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튼튼하고 안전한 다리 설계' 문제중심학습(PBL)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과학영재의 과학적 태도, 과학 진로지향도 및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Problem-Based Learning Program Titled 'Designing Safe and Strong Bridge' on the Scientific Attitudes, Science Career Orientation, and Leadership of Scientifically Gifted High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6 no.3, 2016년, pp.449 - 471  

김대현 (창현고등학교) ,  유미현 (아주대학교) ,  우희진 (아주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튼튼하고 안전한 다리 설계'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PBL)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과학영재들의 과학적 태도, 과학 진로지향도 및 리더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3단계의 영재선발 과정을 통해 선발된 경기도 소재 C고등학교 부설 영재학급의 고등학교 2학년 19명이다. PBL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14차시에 걸쳐 적용하기 전과 후에 과학적 태도, 과학 진로지향도, 리더십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고, 사후에는 추가로 프로그램에 대한 소감문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BL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고등학교 과학영재의 과학적 태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7개 하위영역중 개방성을 제외한 6가지 영역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PBL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고등학교 과학영재의 과학 진로지향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과학 진로지향도 4개 하위영역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셋째, PBL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고등학교 과학영재의 리더십 전체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리더십의 1차 요인인 개인 내 특성과 개인 외 특성에서도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학생들의 사후 소감문을 분석한 결과 소그룹으로 PBL 문제해결과정에서 대인관계능력, 타인과 공동체 배려, 과제 책임감, 비전과 자신감 등 2차 요인 전 영역이 고르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how a Problem-Based Learning (PBL) program titled(called) 'Designing Safe and Strong Bridge' effects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scientific attitude, scientific career orientation and leadership. The participants were 19 scientifically gifted stud...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재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무엇인가? 영재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현대와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새롭고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생성하고,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며 영재교육과정은 영재들의 학습요구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조석희, 2004). 또한 영재교육 프로그램은 영재의 인지적 특성과 정의적 특성과 요구에 맞는, 즉 상위 수준 사고능력(창의성, 문제해결력) 과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의 신장, 자아개념 신장, 미래사회 지도자로서의 소양을 갖출 수 있도록 개발되어야 한다(조석희, 김홍원, 1999).
영재교육 프로그램은 어떻게 개발되어야 하는가? 영재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현대와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새롭고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생성하고,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며 영재교육과정은 영재들의 학습요구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조석희, 2004). 또한 영재교육 프로그램은 영재의 인지적 특성과 정의적 특성과 요구에 맞는, 즉 상위 수준 사고능력(창의성, 문제해결력) 과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의 신장, 자아개념 신장, 미래사회 지도자로서의 소양을 갖출 수 있도록 개발되어야 한다(조석희, 김홍원, 1999). 이와 같은 영재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영재들에게 차별화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현재 현장에서 과학영재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과학영재들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을 고안하고 영재교육과정에서 수업으로 구현되어야 효과적인 과학영재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과거에 비해 개선되기는 하였으나 현재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영재수업은 여전히 교사 중심적, 설명식, 문제풀이식, 이론중심 수업들이 주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 영재들에게 적합하고 영재의 잠재력을 계발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탐색하려면 영재들이 선호하는 수업의 형태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강인애 (2003). PBL의 이론과 실제. 서울: 문음사. 

  2. 강인애, 이민수, 김종화, 이인수 (1999). 웹기반 문제중심학습 (Problem- Based Learning)의 개발 사례: 초등, 고등, 대학교의 경우. 교육공학연구, 15(1), 301-330. 

  3. 강인애, 정준환, 정득년 (2011). PBL의 실천적 이해. 서울: 문음사. 

  4. 고현덕 (2007). 중학교 영재학생의 Self-Leadership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5. 김경희, 조연순 (2008). 문제중심학습(PBL)의 수업 단계별 학습활동의 특성과 교육적 의미 탐색: 초등 과학 수업을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21(1), 269-296. 

  6. 김미숙, 전미란 (2006). 영재의 리더십 구성요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 한국교육학회, 44(1), 221-245. 

  7. 김미숙, 박효정, 박춘성, 손은영, 전미란, 유효현 (2006). 영재의 리더십 육성을 위한 기초연구 및 프로그램 개발(II): 리더십 검사 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 분석.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8. 김수겸, 유미현 (2012). 중학교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학생의 직업가치관과 과학 진로지향도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7), 1222-1241. 

  9. 김효남, 정완호, 정진우 (1998). 국가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체제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357-369. 

  10. 노현아, 최재혁 (2015).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프로그램이 영재들의 과학진로지향에 주는 영향 분석. 영재교육연구, 25(4), 493-509. 

  11. 박성익 (2009). 영재 교수-학습 모형. 박성익, 조석희, 김홍원, 이지현, 윤여홍, 진석언, 한기순(편). 영재교육학원론 (pp.181-214). 서울: 교육과학사. 

  12. 신명렬, 이용섭 (2011). PBL기반 천체관측 프로그램이 초등과학영재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4(1), 20-31. 

  13. 신세인, 하민수, 이준기 (2016). 고등학생들을 위한 이공계 진로동기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1), 75-86. 

