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안면비대칭자의 3차원 전산단층사진 분석에서 경$\\cdot$연조직간 비대칭 정도 차이
Comparison of asymmetric degree between maxillofacial hard and soft tissue in facial asymmetric subjects using three-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원문보기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v.35 no.3 = no.110, 2005년, pp.163 - 173  

김왕식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이기헌 (전남대학교 치의학연구소,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황현식 (전남대학교 치의학연구소,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안면비대칭 환자에서 경조직의 비대칭 정도와 연조직 비대칭 정도의 차이를 3차원적으로 밝히고자 시행되었다. 안면비대칭으로 보이는 성인 남녀 34명을 대상으로 두경부 전산단층사진을 촬영하고 3차원 입체영상으로 재구성한 후 기준평면에 대해 비대칭을 나타내는 5개의 계측항목을 경조직에 설정하고, 이에 대응하는 연조직 계측항목을 각각 설정한 후 3차원 계측을 시행하고 경조직과 연조직의 계측항목간 차이를 비교하였다. 이부편위측과 반대측간의 계측치 차이를 비교한 결과, 경조직과 연조직 모두에서 좌우측 계측치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으며 경조직과 연조직의 비대칭 계측항목을 비교한 결과, 6개의 계측항목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부편위를 나타내는 chin deviation, 하악지와 하악골체를 나타내는 frontal ramal inclination difference, frontal corpus inclination difference 항목은 경조직의 비대칭 정도에 비하여 연조직 비대칭 정도가 작게 나타난 반면, 입술경사를 나타내는 lip cheilion height difference, lip canting은 maxillary height difference, occlusal plane canting보다 크게 나타나 입술부위의 비대칭 정도는 하부 경조직의 비대칭 정도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안면비대칭자에서 경조직과 연조직간 비대칭 정도 차이를 규명한 본 연구 결과는 안면비대칭 평가 시 경조직 외에 연조직 계측항목을 이용한 비대칭 분석도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symmetric degree between maxillofacial hard and soft tissues in individuals with facial asymmetry. Computerized tomographies (CT) of 34 adults (17 male, 17 female) who had facial asymmetry were taken. The CT images were transmitted to personal computer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0을 넘지 않을 정도의 높은 재현도를 보인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비대칭진단 계측항목의 재현도를 연구한 김39의 연구에서도 조사자간, 조사자내의 재현도가 높게 나타났다고 보고한 바 있어 본 연구에서는 이들의 연구를 토대로 반복재현성이 높은 경조직과 연조직의 계측점을 설정하여 측정하였다.
  • 본 연구는 3차원 전산단층사진을 이용하여 입체영상을 구성하고 동일한 기준평면을 설정한 후, 이를 기준으로 안면비대칭자의 경조직 비대칭 정도와 연조직 비대칭 정도의 차이를 밝히고자 시행되었다.
  • 또한 컴퓨터 모니터 상 에서 3차원 입체영상을 원하는 위치로 회전시켜 관찰할 수 있어 피사체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불투명도를 조절하여 경조직과 연조직을 동일한 기준평면에 대해 평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안면비대칭자의 3차원 입체영상을 이용하여 수평 및 수직 기준평면을 설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안면비대칭자에서 경조직의 비대칭 정도와 연조직 비대칭 정도의 차이를 밝히고자 시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Peck H, Peck S. A concept of facial esthetics. Angle Orthod 1970;40:284-318 

  2. Ricketts RM, Bench RW, Hilgers JJ, Schulhof R. An overview of computerized cephalometrics. Am J Orthod 1972;61:1-28 

  3. Svanholt P, Solow B. Assessment of midline discrepancies on the postero-anterior cephalometric radiograph, Tran. Eur Orthod Soc 1977;25:261-8 

  4. Solow B. The pattern of craniofacial associations. Acta Odont Scand 1966;24:24 

  5. Nakasima A, Ichinose M. Size of the cranium in parents and their children with cleft lip. Cleft Palate J 1984;21:193-203 

  6. Vig PS, Hewitt AB. Asymmetry of the human facial skeleton. Angle Orthod 1975;45:125-9 

  7. Michaels LYF, Tourne LPM. Nasion true vertical: a proposed method for testing the clinical validity of cephalometric measurements applied to a new cephalometric reference line. Int J Adult Orthodon Orthognath Surg 1990;5:43-52 

  8. Yogosawa F. Predicting soft tissue profile changes concurrent with orthodontic treatment. Angle Orthod 1990;60:199-200 

  9. Peck S, Peck L, Kataja M. Skeletal asymmetry in esthetically pleasing faces. Angle Orthod 1991;61:43-8 

  10. Haraguchi S, Takada K, Yasuda Y. Facial asymmetry in subjects with skeletal class Ill deformity. Angle Orthod 2002;72:28-35 

  11. Baumrind S, Frantz RC. The reliability of head film measurements: 1. Landmark identification. Am J Orthod 1971;60:111-27 

  12. Baumrind S, Frantz RC. The reliability of head film measurements: 2. Conventional angular and linear measures. Am J Orthod 1971;60: 505-17 

  13. Eliasson S, Welander U, Ahlqvist J. The cephalographic projection: Part I. General considerations. Dentomaxillofac Radiol 1982;11:117-22 

