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첨가제 처리에 의한 과.채류 중 잔류농약 제거효과 연구
A Study on the Removal Efficiency of Pesticide Residues in Fruits and Vegetables Treated by Additional Materials 원문보기

한국응용생명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48 no.4, 2005년, pp.388 - 393  

구평태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진성현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강정미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권혁동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박선희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이지윤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치커리, 청경채, 방울토마토, 포도 등 과 채류 4종에 Chlorpyrifos, Chlorothalonil, Endosulfan, EPN, Fenitrothion, Procymidone 등 농약 6종을 인위적으로 부착시켜 잔류농약 제거율을 조사한 결과, 수돗물 세척에서 전체 평균 제거율은 68.3%, 수돗물을 이용한 초음파 2분 및 5분간 세척에서 73.7, 82.5%로 나타났고, 4종의 첨가제액를 이용한 세척에서는 0.5% 세제액(82.9%)>5% 식초액(76.9%)>5% 소금물(75.8%)>5% 밀가루액(75.7%) 순으로 나타나 0.5% 세제액이 가장 높은 제거율을 보였으며, 나머지 3종류의 첨가제는 비슷한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첨가제액를 이용한 초음파 세척에서는 첨가제액 세척보다 $1{\sim}3%$ 정도 높게 나타났으며, 0.5% 세제액으로 5분간 초음파 세척시 89.3%로 수돗물 세척보다는 20%정도 높은 제거율을 보였다. 한편 전체 결과에서 최고 및 최저 제거율은 방울토마토중 Chlorthalonil 이 99.0%(0.5%세제 초음파 5분간 세척), 포도 중 EPN이 47.8%(물세척)로 나타났고, 농약별로는 Chlorthalonil(90.0%)>Procymidone(81.3%)>Chlorpyrifos(76.6%)>Endosulfan(75.7%)>Fenitrothion(75.5%)>EPN(73.8%) 순으로 높은 제거율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eriment the removal efficiency of 6 pesticides in fruits and vegetables using various washing solutions. As results, the average removal efficiencies of pesticides washed with tap-water were 68.3%, whereas those washed by ultrasonic cleaning for 2 and 5 minutes were 73...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0.5% 세제액 등 4종의 첨가제액을 제작하여 같은 방법으로 초음파 세척기에서 2분간 세척 및 0.5% 세제액으로 5분간 초음파 세척한 결과(Fig. 5와 Fig. 6)를 비교 하였다. 0.
  • 농약 제거율은 대상작물에 인위적으로 농약을 처리한 대조군에서 분석한 농약 잔류량과 첨가제액 및 첨가 제액으로 초음파세척 후 측정한 농약 잔류량을 비교하여 다음의 계산식에 의거하여 산출하였다. 그리고 농약 Endosulfan 은 a-, P-, -sulfkte를 합한 수치로 계산하였다.
  • 농약 제거율 계산. 농약 제거율은 대상작물에 인위적으로 농약을 처리한 대조군에서 분석한 농약 잔류량과 첨가제액 및 첨가 제액으로 초음파세척 후 측정한 농약 잔류량을 비교하여 다음의 계산식에 의거하여 산출하였다. 그리고 농약 Endosulfan 은 a-, P-, -sulfkte를 합한 수치로 계산하였다.
  • 세척. 농약을 인위적으로 부착시킨 공시재료들을 균질화 한후 50 g씩 정칭하여 대조군은 즉시 대상농약들의 양을 분석하였으며, 시험구 시료들은 동일한 방법으로 수돗물 8L에 담아 막대로 흔들어 주면서 5분간 침지 후 흐르는 물에 1분간 씻고 풍건하여 세절한 후 잔류량을 분석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 첨가제액를 이용한 초음파 세척. 물과 0.5% 세제액 등 4종의 첨가제액을 조제하여 같은 방법으로 초음파세척기에서 2분간 처리하였고, 2분간 처리한 것과 비교해보기 위해 물과 0.5% 세제액으로 5분간 초음파 처리하여 비교하였다.
  • 용출액을 TuboVap# LV evaporator로 농축시킨 후 20% acetone 함유 hexane 1 mZ로 재용해하여 Table 2와 같은 조건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장비 중 GC/MSD[Mass Selective Detector, Agilent (HP)사, USA]는 농약 검출여부 확인, GC/ECD [Electron Capture Detector, Agilent(HP)사, USAJ로는 정 량 분석 하였다 (Table 2).
  • 첨가제액를 이용한 세척. 위와 같은 방법으로 공시재료를 처리하여 0.5% 세제액, 5% 밀가루액, 5% 식초액, 5% 소금물 81를 조제하여 각각 막대로 흔들어주면서 5분간 침지 후 흐르는 물에 1분간 씻고 풍건하여 세절 후 분석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엽채류인 청경채와 치커리, 과채류인 방울토마토, 장과류인 포도 등을 택하여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에서 조사한 결과 최근 몇 년간 검출빈도가 높았던 6종 (Chlorpyrifos, Chlorothalonil, Endosulfan, EPN, Fenitrothion, Procymidone>의 농약을 사용기준에 따라 물에 희석시키고, 대상 작물에 인위적으로 부착시킨 다음 수돗물 세척, 첨가제액 세척, 첨가저액을 이용한 초음파 세척 등 세척방법별 작물 중 농약 제거효과를 알아 보았다.

