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안면비대칭을 동반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에서 하악 과두의, 위치 형태와 이부 편위의 관계: cone-beam CT를 이용한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condyle position, morphology and chin deviation in skeletal Class III patients with facial asymmetry using cone-beam CT 원문보기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v.41 no.2, 2011년, pp.87 - 97  

이보람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교정학교실) ,  강대근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교정학교실) ,  손우성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교정학교실) ,  박수병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교정학교실) ,  김성식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교정학교실) ,  김용일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교정학교실) ,  이경민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교정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안면비대칭의 원인은 다양하며, 비대칭적 성장은 상악골과 하악골의 길이나 각도로 평가되어지곤 한다. 하지만 하악 과두의 비대칭적인 위치나 형태 또한 비대칭의 표현에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하악 과두가 안면비대칭의 표현형인 이부 편위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50명의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중 4 mm 이상의 menton point deviation을 보이는 비대칭군 30명, 4 mm 이하의 menton point deviation을 보이며 뚜렷한 안면비대칭이 없는 20명을 대칭군으로 하여, 두개저에 대한 좌우 하악 과두의 근원심적, 전후방적 위치를 평가하고, axial 평면에서 장축을 설정해 하악 과두의 최대 크기와 coronal plane에 대한 각도를 평가하였으며, sigmoid notch 상방 하악 과두의 길이와 부피를 측정하였다. 대칭군은 좌우 하악 과두의 위치, 각도, 크기, 길이, 부피에 있어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비대칭군은 이부 편위측과 비편위측으로 나누어볼 때, 이부 편위에 따른 좌우 하악 과두의 위치와 angulation 에서 통계적 차이는 없었으나, 하악 과두의 크기, 길이 및 부피에서는 비편위측 값이 컸고, 이부 편위량이 클수록 좌우 크기, 길이의 차이 및 편위측에 대한 비편위측 하악 과두의 부피비가 컸다. 또한 편위측에 대한 비편위측 하악 과두의 부피비가 이부 편위의 정도를 가장 잘 설명해주는 특성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하악 과두의 비대칭이 안면비대칭의 발현에 영향을 주며, 비편위측 하악 과두가 편위측에 비해 크고 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Facial asymmetry is usually evaluated from the difference in length and angulation of the maxilla and mandible. However, asymmetric position or shape of the condyle can also affect the expression of asymme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condylar asy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0명의 안면 비대칭 군(평균 나이 22세 12개월), 20 명의 대칭군(평균 나이 23세 1개월)을 대상으로, 하악 과두의 특성이 이부 편 위와 갖는 상관관계를 평가하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초진 시 촬영한 CBCT상에서 기준평면을 설정하여, 하악 과두의 anteroposterior position, medi이a比ral position, 기준평면에 대한 angulation, GMD, condylar height, condyle glume을 각각 측정하였다.
  • 이부 편 위는 안면 비대칭 인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부분으로 알려져 있다, 8 이런 이부 편 위에 영 향을 주는 요소들로, 좌우 상악골 길이 , 하악지의길이, 전방 그리고 측방 하악지의 경사도, 하악체의 길이 및 높이 등이 열거되고 있으나, 3 데안면 비대칭을 분석하는 데 있어서 이런 요소들뿐 아니라, 두개저에 대한 좌우 하악 과두의 삼차원적인 위치 자체에 차이를 보이거나, 하악 과두의 크기나 길이의 차이 등 이부 편 위 측과 비편위측 좌우의 특성이 다를 것으로 생각되어, 본 연구는 안면비대칭자에서 이부편위 방향에 따른 편 위 측, 비편위측 각각에서 하악과두의 특성으로 위치, 각도, 크기, 길이, 부피를 평가하고, 안면비대칭의 시각적 인지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이부 편위 정도가 좌우측 하악 과두 특성 차이에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8
  • 이부 편위 등 안면 비대칭의 발현에는 상악골이나 하악골 자체의 형태적 비대칭 외에도 두개저에 대한 하악 과두의 형태와 위치적 특성이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어, 편 위 측과 비편위측에 따른 좌우 하악 과두의 위치적, 형태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또한, 하악 과두의 성장이 그 원인이든, 결과든 안면 비대칭의 표현형에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하여, 과두의 크기, 길이, 부피가 이부 편위 방향의 비편위측에서 더 클 것이며 좌우의 차이는 이부 편위량과 비례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가설 설정

  •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또한, 하악 과두의 성장이 그 원인이든, 결과든 안면 비대칭의 표현형에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하여, 과두의 크기, 길이, 부피가 이부 편위 방향의 비편위측에서 더 클 것이며 좌우의 차이는 이부 편위량과 비례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Grayson BH, McCarthy JG, Bookstein F. Analysis of craniofacial asymmetry by multiplane cephalometry. Am J Orthod 1983;84:217-24. 

  2. Jolley L, Huang JC, Maki K, Gansky SA, Miller AJ, Hatcher D. Development of three dimensional cone beam CT data into reconstructed lateral cephalometric images. Inform Orthod Kieforthopad 2007;39:173-86. 