  14. 심재영, 박은영 (2003). 과학 영재의 진로의식 변화 연구: 1996년-2003년. 영재교육연구, 13(2), 95-112. 

  15. 양규모, 김정섭 (2010). 초등 영재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이 리더십 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영재교육연구, 20(3), 743-765. 

  16. 유미현 (2008). 과학영재의 사회.정의적 특성과 과학관련 인식 향상을 위한 '과학자 탐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7. 윤원희 (2006). 문제중심학습(PBL) 프로그램이 초등 수학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18. 윤진, 박승재 (2003). 과학 관련 진로 선택 과정의 구조 방정식 모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5), 517-530. 

  19. 윤혜경, 김형석, 정형식, 김정연, 김명순 (2006). TV 프로그램을 활용한 중학교 과학 진로교육자료 개발 및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4), 518-526. 

  20. 이신동, 고운정 (2010). 영재교육의 최근 이슈에 대한 논의.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25, 189-218. 

  21. 이원경 (2012). 문제중심학습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습자의 교과 통합양상의 분석- 초등과학영재를 대상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2. 이종두 (2000). 초등학교 수학과 PBL(Problem-Based Learning) 수업 설계 및 적용 사례 : 지식구성자로서의 아동과 그 과정에 나타난 수학적인 생각의 유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23. 이재호, 최승희 (2014). 초등정보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진로발달 및 직업관 인식에 대한 조사 연구. 영재교육연구, 24(4), 613-628. 

  24. 이지애, 박수경, 김영민 (2012). 과학영재의 이공계 대학 진로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적 요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1), 15-29. 

  25. 장성진, 정미선, 박원혁 (2005). 과학영재교육을 위한 문제중심학습 적용 효과-생물의 특성을 주제로.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3(1), 1-12. 

  26. 전도근 (2001). 웹기반 문제 중심 학습(PBL)을 통한 사고력 신장: 고등학교 일반사회(상) 사회문제. 열린교육실행연구, 4, 253-286. 

  27. 전미란 (2008). 영재학생의 리더십 교육에 대한 실태조사 및 인식에 관한 고찰. 석사학위논문. 경원대학교. 

  28. 조석희 (2004). 영재교육 백서.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29. 조석희, 김홍원 (1999). 과학영재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30. 조연순 (2006). 문제중심학습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31. 조연순, 우재경 (2003). 문제중심학습(PBL)의 이론적 기초. 교육학연구, 41(3), 5-27. 

  32. 조혜진, 김은진, 이형철 (2011). e-PBL을 활용한 과학 독서 논술 프로그램이 초등과학영재의 창의성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4(1). 74-82. 

  33. 최병연 (2013). 창의성 신장 기법을 활용한 문제중심학습(PBL)에서 초등영재의 학습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12(1), 163-188. 

  34. 최은열, 문성환 (2010). 초등학생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PBL 기반 과학영재프로그램 개발. 교과교육연구, 14(2), 411-431. 

  35. 최정임, 장경원 (2010). PBL로 수업하기. 서울: 학지사. 

  36. 하정문 (2008). 문제중심학급(PBL)의 학습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37. Akinoglu, O., & Tandogan, R. O. (2007). The effects of problem-based active learning in science education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ttitude and concept learning.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 Technology Education, 3(1),71-81. 

  38. Barrows, H. S. (1986). A taxonomy of problem based learning methods. Medical Education, 20(6), 481-486. 

  39. Griggs, S. A., & Dunn, R. (1984). Selected case studies of the learning style preferences of gofted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28(3), 115-119. 

  40. Imafuku, R., Kataoka, R., Mayahara, M., Suzuki, H., & Saiki, T. (2014). Students' experiences in interdisciplinary problem-based learning: A discourse analysis of group interaction.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Problem-Based Learning, 8(2), 1-19. 

  41. Horak, A. K. (2013). The effect of using problem-based learning in middle school gifted science classes on student achievement and students' perceptions of classroom quality. Ph. D Dissertation. George Mason University. 

  42. Karnes, F. A., & Bean, S. M. (1996). Leadership and the gifted. Focus on Exceptional Children, 29(1), 1-12. 

  43. Karens, S. A., & Stephens, K. R. (2008). Achieving excellence education the gifted and talented. Old Tappan, NJ: Pearson Education Inc. 

  44. Pace, L. (2013). Beginning R: An Introduction to Statistical Programming. New York: Apress Publisher. 

  45. Pfeiffer, S. (2001). Emotional intelligence: Popular but elusive construct. Roeper Review, 23(3), 138-143. 

  46. Renzulli, J. S., Smith, L. H., & White, A. J. (1997). Scales for rat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students.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ning Center. 

  47. Stepien, W., Gallagher, S. A., & Workman, D. (1993). Problem-based learning for traditional and interdisciplinary classrooms.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16(4), 5-17. 

  48. Widyatiningtyas, R., Kusumah, Y. S., Sumarmo, U., & Sabandar, J. (2015). The impact of problem-based learning approach to senior high school students' mathematics critical thinking ability. Indonesian Mathematical Society Journal on Mathematics Education, 6(2), 30-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