대상 데이터

  • 시약 및 표준품. Acetonitrile, w-Hexane 등 유기용매는 Merck 제 잔류농약분석용 시약을 Chlorpyrifbs(98.4%), Chlorothalonil (99.5%), Endosulfen[a(96.0%), 0(99.0%), sulfate(97.5%)], EPN (98.5%), Fenitrothion(97.7%), Procymidone(98.0%) 등 농약 표준품은 Dr. Ehrenstorfer GmbH사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 첨가제 및 초음파세척기. 농약제거를 위해 사용된 첨가제로는 일반 가정에서 쉽게 구할 수 있고 조제가 가능한 0.5% 합성세제액(L 사, 계면활성제 12.5%), 5% 밀가루액(C사, 중력밀가루), 5% 소금물(S사, NaCl 80% 이상), 5% 식초액(O사, 총산도 6- 7%)으로 각각 조제하여 사용하였다. 초음파세척기는 Bandelin Ultrasonic Cleaner(Model: Sonorex super lOp, Tank size: 510 X 360X300 mm, Power: 10X10%)를 사'용하였다.
  • 대상작물에 인위적으로 처리한 농약은 그로 포수 화제 (Chlorpyrifbs: 25%), 타로닐수화제 (Chlorothalonil: 75%), 지 오릭스 유제(Endosulfhn: 35%), 이피엔유제(EPN: 45%), 메프유제 (Fenitrothion: 50%), 프로파수화제 (Procymidone: 50%) 등 6 종으로 시중 농약 판매점에서 구입하였으며, 농약 정보는 Table 1과 같다.
  • 대상작물. 본 실험에 사용된 대상작물은 치커리(Cichorium intybus), 정경채 (Brasskw campestris var. chinensis), 방울토마토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SeL(Vitis vinifera L.)로 부산 시내 일반시장에서 구입 후 농약 잔류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사전 검사를 거쳐 공시재료로 사용하였으며, 식품공전의 농산물의 농약잔류허용기준시험법에 따라 가식부만 취하여 사용하였다.
  • 농약처리. 시중에서 구입한 6종의 농약을 사용기준 농도(20 g/ 20I 희석시킨 침지액에 대상작물의 농약 부착량을 고려하여 치커리, 청경채는 5분간, 방울토마토, 포도는 10분간 침지하여 인위적으로 부착시킨 후 실험실에서 풍건하여 사용하였다.
  • 5%), 5% 밀가루액(C사, 중력밀가루), 5% 소금물(S사, NaCl 80% 이상), 5% 식초액(O사, 총산도 6- 7%)으로 각각 조제하여 사용하였다. 초음파세척기는 Bandelin Ultrasonic Cleaner(Model: Sonorex super lOp, Tank size: 510 X 360X300 mm, Power: 10X10%)를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 농약 잔류량 측정. 농약부착 및 처리된 대상 작물들의 농약 잔류량 측정을 위한 전처리는 식품공전의 동시 다성분 시험법에 따랐다. 치커리, 청경채, 방울토마토, 포도 50g에 acetonitrile 100 ml를 가해 homogenizer로 3, 000 rpm으로 2분간 마쇄 주줄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3) Food Code 