  3. Hwang HS, Hwang CH, Lee KH, Kang BC. Maxillofacial 3-dimensional image analysis for the diagnosis of facial asymmetry.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6;130:779-85. 

  4. Park SH, Yu HS, Kim KD, Lee KJ, Baik HS. A proposal for a new analysis of craniofacial morphology by 3-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6;129:600.e23-34. 

  5. Baek SH, Cho IS, Chang YI, Kim MJ. Skeletodental factors affecting chin point deviation in female patients with class III malocclusion and facial asymmetry: a three-dimensional analysis using computed tomography.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7;104:628-39. 

  6. Kwon TG, Park HS, Ryoo HM, Lee SH. A comparison of craniofacial morphology in patients with and without facial asymmetry--a three-dimensional analysis with computed tomography. Int J Oral Maxillofac Surg 2006;35:43-8. 

  7. Ahn JS, Hwang HS.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facial asymmetry and posteroanterior cephalometric measurements. Korean J Orthod 2001;31:489-98. 

  8. Lee GH, Cho HK, Hwang HS, Kim JC. Studies of relationship between P-A cephalometric measurements and vidual facial asymmetry. Korean J Phys Anthropol 1998;11:41-8. 

  9. Haraguchi S, Takada K, Yasuda Y. Facial asymmetry in subjects with skeletal Class III deformity. Angle Orthod 2002;72:28-35. 

  10. Rodrigues AF, Fraga MR, Vitral RW. Computed tomography evaluation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in Class I malocclusion patients: condylar symmetry and condyle-fossa relationship.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9;136:192-8. 

  11. Rodrigues AF, Fraga MR, Vitral RW. Computed tomography evaluation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in Class II Division 1 and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condylar symmetry and condyle-fossa relationship.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9;136:199-206. 

  12. Schlueter B, Kim KB, Oliver D, Sortiropoulos G.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3D reconstruction of the mandibular condyle. Angle Orthod 2008;78:880-8. 

  13. Hilgers ML, Scarfe WC, Scheetz JP, Farman AG. Accuracy of linear temporomandibular joint measurements with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and digital cephalometric radiography.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5;128:803-11. 

  14. El-Mangoury NH, Shaheen SI, Mostafa YA. Landmark identification in computerized posteroanterior cephalometric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87;91:57-61. 

  15. Cheon OJ, Suhr CH. A posteroanterior roentgenocephalometric study of skeletal craniofacial asymmetric patients. Korean J Orthod 1990;20:615-31. 

  16. Lascala CA, Panella J, Marques MM. Analysis of the accuracy of linear measurements obtained by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CBCT-NewTom). Dentomaxillofac Radiol 2004;33:291-4. 

  17. Marmulla R, Wortche R, Muhling J, Hassfeld S. Geometric accuracy of the NewTom 9000 Cone Beam CT. Dentomaxillofac Radiol 2005;34:28-31. 

  18. Breiman RS, Beck JW, Korobkin M, Glenny R, Akwari OE, Heaston DK, et al. Volume determinations using computed tomography. AJR Am J Roentgenol 1982;138:329-33. 

  19. Shapurian T, Damoulis PD, Reiser GM, Griffin TJ, Rand WM. Quantitative evaluation of bone density using the Hounsfield index.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6;21:290-7. 

  20. Rho JY, Hobatho MC, Ashman RB. Relations of mechanical properties to density and CT numbers in human bone. Med Eng Phys 1995;17:347-55. 

  21. Sgouros S, Natarajan K, Hockley AD, Goldin JH, Wake M. Skull base growth in childhood. Pediatr Neurosurg 1999;31:259-68. 

  22. St John D, Mulliken JB, Kaban LB, Padwa BL. Anthropometric analysis of mandibular asymmetry in infants with deformational posterior plagiocephaly. J Oral Maxillofac Surg 2002;60:873-7. 

  23. Obwegeser HL, Makek MS. Hemimandibular hyperplasia--hemimandibular elongation. J Maxillofac Surg 1986;14:183-208. 

  24. Pirttiniemi PM. Associations of mandibular and facial asymmetries--a review.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4;106:191-200. 

  25. Poikela A, Kantomaa T, Pirttiniemi P. Craniofacial growth after a period of unilateral masticatory function in young rabbits. Eur J Oral Sci 1997;105:331-7. 

  26. Bjoerk A, Bjoerk L. Artificial deformation and cranio-facial asymmetry in ancient Peruvians. J Dent Res 1964;43:353-62. 

  27. Persing J, James H, Swanson J, Kattwinkel J.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Committee on Practice and Ambulatory Medicine, Section on Plastic Surgery and Section on Neurological Surgery.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positional skull deformities in infants.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Committee on Practice and Ambulatory Medicine, Section on Plastic Surgery and Section on Neurological Surgery. Pediatrics 2003;112(1 Pt 1):199-202. 

  28. Sakurai A, Hirabayashi S, Sugawara Y, Harii K. Skeletal analysis of craniofacial asymmetries in plagiocephaly (unilateral coronal synostosis). Scand J Plast Reconstr Surg Hand Surg 1998;32:8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