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도변조방사선치료의 환자별 정도관리: 필름 선량계 및 최적화법을 이용한 정량적 접근
Patient Specific Quality Assurance of IMRT: Quantitative Approach Using Film Dosimetry and Optimization 원문보기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eity for therapeutic radiology and oncology, v.23 no.3, 2005년, pp.176 - 185  

신경환 (국립암센터) ,  박성용 (국립암센터) ,  박동현 (국립암센터) ,  신동호 (국립암센터) ,  박달 (국립암센터) ,  김태현 (국립암센터) ,  표홍렬 (국립암센터) ,  김주영 (국립암센터) ,  김대용 (국립암센터) ,  조관호 (국립암센터) ,  허순녕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교실) ,  김일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교실) ,  박찬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환자별 강도변조방사선치료 정도관리(IMRT QA) 중 필름 선량계를 임상에 적용하고, 필름 등선량중심점 치우침 교정 최적화법을 개발하였다. 최적화 후 필름 선량계에 대한 정량적 허용기준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IMRT 치료를 시행하기로 한 14명의 두경부종양 환자에서 필름 선량계를 시행하고, 가장 큰 계통적 오차 요인인 필름 등선량중심점 치우침 교정 최적화법을 고안하여 적용하였다. 결과: 필름 선량계의 필름 등선량중심점 치우침 교정 최적화법은 local minimum을 구하는 방식으로 고안하였으며, 환자에게 적용 시 조정값은 2 mm를 보인 2명을 제외하고 12명에서 1 mm로 나타났다. 필름 등선량중심점 치우침 교정 최적화 전후로 선량오차 결과를 산출하였으며, 최적화 전후의 절대 평균 선량오차의 평균은 각각 $2.36\%,\;1.56\%$, 점선량오차가 $5\%$ 이상인 지점의 비율은 평균은 각각 $9.67\%,\;2.88\%$로서 최적화 후 선량오차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최적화 후 절단 저선량 영역을 설정하였으며, 최적화 후 $5\%$ 이상의 점선량오차 지점 수 $10\%$ 미만, 절대평균 선량오차 $3\%$ 미만의 필름 선량계를 위한 정량적 허용 기준을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개발한 최적화법은 필름 선량계의 치우침 교정에 매우 유효하며, 최적화 후 제시된 정량적 허용 기준은 환자별 IMRT QA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Film dosimetry as a part of patient specific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quality assurance (IMRT QA) was peformed to develop a new optimization method of film isocenter offset and to then suggest new quantitative criteria for film dosimetry. Materials and Methods: Film dosimetry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환자별 IMRT QA 중 치료 계획 선량분포도와 필름 측정 선량분포도와의 차이인 선량오차를 산출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선량 오차를 유발하는 계통적 오차 요인을 분석하고, 가장 큰 오차요인인 필름 등선량중심점 치우침을 교정하는 최적화법을 개발, 이를 실제 IMRT 치료계획 증례에 적용한 후 개선된 선량 오차값을 얻고자 하였다. 그리고 치료계획 선량분포와 필름 측정선량분포 간의 선량 오차에 대한 새로운 정량적 허용기준(quantitative criteria)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환자별 IMRT QA 중 치료 계획 선량분포도와 필름 측정 선량분포도와의 차이인 선량오차를 산출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선량 오차를 유발하는 계통적 오차 요인을 분석하고, 가장 큰 오차요인인 필름 등선량중심점 치우침을 교정하는 최적화법을 개발, 이를 실제 IMRT 치료계획 증례에 적용한 후 개선된 선량 오차값을 얻고자 하였다. 그리고 치료계획 선량분포와 필름 측정선량분포 간의 선량 오차에 대한 새로운 정량적 허용기준(quantitative criteria)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정량적 허용기준은 이미 언급된 계통적 오차들을 교정한 후 제시된 것으로서 따라서 필름 등선량기준 점 치우침 교정 최적화는 필름 선량계의 정량적 허용 기준 을 설정하기 위한 사전단계이다. 즉 Table 2와 같이 최적화 후 절대 평균 선량오차 및 선량 오차 허용 기준을 넘는 점선량수는 최적화 전에 비해 현격하게 개선되었으며, 이렇게 개선된 결과를 바탕으로 정량적 허용기준이 제시되었다.
  • 위의 연구결과에서 필름 등선량중심점 치우침 교정 최적화 적용 후 점선량오차분포도에서 정량적 허용기준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필름 등선량중심점 치우침 교정 최적화 후 5% 이상의 점선량 오차 값을 보이는 지점의 수가 전체 지점의 10% 미만이어야 하며, 절대평균 선 량오차값이 3% 미만이어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oyer AL, Mok E, Luxton G, et al. Quality assurance for treatment planning dose delivery by 3DRTP and IMRT. In: Shiu AS, Mellenberg DE, eds. General Practice of Radiation Oncology Physics in the 21th Century. 1st ed. Madison, WI: Medical Physics Publishing. 2000;187-232 