  14. Ahlqvist J, Eliasson S, Welander U. The cephalometric projection: Part II. Principles of image distortion in cephalography. Dentomaxillofac Radiol 1983;12:101-8 

  15. Phillips C, Greer J, Vig P, Matteson S. Photocephalometry: errors of projection and landmark location. Am J Orthod 1984;86:233-43 

  16. Grayson B, Cutting C, Bookstein FL, Kim H, McCarthy JG. The three-dimensional cephalogram: theory, technique, and clinical application.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88;94:327-37 

  17. Kusnoto B, Evans CA, BeGole EA, de Rijk W. Assessment of 3-dimensional computer-generated cephalometric measurement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9;116:390-9 

  18. Ferrario VF, Sforza C, Miani A, Serrao G. A three-dimensional evaluation of human facial asymmetry. J Anat 1995;186:103-10 

  19. Ferrario VF, Sforza C, Poggio CE, Serrao G. Facial three-dimensional morphometry.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6;109:86-9 

  20. Ferrario VF, Sforza C, Schmitz JH, Miani A, Serrao G. A three-dimensional computerized mesh diagram analysis and its application in soft tissue facial morphometry.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8;114:404-13 

  21. Ferrario VF, Sforza C, Serrao G. Colombo A, Ciusa V. Soft tissue facial growth and development as assessed by the three-dimensional computerized mesh diagram analysi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9;116:215-28 

  22. Ferrario VF, Sforza C, Schmitz JH, Santoro F. Three-dimensional facial morphometric assessment of soft tissue changes after orthognathic surgery.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1999;88:549-56 

  23. Carls FR, Schuknecht B, Sailer HF. Value of three-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in craniomaxillofacial surgery. J Cranio-Maxillofac Surg 1994;5:282-8 

  24. Santler G, Karcher H, Ruda C. Ind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ree-dimensional models in cranio-maxillofacial surgery. J Cranio-Maxillofac Surg 1998;26:11-6 

  25. 황현식. 안변비대칭 진단을 위한 악안면 3차원 영상 분석, 대치협회지 2004;42:76-83 

  26. 이병도. 치과학에서 3차원 CT 영상의 적용, 대치협회지 2002;40:853-9 

  27. 김기덕, 유선국. 치과영역에서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한 3차원 CT 영상의 활용. 대치협회지 2004;42:197-208 

  28. Shah SM, Joshi MR. An assessment of asymmetry in the normal craniofacial complex. Angle Orthod 1978;48:141-8 

  29. Ferrario VF, Sforza C, Miani A, Tartaglia G. Craniofacial morphometry by photographic evaluation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3;103:327-37 

  30. Ferrario VF, Sforza C, Poggio CE, Tartaglia G. Distance from symmetry: a three-dimensional evaluation of facial asymmetry. J Oral Maxillofac Surg 1994;52:1126-32 

  31. Ferrario VF, Sforza C, Ciusa V, Dellavia C, Tartaglia G. The effect of sex and age on facial asymmetry in healthy subjects: a cross-sectional study from adolescence to mid-adulthood. J Oral Maxillofac Surg 2001:59:382-8 

  32. Baumrind S, Moffitt FH, Curry S. Three-dimensional x-ray stereometry from paired coplanar images: a progress report. Am J Orthod 1983;84:292-312 

  33. Baumrind S, Moffitt FH, Curry S. The geometry of three-dimensional measurement from paired coplanar x-ray images. Am J Orthod 1983;84:313-22 

  34. 이계형, 조홍규, 황현식, 김종철. 얼굴 비대칭 인지도와 정면 머리방사선 사진 계측항목간의 관련성 연구. 대체인류지 1998;11:41-8 

  35. 안정순, 황현식. 안면비대칭에 대한 주관적 인지도와 정모두부방사선사진 분석치의 연관성. 대치교정지 2001;31:489-98 

  36. Severt TR, Proffit WR. The prevalence of facial asymmetry in the dentofacial deformities population at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Int J Adult Orthodon Orthognath Surg 1997;12:171-6 

  37. Enlow DH. Handbook of Facial Growth. 3rd ed. Phladelphia: W.B. Saunders; 1991. p. 58-163 

  38. 장혜숙, 백형선. 3차원 CT 영상을 이용한 두개악안면 분석을 위한 계측점의 제안. 대치교정지 2002;32:313-25 

  39. 김고운. 전산화단층사진을 이용한 하악골 3차원 영상에서 비대챙진단 계측 항목의 재현도에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광주, 2004 

  40. 윤일선, 이기헌, 황현식. 군집분석법에 의한 안면비대칭의 분류. 대치협회지 2001:39:765-73 

  41. 이설미. 방사선사진과 안모사진을 이용한 하악 비대칭의 평가. 대구악안방사선지 2001;31:199-204 

  42. 김희진, 강민규, 허경석, 김창헌, 정인혁. 한국인 얼굴 연조직의 두께. 대법의지 1999;23:117-21 

  43. Kim EJ, Hwang HS, Park BJ, Cho KH. Correlations of frontal lip line canting with craniofacial morphology and muscular activity. J Dent Science 2002;14:284-9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