistical analysis. Seoul: Soomoonsa. 

  10. Lee, H. K., Yang, Y. H., Gu, M. O., & Eun, Y. (2009). Nursing Research. Seoul: Hyunmoonsa. 

  11. Lee, T. S., Kilbreath, S. L., Sullivan, G., Refshauge, K. M., & Beith, J. M. (2010). Patient perceptions of arm care and exercise advice after breast cancer surgery. Oncology Nursing Forum, 37 (1), 85-91. 

  12. Lee, T. S., Kilbreath, S. L., Sullivan, G., Refshauge, K. M., Beith, J. M., & Harris, L. M. (2009). Factors that affect intention to avoid strenuous arm activity after breast cancer surgery. Oncology Nursing Forum, 36 (4), 454-462. 

  13.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12). Cancer incidence. Retrieved July 25, 2012, from http://www.cancer.go.kr/ncic/cics_f/01/012/index.html 

  14. National Lymphedema Network Medical Advisory Committee. (2011).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lymphedema of lymphedema position statement of the national lymphedema network. Retrieved July 25, 2012, from http://www.lymphnet.org/pdfDocs/nlntreatment.pdf 

  15. National Lymphedema Network Medical Advisory Committee. (2011). Screening and Measurement for Early Detection of Breast Cancer Related Lymphedema. Retrieved July 25, 2012, from http://www.lymphnet.org/pdfDocs/nlnBCLE.pdf 

  16. National Lymphedema Network Medical Advisory Committee. (2011). Exercise. Retrieved July 25, 2012, from http://www.lymphnet.org/pdfDocs/nlnexercise.pdf 

  17. Park, J. H. (2005). Predictors of breast cancer lymphedem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8. Radina, M. E., Armer, J. M., Culbertson, S. D., & Dusold, J. M. (2004). Post-breast cancer lymphedema: Understanding women's knowledge of their condition. Oncology Nursing Forum, 31 (1), 97-104. 

  19. Reynolds, P. (1971). A primer in theory construction. Indianapolis, IN: Bobbs-Merrill. 

  20. Ridner, S. H. (2006). Pretreatment lymphedema education and identified educational resources in breast cancer patients.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61 (1), 72-79. 

  21. Schmitz, K. H., Troxel, A. B., Cheville, A., Grant, L. L., Bryan, C. J., Gross, C. R., et al. (2009). Physical Activity and Lymphedema (the PAL trial): Assessing the safety of progressive strength training in breast cancer survivors. Contemporary Clinical Trials, 30 (3), 233-245. 

  22. Sherman, K. A., & Koelmeyer, L. (2011). The role of information sources and objective risk status on lymphedema riskminimization behaviors in women recently diagnosed with breast cancer. Oncology Nursing Forum, 38 (1), 27-36. 

  23. Sisman, H., Sahin, B., Duman, B. B., & Tanriverdi, G. (2012). Nurse-assisted education and exercise decrease the prevalence and morbidity of lymphedema following breast cancer surgery. Journal of the Balkan Union of Oncology, 17 (3), 565-569. 

  24. Tam, E. K., Shen, L., Munneke, J. R., Ackerson, L. M., Partee, P. N., Somkin, C. P., et al. (2012). Clinician awareness and knowledge of breast cancer-related lymphedema in a large, integrated health care delivery setting. Breast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131 (3), 1029-1038. 

  25. The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2005). The breast. Seoul: Ilchokak. 

  26. Wilburn, O., Wilburn, P., & Rockson, S. G. (2006). A pilot, prospective evaluation of a novel alternative for maintenance therapy of breast cancer-associated lymphedema. Biomed Central Cancer, 29 (6), 84. 

  27. Zuther, J. E. (2005). Lymphedema management: The comprehensive guide for practitioners. New York: Thieme Medicine Publishers, Inc.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