  2. Mohan R, Wu Y, Wu Q. Inverse treatment planning and intensity-modulated radiotheapy (IMRT). In: Shiu AS, Mellenberg DE, eds. General Practice of Radiation Oncology Physics in the 21th Century. 1st ed. Madison, WI: Medical Physics. 2000;113-136 

  3. LoSasso T, Chui C-S, Ling CC. Comprehensive quality assurance for the delivery of intensity modulated radiotherapy with a multileaf collimator used in the dynamic mode. Med Phys 2001;28:2209-2219 

  4. Agazaryan N, Solberg TD, Demarco JJ. Patient specific quality assurance for the delivery of intensity modulated radiotherapy. J Appl Clin Med Phys 2003;4:40-49 

  5. Cho BC, Park SW, Oh DH, Bae H. Quality assurance for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J Korean Soc Ther Radiol Oncol 2001;19:275-286 

  6. Ma L, Geis PB, Boyer AL. Quality assurance for dynamic multileaf collimator modulated fiels using a fast beam imaging system. Med Phys 1997;24:1213-1220 

  7. Webb S. Intensity-modulated radiation therapy: dynamic MLC (DMLC) therapy, multisegment therapy and tomotherapy. An example of QA in DMLC therapy. Strahlenther Onkol 1998;174: 8-12 

  8. Tsai JS, Wazer DE, Ling MN, et al. Dosimetric verification of the dynamic intensity-modulated radiation therapy of 92 patient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98;40:1213-1230 

  9. Pasma KL, Dirkx ML, Kroonwijk M, Visser AG, Heijmen BJ. Dosimetric verification of intensity modulated beams produced with dynamic multileaf collimation using an electronic portal imaging device. Med Phys 1999;26:2373-2378 

  10. Papatheodorou S, Rosenwald JC, Zefkili S, Murillo MC, Drouard J, Gaboriaud G. Dose calculation and verification of intensity modulation generated by dynamic multileaf collimators. Med Phys 2000;27:960-971 

  11. Xing L and Li JG. Computer verification of fluence map for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Med Phys 2000;27:2084- 2092 

  12. MacKenzie MA, Lachaine M, Murray B, Fallone BG, Robinson D, Field GC. Dosimetric verification of inverse planned step and shoot multileaf collimator fields from a commercial treatment planning system. J Appl Clin Med Phys 2002;3:97-109 

  13. Budgell GJ, Perrin BA, Mott JH, Fairfoul J, Mackay RI. Quantitative analysis of patient-specific dosimetric IMRT verification. Phys Med Biol 2005;50:103-119 

  14. Yoon SM, Yi BY, Choi EK, Kim JH, Ahn SD, Lee S. Quality assurance of patients for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J Korean Soc Ther Radiol Oncol 2002;20:81-90 

  15. Dogan N, Leybovich LB, Sethi A. Comparative evaluation of Kodak EDR2 and XV2 films for verification of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Phys Med Biol 2002;47:4121-4130 

  16. Benedick Fraass, Karen Doppke, Margie Hunt, et al. AAPM task group 53:quality assurance for clinical radiotherapy treatment planning. Med Phys 1998;25:1773-1829 

  17. Ju SG, Ahn YC, Huh SJ, Yeo IJ. Film dosimetry for IMRT: dosimetric evaluation. Med Phys 2002;29:351-355 

  18. Olch AJ. Dosimetric performance of an enhanced dose range radiographic film for intensity-modulated radiation therapy quality assurance. Med Phys 2002;29:2159-2168 

  19. Childress N, Dong L, Rosen II. Rapid radiographic film calibration for IMRT verification using automated MLC fields. Med Phys 2002;29:2384-2390 

  20. Emami B, Lyman J, Brown A, et al. Tolerance of normal tissue to therapeutic irradiation.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91;21:109-122 

  21. Low DA, Mutic S, Dempsey JF, et al. Quantitative dosimetric verification of an IMRT planning and delivery system. Radiother Oncol 1998;49:305-316 

  22. Depuydt T, Esch AV, Huyskens DP. A quantitative evaluation of IMRT dose distributions: refinement and clinical assessment of the gamma evaluation. Radiother Oncol 2002; 62:309-319 

  23. Low DA, Dempsey JF. Evaluation of the gamma dose distribution comparison method. Med Phys 2003;30:2455-2464 

  24. Van Dyk J, Barnett RB, Cygler JE, Shragge PC. Commissioning and quality assurance of treatment planning computer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93;26:261-2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