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영재학교 교수활동에 관한 학생인식 및 과학수업에서 상호작용 유형
Students' Perception of Teaching Activities and Verbal Interaction in Science Classes at the Gifted Science High School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26 no.1, 2005년, pp.30 - 40  

박수경 (과학영재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영재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과학영재학교의 교수활동에 관한 학생의 인식을 밝히고 과학과 실험수업의 실제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과학과 교육과정 편제 및 운영, 교수$\cdot$학습방법 평가 방법에 관한 설문 결과와 과학과 실험수업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을 분석하였다. 과학영재학교 교육과정 편제 및 운영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심화선택과목의 학점 비중을 더 높여야 한다는 의견과 보통교과의 학점을 줄이고 수학 및 과학 교과의 학점을 늘려야 한다는 의견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과학영재학교 과학과 수업시사간에 주로 사용되는 수업방법으로는 강의나 설명, 조별수업, 토론이 대다수를 차지하였고 학생들이 선호하는 수업방법으로는 강의나 설명, 토론 외에도 탐구학습, 개인연구, 문제해결학습 등 다양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학생들이 선호하는 평가방법은 지필 평가와 보고서평가, 실험 평가의 순으로 나타났다. 과학영재학교 과학실험 수업에서 상호작용 유형을 분석한 결과, 교사 질문의 수준에 따라 교사-학생 상호작용 유형이 다르게 나타났고, 실험과정 중에는 학생-학생 상호작용에 의해 탐구활동이 활성화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gifted students' perception of the teaching activities at the gifted science high school (Busan Science Academy), in Busan, Korea, and to investigate the science experiment class practice.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about the curriculum courses, teaching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과학영재학교의 교수활동에 관한 학생의 인식을 밝히고 과학과 실험수업의 실제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론과 논의는 다음과 같다.
  • 또한 Table 7에서도 어렵거나 매우 어렵다고 응답한 여학생의 수가 상대적으로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에 과학영재로 선발된 여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특성에 기초한 교수. 학습 전략^ 대한 탐색과 실행이 특히 요구된다.
  • 여기서 과학영재를 육성하려는 과학영재 학교가 설립목적에 부합되도륵계휙, 운영, 평가되고 있는지 교수활동 전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밝히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학교의 과학과 교수활동을 중심으로 이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과학과 수업 실제에 대하여 조사 . 분석하고자 한다.
  • 교육과정과 교수. 학습 및 평가 방법에 관한 학생 인식을 밝히기 위하여 설문올 실시하였다. 인식조사를 위한 설문은 2003년 8월에 실시하였고 사전에 대상 학생들에게 설문의 목적과 취지를 설명하였다.

가설 설정

  • S1: 경험적으로 구해내야 합니다.
  • S1: 진동수를 너무 짧게 한 것 같은데..
  • S2: 그러니까 이게 반사되는 게 어떻게든 이면에서는 무조건 반사되고..
  • S2: 선밀도가 일정하게 나와야 되는 거 아냐?
  • S3: 그만, 아까보다 훨씬 낫다
  • S3: 너무 빨라서 그래 ..
  • S3: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 입니다.
  • S3: 장력을 변화시키면서..
  • S3: 파장이 이 길이에 됐을 때 아니야? S1: 파장 나누기 2의 배수가 돼야지..
  • S4: 장력을 뭘로 할까? 이 추에서 5g 10g 15g S3: 10g에서 조절하면 되잖아.
  • S4: 파동이 잘 안 생기잖아.
  • S4: 한 칸 더 높여봐... 낮춰봐... 낮춰봐... 낮춰봐. (계속 실험 중)
  • T: 목성 위성이 목성 주위를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은?
  • T: 목성의 4개 위성의 사진이 나와있죠. 어떤 경우에는 네 개가 다 있는 경우가 있고 어떤 경우는 세 개가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 T: 전압은 3볼트이하로... 10볼트하지 말고 3볼트로해 놓고 하세요. 거기 보면 빨간불이 들어오면 전압을 낮춰야 됩니다.
  • T: 해파의 속도 공식이 주어져 있으면 공식에다가 여러분들이 측정값을 계속 대입하게 되고 경험 식이 나오지 못하겠죠.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문제의 인식 및 실험 설계)
  • T: 해파의 속도 측정 시행횟수를 중가시키는 이유는 무언가요?(이해질문)
  • T:고래요 줄의 굵기는 진동수에 영향울 주죠. 그래서 현악기를 보면 대층은 알 수 있습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남정희, 김성희, 강순희, 박종윤, 최병순, 2002, 변인통제 문제해결 활동에서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른 상호작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 (1), 110-121 

  2. 박수경, 2004,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사고양식에 따른 지구과학 개념 비교. 한국지구과학회지, 25 (8), 708-718 

  3. 소광섭, 김명환, 조석희, 이재호, 2003, 과학영재학교 교수요목 안내서. 과학영재학교, 24-27 

  4. 이상천, 2002, 과학영재고등학교 설립 및 학사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재단정책, 2001-08, 35 p 

  5. 임청환, 2003,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본질과 발달. 한국지구과학회지, 24 (4), 235-249 

  6. 최호성, 2002, 수준별 수업에서의 상위성취 학습자를 위한 교육과정 압축전략. 교육과정연구, 20 (4), 67-85 

  7. Colangelo, N., & Davis, G. A., 1997, Introduction and overview, In N. Colangelo & G. A. Davis (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2nd ed., pp, 3-23). Boston: Allyn & Bacon 

  8. Gallagher, J. J., & Courtright, R. D., 1986, The educational definition of giftedness and its policy implications. In R. J. Sternberg, & J. E. Davidson (eds.), Conceptions of giftedness (2nd ed., pp, 12-33),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Gallagher, J. J., & Gallagher, S, A., 1994, Teaching the gifted child, Boston: Allyn & Bacon 

  10. Karnes, F. A., & Bean, S. M. (eds.), 2001, Methods and materials for teaching the gifted, Waco, TX: Prufrock Press, 8 p 

  11. Maker, C. J., 1982, Curriculum development for the gifted, London: Aspen Systems Corporation, 75-77 

  12. Shulman, L.,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 (1), 1-22 

  13. Shulman, L.,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 (1), 4-14 

  14. Starko, A. J., 1995, Creativity in the classroom: Schools of curious delight, White Plains, NY: Longman, 45 P 

  15. Van Tassel-Baeka, J., 1992, Planning effective curriculum for gifted learners, Denver, CO: Love Publishing, 89 P 

  16. Van Tassel-Baska, J., 1997, What matters in curriculum for gifted learners: Reflection 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In N. Colangelo, & G. A. Davis (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pp, 126-135), Needham Heights, :MA:Allyn & Bacon 

  17. Williams, F. E., 1986, The cognitive-affective interaction model for enriching gifted programs, In J. S, Renzulli (ed.), Systems and models for developing program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pp, 461-484), Mansfield, CT: Creative Learning Press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