  2. Lee, J. K., Kwon, J. W., Ahn, K. C., Park, J. H. and Lee, J. S. (2000) Effect of photosensitization on the diminution of pesticides residues on red pepper. Korean J. Environ. Agric. 19, 116-121 

  3. Lee, J. M., Lee, H. R. and Nam, S. M. (2003) Removal rate of residual pesticides in perilla leaves with various washing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586-590 

  4. Kim, N. H., Lee, M. G. and Lee, S. R (1996) Elimination of phenthoate residues in the washing and cooking of polished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490-496 

  5. Seong, K. Y, Choi, K. I., Jeong, M. H., Hur, J. H., Kim, J. G. and Lee, K. S. (2004) Residues and half-lives of bitertanol and tebuconazole in greenhouse-grown peppers. J. Korean Soc. Appl. Chem. 47, 113-119 

  6. Elikins, E. R. (1989) Effect of commercial processing on pesticide residues in selected fruits and vegetables. J. Assoc. Off. Anal. Chem. 72, 533 

  7. Lee, S. R., Mourer, C. R. and Shibamoto, T. (1991) Analysis before and after cooking processes of a trace chlorpyrifos spiked in polished rice. J. Agric. Food Chem. 39, 906 

  8. Ishikura, S., Onodera, S., Sumiyashiki, S., Kasahara, T., Nakayama, M. and Watanabe, S. (1984) Evaporation and thermal decomposition of organophosphorus pesticides during cooking of rice. J. Food Hyg. Soc. Japan. 25, 203 

  9. Kim, Y. H., Kim, H. N., Kim, S. S. and Lee, S. R. (1979) Elimination of BHC residues in the polishing and cooking processes of brown rice. Koean J. Food Hygiene. 11, 18-25 

  10. Yoon, C. H., Park, W. C., Kim, J. E. and Kim, C. H. (1997) Removal efficiency of pesticide residues on apple by ultrasonic cleaner. Korean J. Environ. Agric. 16, 225-258 

  11. Kim, Y. G., Lim, T. G., Park, S. S., Heo, N. C. and Hong, S. S. (2000) A study on residual pesticides in commercial fruits and vegetab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763-771 

  12. Shim, A. R., Choi, E. H. and Lee, S. R. (1984) Removal of malathion residues from fruits and vegetables by washing processes.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418-422 

  13. Lee, M. G. and Lee, S. R. (1997) Reduction factors and risk assessment of oragnophosphorus pesticides in Korean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240-248 

  14. Elkins, E. R., and Davis, D. R. (1989) Reduction of ethylnethiourea residues in canned spinach. HortScience. 24, 990-992 

  15. Kim, Y. S., Park, J. H., Park, J. W., Lee, Y. D., Lee, K. S. and Kim, J. E. (2003) Residue levels of chlorpyrifos and chlorothalonil in apple at harvest. Korean J. Environ. Agric. 22, 130-136 

  16. Valverda, M., Aguilera, A., Rodriguez, M., Bourad, M. and Begrani, M. S-EI. (2002) Pesticide residue levels in peppers grown in a greenhouse after multiple applications of pyridaben and tralomethrin. J Agric. Food Chem. 50, 7303-7307 

  17. Lee, H. K., Kim, Y. K. and Park, Y. S. (1988) A monitoring survey on pesticide residues in strawberries and cucumbers from plastic film house. Koean J. Food Hygiene. 3, 193-202 

  18. Deura, H. (1971) Studies on removal of residual pesticides from fruit and vegetables by washing. J. Food Hyg. Soc. Japan. 13, 36-42 

  19. Mori, Z. and J. Tamura (1976) A Study on removal of residual bordeaux used to tomatoes in laborator,. J. Food Hyg. Soc. Japan. 17, 413-418 

  20. Lee, H. O. and Park, Y. S. (1992) Present conditions of surfactant industry and technical developments. KINlTI, Technical Report, No.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